설치 / 사용기

윈 도 우 [종료](4차 수정)Micro19043.1165_v2.3FIX4

2023.08.17 07:00

sunshine 조회:3022 추천:173

(4차 수정) 죄송하지만 다시 받으세요. (세부 내용은 맨 아래로)

 

출처: http://wuyou.net/forum.php?mod=viewthread&tid=434532&extra=page%3D4

----------------------------------------------------------------------------------------------

2023.06.24 업데이트
1. 커널을 micro PE2.3으로 업데이트하여 CVE-2023-24932 처리(컴퓨터에 LTSC 또는 win11 시스템 이외의 Win10 버전이 설치되어 있고 UEFI로 시작한다고 합니다. 2023년 5월 패치 업데이트 후 컴퓨터에 Secure Boot가 활성화되어 있으면 시작할 수 없습니다 . 5월 패치를 적용하지 않은 PE로)
2. 많은 어플리케이션이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 되었으며, 하나씩 나열되지 않음
3. 커널 교체로 인해 시간이 짧고, 부득이하게 부족한 부분이 있습니다. 환영합니다. 수정

----------------------------------------------------------------------------------------------

리빌드 하신 A-BO님께 감사드립니다. 이 전에 나눔한 것은 v2.2입니다.

 

- 작은 PE이지만 유지 보수에 적합하도록 알차게 되어 있습니다. (인터넷은 안됩니다)

특이한 점이 레지스트리를 하이브 파일에 미리 등록하는 것이 아니라 거의 외부에서 로드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원래 처음 해상도는 [1024x768]이지만 최대로 변경했으니,

바탕화면 우클릭 후 자기 모니터에 맞도록 [DPI 설정]에서 변경하세요. [DPI 설정]이 [디스플레이 설정]보다 더 편하실 겁니다.

또한 드라이브 문자도 실컴과 같도록 수정 했습니다. 

 

- Micro PE는 다른 PE에 비해서 수정할 것이 한 2~3배가 되는 것 같습니다. 수정할 것이 너무 많아서 하기가 싫어집니다.

무조건 받기만 하시지 말고, 테스트 해 보시고 안되는 것은 댓글로 알려주세요. 그래야 선순환이 됩니다. 

 

1. 부팅 후 메인 화면: 바탕 화면은 이 전 버전인 v2.2와 같습니다.

- 벽지를 변경하고 싶으면 wim파일에서 [Windows\Web\Wallpaper\Windows\img0.jpg]를 바꾸세요. 

m1.png

 

2. 시작 화면: 이 전 버전인 v2.2와 같습니다.

- 다만 [모든 프로그램]을 [고정]이 아니라 아래 "3"번처럼 [펼침]으로 변경했습니다.

m2.png

 

3. 시작 화면 - 모든 프로그램: 용도별로 분류(제 기준이 아니라 원 제작자 기준)

- 변경하고 싶으면 Program Files\OP.INI를 수정해서 사용하세요. 

m3.png

 

4. 작업 표시줄 아이콘 우클릭: [작업 표시줄에서 제거]가 정상적으로 나오도록 수정 

m4.png

 

5. 작업 관리자: [경량 작업 관리자] -> [기본 작업 관리자]로 수정해서 용량은 좀 커집니다.

m5.png

 

6. 바탕 화면 우클릭: [DPI 설정]이 아주 편리하군요. 요건 다른 데에도 이용해야 하겠습니다.

m6.png

 

7. 내 PC 우클릭: 유용한 도구가 몇 개가 있군요.

- 변경하고 싶으면 Windows\PECMD.INI를 수정해서 사용하세요.

m7.png

 

8. backupper 실행 시 에러 수정: 아주 어렵게 수정했습니다. 지금은 잘 됩니다.

- wim파일에는 없지만 캡처 프로그램 fscapture도 잘 됩니다. 내장된 캡처 프로그램은 screenshot입니다.

m8.png

 

(기 타)-------------------------------------------------------------------------------

1. 레지스트리 하이브 파일 용량입니다.

z-hive.png

 

2. X 드라이브 최상위 폴더 용량입니다.

z-xdrive.png

 

3. Micro19043.1165_v2.3.WIM의 ISO_뼈대파일      Micro19043.1165_ISO_뼈대파일.7z

- [Micro19043.1165_v2.3.wim]파일을 [Boot10x64.wim]으로 파일명 변경

- Micro19043.1165_ISO_뼈대파일을 7집으로 압축을 풀면 [Micro19043.1165_v2.3.iso]가 나옵니다.

- ULTRAISO로 [Micro19043.1165_v2.3.iso]를 열기를 한다.

- [sources] 폴더에 [Boot10x64.wim]을 넣고 저장하면 됩니다.

 

4. snapshot64.exe 업데이트

- 위의 DengJang님 게시물에서 snapshot.exe 다운 받고 snapshot.exe -> snapshot64.exe로 파일명 변경

- Micro19043.1165_v2.3.wim을 7집으로 열고 Program Files\TOOLS\백업 복원\SnapShot 폴더에 넣으면 됩니다.

 

5. backupper 관련 수정: backupper가 평가판으로 나오는 것을 정상적으로 나오도록 수정

- micro pe는 원래 [Users\Default\NTUSER.DAT] 파일이 없습니다. 그래서 평가판으로 나온 것입니다.

[Windows\System32\config\DEFAULT] 파일을 복사해서 NTUSER.DAT를 만들었습니다.

 

- 64비트 용이고 32비트는 안됩니다. 32비트는 syswow64폴더에 추가 파일이 필요합니다.

 

- 7집으로 WIM파일을 열고 NTUSER.DAT 파일을 Users\Default\NTUSER.DAT에 넣어도 됩니다.   NTUSER.DAT

 

- 처음 실행: 평가판이 아니고 정상으로 나옵니다.

backupper1.png

 

- 백업 테스트: 잘 됩니다.

buckupper2.png

 

6. 한글화가 미진한 부분 수정: Micro_v2.3FIX3.txt

바이러스 문제로 PECMD.EXE, EjectUSB.EXE 를 처음 것으로 변경했습니다.

Micro19043.1165_v2.3FIX.wim에서 한글화가 미진한 부분을 왕초보님이 찾아주셔서 쉽게 수정했습니다.

자세한 수정 내역: https://windowsforum.kr/review/19791639

파일을 직접 수정해 주셔서 교체만 했습니다. 왕초보님께 감사드립니다.

 

- 7z 아이콘 보이게 설정을 REGPROG.CMD에서  OP.ini로 변경

----------------------------------------------------------------------- REGPROG.CMD

::REM 7z 아이콘 보이게 설정(OP.ini로 이동)

::Reg.exe add "HKCU\Software\7-Zip\Options" /v "MenuIcons" /t REG_DWORD /d "1" /f

-----------------------------------------------------------------------

----------------------------------------------------------------------- OP.ini

//7-ZIP 사용자 설정

EXEC reg add "HKCU\Software\7-Zip\Options" /v "MenuIcons" /t REG_DWORD /d 1

-----------------------------------------------------------------------

 

7. 바이러스 문제가 해결된 Micro19043.1165_v2.3FIX4 입니다.   Micro19043.1165_v2.3FIX4.txt

- 한글 유틸 제공과 바이러스 여부를 테스트해 주신 지후빠님께 감사드립니다.

- wim, iso 두 가지로 올렸습니다.

 

- EjectUSB, PECMD를 지후빠님이 제공하신 EjectUSB(ko), PECMD(ko)로 교체했습니다.

EjectUSB(ko)는 왕초보님 작품입니다. 왕초보님께 감사드립니다.

 

- 알약에서 snapshotBR이 문제가 되어서 x64에서 x86으로 교체했습니다.

- 업데이트: snapshot, cpu-z, fastcopy

- 추가: FSCapture(요청에 의해서), ExeProperties, 외부도구 로드, 우클릭에 전원 메뉴 추가

- [Program Files\TOOLS\기타 도구] 폴더를 추가해서 유틸 분리

 

7-1. 처음 부팅한 모습입니다. 작업 표시줄에 FSCapture가 추가 되었군요.

fix7-1.png

 

7-2. 필요한 유틸이 없을 경우 외부 petools 폴더를 로드하도록 [외부도구 로드]를 추가했습니다.

fix7-2.png

 

7-3. [외부도구 로드]로 껄렁쇠님의 외부 petools 폴더를 로드한 모습입니다.  유지 보수 버전이라서 크롬은 안됩니다.

fix7-3.png

 

8. ExeProperties를 추가한 이유:

유틸과 런처 비트 수가 짬봉이라서 나중에 유틸 추가 시 필요한 dll을 찾기 쉽도록 한 것입니다.

micro pe는 특히 syswow64가 경량이므로 가능하면 64비트 유틸을 사용하시고 없으면 32비트를 사용하세요.

 

- 64 비트 winpe인 경우

유틸 및 런처가 64 비트인 경우 system32 폴더에 필요한 dll을 추가해야 합니다. 

유틸 및 런처가 32 비트인 경우 syswow64 폴더에 필요한 dll을 추가해야 합니다. 

 

- 유틸과 런처 32/64 비트 사용 예:

-------------------------------------------------------------------

1. 유틸 32 비트: 런처없이 유틸 자체 실행

2. 유틸 32 비트 + 런처 32 비트: 단일 파일로 제작된 것

3. 유틸 32 비트 + 런처 64 비트: 단일 파일로 제작된 것

* 가능은 하지만 극히 드믐니다

-------------------------------------------------------------------

4. 유틸 64 비트: 런처없이 유틸 자체 실행

5. 유틸 64 비트 + 런처 32 비트: 단일 파일로 제작된 것

* 단일 파일 제작 도구의 64비트 미지원 및 기타 이유로 인해서 의외로 많습니다

6. 유틸 64 비트 + 런처 64 비트: 단일 파일로 제작된 것

-------------------------------------------------------------------

7. 유틸 64 비트 + 유틸 32 비트 + 런처 32 비트: 겸용으로 제작된 단일 파일

8. 유틸 64 비트 + 유틸 32 비트 + 런처 64 비트: 겸용으로 제작된 단일 파일

* winpe_x86에서 실행이 안되므로 이렇게는 제작을 안 할겁니다

-------------------------------------------------------------------

- 위의 5번에 해당하는 PartAssist입니다

속성.png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등록일
[공지] 사용기/설치기 이용안내 gooddew - - -
10209 윈 도 우| Sijagmenu sunshine PE 사용기 [1] 4k8k 465 10 09-02
10208 소프트웨어| [종료]토탈커맨더 단일파일(0901) [16] DengJang 770 37 09-02
10207 소프트웨어| [종료]사케이비디오다운로더플러스 단일파일(0901) [7] DengJang 324 15 09-02
10206 소프트웨어| [종료]사케이비디오다운로더 단일파일(0901) [9] DengJang 338 21 09-01
10205 소프트웨어| [종료]팟플레이어 단일파일(0831) [13] DengJang 619 42 09-01
10204 기 타| 【수정배포1】 Imagine 1.1.6 update sunshine PE [342] 딸랑쇠 1938 220 09-01
10203 기 타| Win10 RS5 PE - 탐색기 창색을 원하는 대로 하여 보았습니다 [7] 왕초보 706 19 09-01
10202 기 타| 백색 글리프 아이콘 [38] 집앞의_큰 557 55 09-01
10201 소프트웨어| [종료]이미진 업데이트(0831) [12] DengJang 803 33 08-31
10200 소프트웨어| 세이퍼님 한글화 세르게이 사용기 [10] 4k8k 486 10 08-31
10199 소프트웨어| PE 레지스트리에 REG 파일 수정없이 쉽게 병합하기 [16] 지후빠 758 46 08-31
10198 기 타| 세이퍼컴님 Sergei Admin W11PE 230705K 간단한 부팅기입니다 [15] 왕초보 791 21 08-31
10197 기 타| 중국 Win11PE 23H2 25398.345 버전을 한글화하여 보았습니다 [7] 왕초보 895 17 08-31
10196 소프트웨어| [종료]팟플레이어 단일파일(0830) [16] DengJang 571 33 08-31
10195 기 타| PE 레지스트리 하이브로드 언로드 [35] 집앞의_큰 619 64 08-31
10194 기 타| [재공유]KJ님의 WindowsXPE147 수정했습니다. [56] 노랑개굴 1050 89 08-30
10193 기 타| {공유] Windows11XPE_22000_2360 [63] 우인 828 126 08-30
10192 소프트웨어| 【폭파】 bat 2 exe converter 재수정 [12] 세이퍼컴 491 27 08-30
10191 기 타| 중국 Win10 x86 19043.844 버전을 한글화를 하여 보았습니다 [18] 왕초보 794 28 08-30
10190 기 타| 제어 센터 솎아내기 [63] 집앞의_큰 1171 93 08-29
XE1.11.6 Layout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