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 사용기

기 타 OKR PE 설명의 글

2023.08.15 07:31

집앞의_큰나무 조회:1574 추천:155

  

  사용 중인 윈도우를 wim파일로 백업했을 경우 

딱 한가지 좋은점이 있는데    윈도우 설치툴로 설치를 할 수 있다는점 입니다.

그외 wim파일을 마운트해서 수정하는것도 되니까 또다른 장점이기도합니다.

 

그동안 몇차례 언급을 했었습니다만 글이라는것이 항상 부족하기 마련이므로 한번더 포인트만 짚어봅니다.

최근 메인보드는 UEFI방식 기본값이 주류이므로 이설명도 UEFI방식에 해당됩니다.

 

먼저 OKR PE로 부팅하면 백업은

바탕화면에 있는 "윈도 백업"으로 백업을 합니다. 

5개까지 증분 백업이되며  5회 이상 백업을 하게되면 기존 파일은 날짜 파일로 바뀌고 새로운 백업을 합니다.

 

   주의 사항으로는 윈도우 파티션이 두개이상일때 내가 백업하려고하는 파티션이 C:로 할당이 되었는지 확인해야하며

   다른 드라이브로 할당이 되어 있다면 우클릭 메뉴로 C: 할당을 해준다음 백업을 하여야

   남의 다리를 긁는일이 없습니다.

1.png

 

 

백업 본이 저장될 파티션을 지정해줍니다.

시작이 되면 약간의 딜레이가 있으며

지정한 파티션에 scratch 폴더가 생기는데 메모리 폭주를 막아주는 폴더이며 완료 이후 삭제됩니다.

C: 파티션 윈도우는  선택한 드라이브 DISM_Backup 폴더에  C_Backup.wim파일로 백업됩니다.

2.png

3.png

4.png

 

======백업 완료==========================

 

 

 

윈도 복원

사용 중인 윈도우를 복원하는것이므로

       ESP파티션이 유지되고 있을테니   바탕 화면의 "윈도 복원"으로 복원하면 됩니다.

       확인 방법은   우클릭 메뉴에서 "숨김파일 및 폴더"를 누르면 ESP 파티션이 보입니다.

       이때 거의 대부분 하나면 Z로  둘이면 Z , W로 보일것입니다.

5.png

 

 

==========그러나 =========

 

파티션 작업을 다시 했을 경우

ESP파티션도 포맷되었을것이므로

이런 경우는 WinNTSetup으로 설치하시라는것 입니다.

Legacy방식의 백업본이든 UEFI방식의 백업본이든 무관하며 부팅방식에 맞춰서 설치하면 됩니다.

또한 다른 시스템에 설치하고 드라이버를 지워주면 (특히 그래픽 드라이버를)  깔끔한 부팅을 합니다.

 

       내장된 스크립트형 P-Q-S 파티션툴로 작업했다고 가정할때

      "전체 디스크 할당"을 선택했다면 그림처럼  P와 S로 분할됩니다.

      기타 나부래기 파티션이 생기지 않기 때문에 이것을 사용합니다.

6.png

 

7.png

8.png

 

 

 

 

 

 

백업되었던 C_Backup.wim파일을 찾아서 설치하면 됩니다.

만약 증분 백업본이라면 인덱스 선택을 해줍니다.

 

          P-Q-S 파티션 툴로 작업한경우이므로

          부트 드라이브 위치는 S이며

          설치 드라이브 위치는 P입니다.

          

9.png

 

10.png

 

 

 

 

 

혹시라도 ESP파티션 선택이 잘못되었다든가  실수로 지웠다든가.

파티션 작업 이후 윈도 복원으로 복원했다면  EFI 관련 파일들이 없어서 부팅을 못하게 되므로

런처를 띠워서 ESP파티션을 재생하면 됩니다.

 

     diskpart에서의  ESP파티션 표시는 Windows 파티션 곁에 표시되므로 볼륨 번호 선택은 쉽습니다.

 

2023-08-15_065556.png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등록일
[공지] 사용기/설치기 이용안내 gooddew - - -
10392 소프트웨어| Screen MP4 CAM 미니100 6029 0 09-12
10391 랜카드 점보프레임 설정에 대해 [3] 명왕성 10471 0 09-20
10390 소프트웨어| 윈도우8 가상 설치 해 봤습니다. 오늘을사는 6336 0 11-22
10389 윈 도 우| 에고 미국 전화인증 어려워졌네요 ;; [15] suk 5504 0 09-21
10388 Win7 x64 U (가상OEM) SP1설치 후 cache.dat최적화 [6] 록히드마틴 5671 0 01-16
10387 ㅠ.ㅠ 조립하다 VGA 날려 먹었네요 ㅠㅠ [9] 윈도우7xp 6637 0 09-25
10386 IE9 상당히 만족스럽네요. [22] 해미 9036 0 09-26
10385 7DIET3_Fix 설치완료!! [3] 다부실 19186 0 09-27
10384 소프트웨어| 여기까지는되었는데요 키보드 설치를 할 수없네요 ASD NOU... [12] peter 4201 0 03-02
10383 IE9 베타 64비트. 금융권 접속 사용기. [12] 철인28호 7298 0 09-28
10382 초미니 windows7 Ultimate 설치, 사용기 [18] 강민호 12471 0 09-29
10381 Nero Burnig Rom 9, 10 과 flac 화일 [5] 장다리 5989 0 09-30
10380 레이드 구성하니 킹왕짱이 되었습니다.. [12] 할리맨69 9378 0 10-01
10379 멀티부팅 프로그램 [1] 수송관 6642 0 10-04
10378 [허접한 사용기] 설범을 잠깐 맛봤습니다;; [22] Leche 7983 0 10-05
10377 소프트웨어| 4Dos(4NT)가 부활했군요..ㅎㅎ.. [9] bleach 4665 0 01-27
10376 소프트웨어| Z80 VHD WTG 설치 [3] 내것 8189 0 03-06
10375 전자담배 [15] 아이스언맨 6905 0 10-07
10374 곰플레이어vs팟플 리소스 [8] 메실 11924 0 10-07
10373 LG X140 넷북 윈도우7 울티메이트 K 설치후기 [9] 이병찬 9553 0 10-08
XE1.11.6 Layout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