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 사용기

기 타 DPI 변경 - setdpi.wcs 와 SetDpi.exe 사용기 입니다

2023.06.13 21:46

왕초보 조회:812 추천:20

윈포에 소개되는 PE에서 DPI 변경은 WinXShell 프로그램을 활용하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왕자님 PE에 DPI를 적용하는 테스트를 하면서 빠르게 변환시에 작업표시줄에 변화를 따라가지 못해서 아이콘이 보이지 않은 현상이 있었

습니다..

질문란에 이와 같은 글이 있은것을 보면 빠르게 DPI 변환시 이런 현상이 생길수도 있는것 같습니다

 

WinXShell로 DPI 변경시에 DPI 변경후 바탕화면과 작업표시줄에 등록된 아이콘이 깜빡이는 현상이 있습니다..

중국 setdpi.wcs을 보면 아이콘 캐쉬를 초기화 하는 과정이 있습니다..아마  WinXShell 에서도 이런 과정이 필요한것 같습니다

급속한 DPI 변화가 아니라면 작업표시줄의 아이콘이 보이지 않은 경우는 없을것 같기도 합니다..탐색기 재시작을 하면 당연히 정상적으로

보입니다

 

DPI 관련해서 질문란에 글을 써주신 가로등님께서 xemom pe의 dpi설정 파일을 첨부를 하여 주셔서 이것을 테스트 하여 보았습니다

좋은 정보를 알려주신 가로등님께 감사 드립니다

 

댓글에 관련 파일을 첨부하여 주셨습니다

 

qnd님 최신 PE 질문 올립니다.

https://windowsforum.kr/qna/19477555

 

DPI 관련해서는 작년에 내꼬님께서 소개를 해주셨었습니다..SetDpi.exe 이란 프로그램입니다.. 이 프로그램이 올해에 1.0 버전으로 업데

이트가 되었습니다

 

내꼬님 소개글입니다

 

SetDpi(모니터 DPI 변경)

https://windowsforum.kr/review/18750666

 

아래 링크에서 파일을 다운 받으실수 있습니다

 

SetDpi 1.0

https://github.com/imniko/SetDPI/releases

 

WinXShell에서 DPI 변경시에 작업표시줄에 아이콘이 나오지 않은 현상이 있어야 캡처를 하는데요..오늘을 그런 현상이 없네요

그리고 setdpi.wcs 와 SetDpi.exe 둘다 필요한 파일이 있습니다

 

1) setdpi.wcs 의 경우 최신 pecmd.exe 버전이 필요합니다

2) SetDpi.exe 의 경우 왕자님 Win10 RS5 기준으로 msvcp140.dll, vcruntime140.dll, vcruntime140_1.dll 파일이 필요합니다

 

간단히 테스트 하여 보아서 인지 setdpi.wcs 와 SetDpi.exe 에서 작업표시줄에 아이콘이 보이지 않는 현상은 일단 보이지 않았습니다

저의 경우 DPI가 125%만 적용되어서 테스트가 부족하기는 합니다. 참고 정도만 하여 주십시요

 

1. 작업표시줄에 아이콘이 나오지 않은 경우가 있었는데 오늘을 사용기를 쓰는것을 알았는지 여러번 테스트를 했습니다만..작업표시줄

  아이콘이 보이지 않아서 캡쳐를 못하였습니다 

1.jpg

 

2. 가로등님께서 질문글 댓글에 첨부하여 주신 파일을 살펴보았습니다..이 프로그램이 자동을 우클릭에 등록을 해줍니다..아주 편합니다

2.jpg

 

3. 소스에 pecmd.exe 버전을 체크하고 있습니다

3.jpg

 

4. 왕자님 PE에서는 아래처럼 에러 메세지가 나옵니다

4.jpg

 

5. 원본처럼 cmd 파일을 실행하는 방식으로 하였습니다

5.jpg

 

6. 못말리는 짱구님 PE에 있는 pecmd.exe 입니다..

6.jpg

 

7. 우크릭 메뉴에 아래처럼 등록이 되었습니다.. 하필이면 다시 시작과 시스템 종료 메뉴 사이에 메뉴가 생겼네요 

7.jpg

 

8. 125%로 설정을 하였습니다 아래처럼 메세지가 나옵니다..뭔가 부족한것이 있나 봅니다

  옛날에님께서 1차로 한글화를 해주신 버전에는 이런 메세가 없습니다....

8.jpg

 

9. 100%로 설정시에도 메세지가 나옵니다

9.jpg

 

10. 작업표시줄 아이콘들을 잘 보입니다..메세지가 나와서 클릭하는 시간이 있어서 연속해서 설정을 바꾸는것이 되지는 않았습니다

10.jpg

 

11.  SetDpi.exe를 System32 폴더에 넣고 Config.cmd를 수정하였습니다

11.jpg

 

12. 다행히 필요한 dll을 알려주네요

12.jpg

 

13. 파일 3개 추가후 DPI 변경이 잘되었습니다

13.jpg

 

14. 100 값의 위치가 변화를 따라가지 못하는 경우도 있네요

14.jpg

 

15. 다시 설정후 정상을 보이기는 합니다

15.jpg

 

16.  SetDpi.exe  파일 바이러스 검출은 이미 어떤분히 하셨네요

16.jpg

 

17. 옛날에님께서 1차 한글화를 해주신것으로 부팅을 하였습니다..현재 DPI를 표시하여 주고 있어서 좋습니다

17.jpg

 

18. 125%까지만 가능합니다..그래서 150% 설정시에 아래처럼 안내 메세지를 보여줍니다. 왕자님 PE에서는 이 부분에서 문제가 생기는것

 같습니다

 작업표시줄 아이콘이 보이지 않은 경우는 테스트시에는 없었습니다  환경이 다르면 다른 결가가 나올수 있습니다

18.jpg

 

19. 마무리

WinXShell외에도 DPI를 설정할수 있는 setdpi.wcs 와 SetDpi.exe가 있어서 간단히 PE에 적용하여 보았습니다

각각 나름대로의 장점이 있어서 마음에 드시는것을 활용을 하시면 될것 같습니다

 

다양한 환경에서 테스트 하지 못한 부분에 대해서는 양해를 하여 주십시요

 

편안하신 시간이 되시길 바랍니다

 

죄송합니다..최신 pecmd.exe를 빼먹고 첨부하였습니다

 

사용기에 사용한 setdpi.wcs와 setdpi.exe 파일입니다(수정).7z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등록일
[공지] 사용기/설치기 이용안내 gooddew - - -
7974 윈 도 우| DreamPE_x64_AIO_Lite 를 VHD 부팅하기 - 테스트 [27] suk 2322 21 05-26
7973 윈 도 우| Win10XPE 빌더에서 탐색기 파일 숫자 나오도록 빌드하는 방법 [14] sysnative 1049 21 08-03
7972 소프트웨어| ATI2018_10640PEF(종료) [36] sunshine 2227 21 12-29
7971 윈 도 우| 와우님과 큰나무님의 합작품 사용기 [69] 복태취업했 1307 21 04-20
7970 윈 도 우| Windows10_Pro_K_x64_sLove 설치 및 부팅 [107] 선우 4715 21 01-10
7969 윈 도 우| 윈도우 통합 백업 복구 프로그램 스냅샷 완료 [79] 굿듀님스토 3275 21 06-28
7968 윈 도 우| 설치기 [Windows_10_Pro_K_x64_by 콜*오] [73] 수퍼아저씨 3491 21 12-08
7967 윈 도 우| 저용량 PE (450Mb) [36] gooddew 10760 21 09-03
7966 소프트웨어| 윈도 iso 자유롭게 구성하기 bat 테스트 중입니다 [40] suk 2706 21 03-15
7965 소프트웨어| 스냅샷 v2 수정판입니다.^^ [33] 오늘을사는 2123 21 03-11
7964 윈 도 우| win10 PE x64. zip 배포 [56] 땅콩 4942 21 07-09
7963 윈 도 우| win8.1pe 재수정 배포 [56] 땅콩 5028 21 06-15
7962 윈 도 우| winpe 8.1 배포 [51] 땅콩 3344 21 06-14
7961 소프트웨어| 8.1PE와 8Mpe F 프로그램 연동테스트 [15] tara 4330 21 12-12
7960 소프트웨어| usb부팅 만들기 2 [32] 오늘을사는 7353 21 11-28
7959 소프트웨어| 오류 수정 종결판 ( 이 전에 받으신 분들은 다시 받으세요 ^^) [36] 오늘을사는 6565 21 05-11
7958 소프트웨어| 오랜만에 들려봅니다. ^^ [30] tara 4956 21 07-07
7957 소프트웨어| PC에서 안드로이드 설치 후 카톡 등 사용 [50] 씀바귀 18539 21 12-14
7956 소프트웨어| 윈8-anonymous-pe8 업! [28] 소~나무수 8038 21 03-03
7955 소프트웨어| 어느 회원님과 또다른 어느 회원님의 작업 결정체 [57] 필로 11998 21 08-28
XE1.11.6 Layout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