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 사용기

기 타 WifiInfoView(X) 없이 Wifi 자동연결을 하여 보았습니다

2023.03.21 10:51

왕초보 조회:1621 추천:20

인터넷이 되는 PE에서 인터넷 연결을 도와주는 PENetwork나 WinXShell에서 저의 경우 PENetwork만 활용을 하고 있습니다

업데이트가 되고 있지 않지만 오래전부터 사용을 해왔고 xml 추출기능도 있고 PENetwork.exe 폴더에 추출한 xml만 복사해주면 실행시

xml을 자동등록해주는 기능 때문이기도 합니다

 

어떤 프로그램을 활용하는지는 컴퓨터 상황에 따라서 다를것입니다 

지난 사용기에서 보셨듯이 PENetwork.exe는 무선연결시 자동연결을 해주지 않고 있습니다

이번에는 자동연결을 도와주는 WifiInfoView없이 오토잇으로 만든 프로그램만을 활용하여 보았습니다

 

wifi 자동연결에 netsh를 활용하는 경우 아래 명령어를 사용을 할수 있습니다

netsh wlan connect ssid=YOUR_WIFI_SSID name=PROFILE_NAME

 

저용량 PE의 경우 netsh사용할수가 없어서 WifiInfoView 처럼 netsh 파일과 상관없이 연결을 할수 있도록 wlanapi.dll 파일의 api를 활용

하였습니다..

WifiInfoView 파일 용량이 얼마되지 않지만 추가 파일이 필요가 없어서 간편하네요

 

 

1. 저용량 PE여서 netsh 관련 dll 들이 없어서 netsh를 활용할수가 없습니다..PENetwork를 활용하는 PE지만 무선랜 연결이 자동으로 되어

   마우스 클릭을 할 필요가 없습니다

1.jpg

 

2. WifiInfoView 파일이 없이 자동연결이 되었습니다..여러개의 xml이 있는 경우 첫번째 xml의 SSID로 자동연결을 시도합니다

   드라이버 설치 관련해서 설정이 되는데 시간이 걸릴수 있어서 2초에 한번씩 15번 시도를 합니다..인터넷 연결이 되면 종료가 됩니다

2.jpg

 

3. WinXShell의 경우 유선랜이 연결이 되어 있어서 인터넷이 되면 무선랜 자동연결을 하지 않습니다..

   이 경우 유선랜이 연결이  되어 있어서 무선랜 연결은 WifiConnect.exe 에서 무선랜 연결을 한번 시도합니다.. 한번 시대하고나서 인터넷

   연결을 체크하고 있어서 그렇습니다.

3.jpg

 

4. 오토잇으로 만든 x64 버전을 기본이 5개가 검출이 되네요

a.jpg

 

5. 마무리

무선랜 연결을 할때 활용하는 netsh.exe의 경우 cmd등에서 활용하기위해서 만들어진 것이어서 netsh.exe 파일이 없어도 wlanapi.dll를
활용하면 무선랜연결을 할수 있습니다..

댓글에 관련글이 있어서  wlanapi.dll 관련 자료를 찾아서 무선랜 연결을 하여 보았습니다

아마 윈포의 고수님들이시라면 하실수 있는 일것일것 같습니다

 

DrvIndex.exe 에서 무선랜 드라이버도 설치를 해주고 윈도우에 있는 암호화된 xml을 암호를 풀어서 PE에 등록을 해주는 기능이 있습니다

랜드라이버 설치를 할수는 없지만 WirelessKeyView가 있어서 이것으로 xml 암호를 풀고 풀은 암호로 xml를 만들어 등록을 하고 무선랜

연결을 할수도 있을것 같기도 합니다..다만 제가 능력이 안되기도하고 이미 편한 DrvIndex.exe가 있는데 하는 생각에 필요성이 거의 없는

것 같습니다

 

PENetwork만 활용을 하고 있어서 무선랜 자동연결까지 하여 보았습니다

 

오늘 하루도 웃음이 가득하시길 바랍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등록일
[공지] 사용기/설치기 이용안내 gooddew - - -
9752 기 타| 간단한! Ghost BR Message v2.0 - BCD,폴더 아이콘 적용 버... [56] 왕초보 875 110 04-25
9751 기 타| WinXShell로 옵션주고 작업표시줄 등록하기 입니다 [18] 왕초보 821 16 04-25
9750 기 타| qnd님 PE용 _Launch (자동으로 우클릭,폴더 바로가기 설정)... [11] 왕초보 956 18 04-24
9749 기 타| qnd님 PE용 _Launch (Pin,우클릭,폴더 바로가기)를 업데이... [8] 왕초보 687 9 04-24
9748 기 타| qnd님 PE와 지후빠님 _Launch 1.6 버전 사용기 입니다 [12] 왕초보 816 16 04-23
9747 기 타| 왕초보님 사용기 따라하기 ◀ ▶ Win10 Wangs런처 ㉫ⓐⓢⓨ PE [24] qnd 2186 44 04-23
9746 소프트웨어| (추가) _Launch 1.6 왕초보님 치트키? 적용 [13] 지후빠 1038 18 04-23
9745 기 타| 간단한! WimLib BR Message v3.0 - BCD,폴더 아이콘 적용 ... [84] 왕초보 997 131 04-22
9744 기 타| (초보분용) qnd님 로켓런처 PE 7-Zip으로 업데이트하기 입니다 [20] 왕초보 792 25 04-22
9743 기 타| qnd님 PE + _Launch(바로가기 만들기 기능추가)로 구성하... [11] 왕초보 935 14 04-21
9742 기 타| WinXShell 바로가기 지후빠님 아이디어를 적용하여 보았습니다 [9] 왕초보 792 14 04-21
9741 기 타| qnd님 PE + 지후빠님 _Launch 1.5 버전 사용기입니다 [10] 왕초보 811 16 04-21
9740 소프트웨어| [단1]TBI마운트+설명+지난번실수 금파도 재업 [10] 습관 992 19 04-21
9739 기 타| qnd님 로켓런처 _Launch에 순차정렬을 적용하여 보았습니다 [12] 왕초보 760 15 04-20
9738 기 타| 더 간단(?) WinXShell 작업표시줄 등록을 하여보았습니다 [14] 왕초보 815 15 04-20
9737 기 타| 간단하게(?) WinXShell 작업표시줄 등록을 하여보았습니다 [7] 왕초보 767 17 04-20
9736 기 타| qnd님 로켓런처 _Launch 수정해서 활용하기 입니다 [8] 왕초보 750 16 04-20
9735 소프트웨어| Office LTSC Pro Plus 2021 Down & Install [39] 지후빠 3087 65 04-19
9734 기 타| _Launch.exe에 오름차순 정렬을 적용하여 보았습니다 [9] 왕초보 844 13 04-19
9733 기 타| qnd님 로켓런처 버전을 취향대로 꾸며보았습니다 [12] 왕초보 827 19 04-19
XE1.11.6 Layout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