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 사용기

하드웨어 윈도우11 22H2 저장소풀 더티테스트

2023.03.10 11:28

읍민Kaine 조회:866 추천:6

이전에 올렸던 게시물 관련 더티테스트 결과입니다.

 

여기 먼저 참조: https://windowsforum.kr/review/19007893

 

그 사이에 11마존에서 Leven 이라는 대만 업체의 SSD (SATA3) 1TB (DRAM 있음)를 구매해서 위 게시물에서 구성했던 저장소풀에 추가했습니다. 1TB 모델이 2종인데 DRAM 이 장착된것으로 구매했습니다. 아마존 쿠폰과 우주패스 등 할인쿠폰 적용하니 51,000원 정도... 1TB인데...

 

그래서 저장소풀에 구성된 디스크 3개의 전체 사이즈는 1.75TB 인데 저장소풀에는 1TB만 할당해주고 나머지 공간은 일종의 프로비져닝 공간으로 방치해뒀습니다.

 

삼성 PM9A1 NVME Gen4 (메인보드 Gen3 소켓에 장착): 256GB (DRAM 있음)

WD Blue SSD 500GB: 500GB (DRAMless)

Leven JS600 Pro SSD: 1TB (DRAM 있음)

 

테스트 상황은 저장소풀 1TB 중 213GB 는 이미 다른 데이터들로 채워진 상태로 810GB의 빈 공간이 남아 있습니다. 810GB 의 빈 공간 중 80%인 648GB를 채우는 테스트입니다. 인터넷에 보니 꽉 채워야 테스트 의미가 있다는 소리도 있지만 사실 저장공간을 꽊 채울 때 까지 쓰는 경우는 거의 없지 않나 하는 생각도 들고... 사실 80% 정도 채워도 이미 새 디스크를 알아보고 있는 중일거 같아서 80% 채우기로 진행했습니다.

 

20230310_1031_저장소풀_DirtyTest.png

 

평균속도는 683MiB, MB로 환산하면 초당 716MB 정도 나오는군요. 여기 전부 올리진 않지만 전체 로그를 살펴보니 최고속도와 최저속도는 버리고 나면 대부분 300 ~ 420MiB/s 정도 유지해줍니다. 위 그래프에 들쭉날쭉한 부분... 높이 올라간 부분들이 2800MiB/s 까지 쓰고 있는 부분입니다. 이 부분들을 빼도 400MiB 는 유지해 주네요.

 

당연히 각 디스크들의 최고 쓰기 속도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전체적인 쓰기 퍼포먼스를 보면 80% 까지 채우는 상황에서 이 정도 속도를 유지해주고 있습니다. 현실에서 일반적인 유저라면 그닥 불만을 가질 속도는 아니라고 봅니다. 재미있는건 각 디스크들을 따로 테스트했으면 WD Blue 와 Leven 이 두 SSD 들은 저 속도가 절대 안나왔을겁니다.

 

20230310_1039_제목 없음.png

 

이건 해당 저장소풀 볼륨에 대한 CDM 벤치마킹 결과입니다. 아시다시피 최고속도라서 그냥 참고용이고 이전 게시물에 올렸던 수치들과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제 결론은... 저비용 내지 돈 안들이고 놀고 있는 저용량 저사양 디스크들로 괜찮은 속도로 사용하는 목적이라면 저장소풀 구성도 쓸만하다...입니다. 실제로 구성하는 방식을 보면 각 디스크들로 데이터를 분산저장하니 일종의 레이드 방식을 따르는 거니까 각 디스크들을 따로 쓰는거 보다는 빠를 수 밖에 없겠죠.

 

문제는 디스크들 중에 하나라도 문제가 생기면 다른 디스크들에 저장된 데이터들이 같이 망가진다는 점이겠죠. 중요하지 않은 데이터들 내지 단시간 머무는 임시 저장소 정도의 역할을 염두에 둔다면 사용해 볼 만 하겠습니다.

 

에... 로그파일 그냥 여기 올려둘테니까 관심 있으신 분들은 한번 살펴보세요.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등록일
[공지] 사용기/설치기 이용안내 gooddew - - -
2007 기 타| Reflect BR Single v2.3 버전 사용기 입니다 [10] 왕초보 870 24 01-19
2006 기 타| IFW BR에서 IFW 3.6 버전 사용하기 입니다 [11] 왕초보 870 17 01-04
2005 기 타| [종료]PE 플루이드 모션 설정 자동화 (진짜 최종 수정본) [18] DengJang 870 32 06-22
2004 윈 도 우| PinUtil PE 자료 & Easylight 289mb Internet PE 감사 ... [2] 항상감사 870 8 01-18
2003 소프트웨어| 미할당 영역에 grub4dos설치방법 부팅usb [11] 샤브샤브아 870 13 06-24
2002 기 타| Clinic PE - 해상도,DPI 원클릭저장 및 자동설정 기능을 추... [8] 왕초보 870 10 02-01
2001 기 타| [추가] 노랑개굴님 Menu.wcs을 활용하여 보았습니다. [11] 왕초보 869 23 03-23
2000 기 타| Hasleo Backup - 델타복원, 멀티 OS 반자동으로 진행을 하... [9] 왕초보 869 16 01-12
1999 기 타| Backupper BR Cmd 버전 - Cmd 명령어로백업 복원합니다 [42] 왕초보 869 87 06-02
1998 기 타| 지후빠님 WinXShell 강좌를 활용하여 보았습니다 [8] 왕초보 869 15 10-21
1997 기 타| 서기*님 PrincePE22 에서 USB Tools 폴더 관련입니다. [4] 왕초보 869 9 04-11
1996 기 타| win8pe 입력도구모음, 작업표시줄잠금 설정 저장하기 [10] 서기다 869 6 08-26
1995 기 타| 수정 Quantum SystemM Easy PE 부팅기 입니다 [8] 왕초보 868 16 12-05
1994 기 타| Win10XPE CreateISO.Script 파일입니다~(System계정 사운드) [9] 노랑개굴 868 16 04-11
1993 소프트웨어| 한글 자소 합치기 1버전 완료 [12] 내꼬 868 26 04-16
1992 윈 도 우| 옛날에님 뼈대 UEFI 부팅실패 [1] 바이두매니 868 1 06-12
1991 기 타| WimLibBR - USORT.EXE 활용 Cmd 업데이트... [10] 왕초보 867 12 10-28
1990 기 타| Clinic PE - 다양한 마우스 커서 활용하기 입니다 [10] 왕초보 867 15 02-06
1989 기 타| DarknessAngel님 방식을 IFW 백업,복원에도 적용하여 보았... [10] 왕초보 867 7 09-27
1988 기 타| 넷북때문에 기존 8PE를 101MB로 모방을 하여 보았습니다 [17] 왕초보 867 7 08-31
XE1.11.6 Layout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