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 사용기

기 타 OBR로 MBR에서 핫키 등록을 하여 보았습니다

2023.02.03 19:45

왕초보 조회:835 추천:17

MBR 시스템의 경우 Bootice로 MBR에 핫키 등록을 해서 윈도우가 부팅이 되지 않을때에도 핫키로 PE로 부팅을 할수가 있어서 응급

사태시에 편리하게 활용을 할수가 있습니다

핫키 등록을 직접하려고 하면 bootice와 grldr등 관련파일이 있어야 합니다..초보분이시라면 인터넷에서 자료를 찾아서 공부를 해야하는

불편이 있습니다

 

OBR에는 MBR 일때 핫키 등록을 해주는 옵션이 있습니다..삭제도 간단해서 초보분들도 쉽게 활용을 할수 있을것 같습니다

핫키 등록을 위해서 grldr 파일이 필요하듯이 OBR에서도 등록시 필요한 파일은 MBR 폴더라는 추가 폴더가 있어야 합니다

중국 사이트에서 다운받을 것을 압축을 풀명 ADD와 MBR 폴더가 있습니다..이럴때 필요한 파일들이 들어 있는 폴더였네요

 

OBR 관련해서는 아래 지후빠님글에 자세히 설명이 되어 있습니다 참고하여 주십시요

 

OBR_v2.1.10.10 PE 원키 백업/복원 테스트

https://windowsforum.kr/review/18962770

 

사용기를 보시면 핫키 등록 삭제가 너무 쉽네라고 하실것 같습니다

 

1. 윈도우가 32bit 입니다..어떤 PE 이름을 찾는지 알수가 없어서 pe 없이 진행을 하여 보았습니다

1.jpg

 

2. 재부팅 안내 메세지입니다

2.jpg

 

3. 작업중이라고 안내를 하고 있습니다

3.jpg

 

4. 32bit 여서인지 WinPE.wim 파일이 프로그램과 같은 폴더에 두라고 하네요

4.jpg

 

5. 1번은 중국 원본 PE입니다. 다운 받은 그대로 두어 보았습니다..WinPE.wim 이라고 수정하지 않아도 이것을 부팅용 PE로 활용을 하네요

  MBR 핫키 설치도 체크를 하였습니다

5.jpg

 

6. boot_x64.wim 파일이름으로 두어도 잘 진행이 됩니다..재부팅을 하지 않고 취소를 해서 PE를 교체해야 합니다6.jpg

 

7. C:에 BCD용 PE가 설치가 되었습니다

7.jpg

 

8. 백업 폴더가 있는 드라이브에 MBR 핫키용 PE가 설치되었습니다..C:가 포멧이 되어도 부팅이 될수 있도록 이렇게 다른곳에 PE를 설치를

  한것 같습니다

8.jpg

 

9. 중국 원본 boot_x64.wim 파일이 설치되었습니다

9.jpg

 

10. bcd에도 메뉴가 추가되어서 bootice로 접근이 안되네요..

10.jpg

 

11. MBR 핫키가 등록이 되었습니다..Ctrl+F8 이 핫키입니다..bootice로 등록을 한것이 아니어서 여기에서 보이는 grldr은 아닙니다..

11.jpg

 

12. 핫키로 진입을 하려고 했더니 OBRNW 파일이 없다고 합니다..grldr을 OBRNW로 수정을 해서 활용하나 봅니다

12.jpg

 

13. 자동 백업은 진행이 잘됩니다

13.jpg

 

14. OBR 삭제는 아래 버튼으로 진행을 합니다.. 백업 폴더외에 다 정리를 하여 줍니다..초보분들도 편하게 활용을 하실수 있습니다

14.jpg

 

15. 백업 폴더만 남기고 다른 폴더들은 삭제가 되었습니다

15.jpg

 

16. MBR도 복원이 되었습니다

16.jpg

 

17. 최신 중국어 버전에서는 백업폴더 삭제 기능이 있어서 활용을 하였습니다

17.jpg

 

18. ADD, MBR 폴더는 중국 사이트에서 다운 받으면 있는 폴더입니다.

18.jpg

 

19. ADD 폴더는 pe에 파일이 없는 경우 추가를 해주기 위한것 같습니다..MBR은 핫키등록시 PE 부팅에 필요한 파일이 있네요

19.jpg

 

20. 실수로 백업 프로그램을 Imagex로 선택을 했네요

20.jpg

 

21. MBR 폴더가 있어서 grldr 파일인 OBRNW 파일이 추가가 되었습니다

21.jpg

 

22. 2번은 boot.wim 부팅을 위해서 수정된 bootmgr 파일 같습니다

22.jpg

 

23. 재부팅 메세지에서 취소를 하고 PE를 교체하였습니다...백업을 위해서 PE로 부팅중입니다

23.jpg

 

24. 자동 백업이 실행되었습니다 시간이 걸리는 imagex여서 바로 재부팅을 하였습니다

24.jpg

 

25. 백업 폴더 삭제후 다시 백업을 진행하였습니다

25.jpg

 

26. 백업중입니다

26.jpg

 

27. 핫키로 PE 부팅을 하여 보았습니다

27.jpg

 

28. PE로 부팅을 하였습니다

29.jpg

 

29. 내장된 3개 프로그램 입니다

30.jpg

 

30. BCD에도 등록이 되어 있습니다..MBR 핫키, BCD 메뉴 필요에 따라서 활용하면 될것 같습니다

31.jpg

 

31. 복원을 진행하여 보겠습니다

32.jpg

 

32. pe에서 자동복원 중입니다

33.jpg

 

33. 복원이 잘되었습니다

34.jpg

 

34. 마무리

요즘은 Uefi 컴퓨터여서 MBR 컴퓨터는 구닥다리 컴퓨터 밖에 없을것 같습니다

초보분들도 OBR을 활용하시면 MBR 핫키 등록 및 삭제가 편해서 활용하기가 좋은실것 같습니다

좋은 기능이 있으면 최대한 활용하는것이 좋죠....잘 되시길 바랍니다

 

며칠동안 OBR 매력에 빠져서 열심히 테스트를 해보게 되었네요..

 

오늘 하루도 고생이 많으셨습니다

편안하신 시간이 되시길 바랍니다

 

MBR에서 핫키 설정에 필요한 MBR 폴더 입니다 

MBR 폴더로 압축해제후 OBR.exe와 같은 폴더에 두시고 작업하시면 됩니다

 

MBR.7z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등록일
[공지] 사용기/설치기 이용안내 gooddew - - -
7414 기 타| XorBoot Boot Manager 사용기입니다 [20] 왕초보 1218 17 01-24
7413 소프트웨어| DISM++ 따라하기(최적화) [11] 내꼬 3051 17 06-22
7412 서버 / IT| 구글드라이브 다운로드 용량 초과 우회 방법 [6] 도전정신 2961 17 10-25
7411 윈 도 우| 카조님 windowsforumPE V2 실행을 해봤습니다. [13] 하늘은높고 1225 17 12-27
7410 윈 도 우| [질문에답] bootice.exe로 PE 등록 + VHD에 PE 부팅 [17] suk 1055 17 09-29
7409 소프트웨어| wim <-> esd 변환 (RSImageX 테스트) [14] suk 2110 17 09-20
7408 소프트웨어| AIO_Boot_Extractor 테마 관련 폰트 [12] 메인보드 610 17 09-16
7407 윈 도 우| 윈도우 서버는 윈도우 사용중에 복구 가능합니다 [16] suk 1300 17 10-04
7406 윈 도 우| OS 설치된 날짜 변경 반자동화 [15] 집앞의_큰 1142 17 09-06
7405 윈 도 우| [사용기]카조님 WTG Windows 10 Ultimate [20200831] [17] 간장종지646 1927 17 08-31
7404 윈 도 우| Windows 10 Ultimate 순정 써보기 [16] 동백 2346 17 08-25
7403 기 타| S-Info 아직은 실패 [23] 집앞의_큰 753 17 08-05
7402 윈 도 우| [실사] 윈도우11 VHD 설치 그까이꺼 대충 ㄱㄱㄱ [7] Geheimnis 1210 17 07-11
7401 윈 도 우| 가장 기본인 명령어로 윈투고 만들기 (BIOS 부팅) [4] 디폴트 2126 17 05-22
7400 윈 도 우| 레지DB 나부랭이에 관하여 [17] 집앞의_큰 1094 17 08-18
7399 기 타| 간단한 할수 있는 게임 6종 [7] gooddew 2855 17 05-05
7398 윈 도 우| 히이이잌님 19H2_2002V2r01, v5.42 간략테스트 [12] 항상감사 1602 17 02-26
7397 윈 도 우| 꼬져님 작업분 테스트 [23] 집앞의_큰 1451 17 02-25
7396 윈 도 우| kj님 Win10XPE27 USB부팅 설명서 보고 만들엇습니다 [16] 못돼먹은천 1906 17 02-22
7395 기 타| K*m님 런처 활용 [내용추가 및 수정 그리고 중복파일 수정] [25] SHIELD 990 17 08-26
XE1.11.6 Layout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