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 사용기

윈 도 우 DISM_OKR 일곱번째 엔진

2023.01.19 13:45

집앞의_큰나무 조회:1978 추천:104

 **백업은 관계 없지만 복원은 꼭 숙달된분만 사용하셔야 합니다.   

      윈도우 사용 중에 출발하며 자동 백업 복원 기능 내장 입니다.

 

엔진 설명

P: 휘발성 1회 PE부팅  ->자동화 작업전 한번쯤은 PE로 부팅해서 Nvme 인식 및 C:드라이브 할당이 정상인지  살펴보기

B: 원키 백업                -> PE로 자동 부팅되어져 OS가 인덱스5번까지 증분 백업됨

R: 원키 복원               ->PE로 자동 부팅되어져  마지막 인덱스를 복원함

E: 추출                      ->증분 백업된 파일에서 꼭 필요한 것 하나 추출할 수 있음

O:삭제                      ->증분 백업 파일에서 인덱스 선택 삭제함  5개 중에 하나 삭제하면 인덱스는 1234가 남겨짐

 

휘발성 부팅을 해보고 Nvme 구성의 C: 인식이 안된다면 Driver를 통합해주는 조치가 필요함

스스로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되므로 염려는 주머니에 넣어둬도 됨

단언컨데 이 엔진 출발시 C: 할당이 삑싸리나는 경우는 없음

단 멀티 부팅 설정이 된경우 선택 부팅된 상태에서는 PE부팅을 찾지 못하므로 Bios에서 결정된 부팅 메뉴상에서 작업 해야됨

어찌 되었건 백업이 있다면 꼭 복원이 아니더라도 설치해버리면 됨

1.png

 

 

 

출발

혹여라도 문서 작업 중에 잘못 눌려 저장을 못하고  출발되면 곤란을 격을것 같아서 5초 여유 줌 

빠르게 창을 닫으면 중지됨

2.png

 

 

 

B로 출발한 경우 

PE상에서 CMD는 항상 정중앙에 위치하고 

이미 백업이 되어 있으면 증분 백업을 함

증분은 5번까지 되며  5개 꽉찬 백업파일이 있으면 이름을 날짜 시간 이름으로 바꿔버리고 새롭게 백업됨

멀티 윈도우 사용시 Windows 10 과  Windows 11이 합쳐 질 수 있음

3.png

 

풀.png

 

 

 

R로 출발 

백업 파일이  없거나 

C:드라이브가 출발 할때와 다르면 종료됨

 

역시 CMD는 정중앙에 위치하며

멀티 인덱스의 경우  마지막 백업분을 복원함

그러하므로  멀티 윈도우 사용시  복원할때에는 주의를 요함

자칫 잘못하면 다른 OS로 복원 될 수 있음 -- 기억하고 있다면 큰 문제 없음

4.png

 

 

 

작업이 종료되면 자동으로 재부팅을 하게되는데 

PE를 사용할 일이 있으면 5초내에 창을 닫아버리면 PE상태가 유지됨

 

5.png

 

 

 

 

 O를 눌러서  불필요한 인덱스는 삭제 가능

 

2023-01-19_130918.png

 

 

 

 

E를 눌러서 꼭필요한 인덱스만 추출 할 수 있음

 

추출.png

 

어떤 드라이브이든지 깔끔하고 넉넉한 드라이브

루트에 풀어주고 사용하면 되며 PE_LINK폴더가 있으므로 인하여 PE부팅상에서는 Y:드라이브로 할당됨

PE는 내장되지 않음,  

UEFI 시스템의 경우 ESP파티션은 고스란히 유지되므로 OS만 백업 되더라도 문제 없음

정히 ESP파티션을 청소하고 싶다면 백업된 파일을 설치하면 됨 또는 작업줄에 공구모양 아이콘을 클릭해서 설치해도됨

OKR PE 겸용 PE (Admin PE제외 --수정 중)  아무것이나  PE폴더에 boot.wim으로 붙여넣고 사용가능  -DS_OS만 일곱번째.7z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등록일
[공지] 사용기/설치기 이용안내 gooddew - - -
5752 윈 도 우| 윈도 시스템 백업으로 만들어진 vhdx를 멀티 부팅하기 [9] suk 1073 16 05-19
5751 윈 도 우| XPE 제이유컴님자료 빌드업사용기 [13] 복태취업했 1056 6 05-19
5750 윈 도 우| 제이*컴님 5월17일자 빌드(네트웍 공유 테스트) [10] 항상감사 977 8 05-20
5749 윈 도 우| Windows 10 Pro for Workstations St41 Plus 설치해 보았습... [102] lakeside 2194 38 05-20
5748 기 타| 시스템 오류 수정 관련 [29] 집앞의_큰 1146 26 05-22
5747 하드웨어| 무선 마우스 ROYCHE RX-M1 사용기 번개 805 2 05-24
5746 윈 도 우| xpe 제이유컴님 빌드로 테스트 [16] 복태취업했 531 5 05-24
5745 윈 도 우| 또 업데이트된 제이유컴님의 WIN10XPE 빌더사용시 초보자들... [17] 오짜 932 9 05-24
5744 윈 도 우| 윈도10 레드스톤5 인사이더 프리뷰 17677.1000 빌드 나왔네요 [10] suk 1039 12 05-25
5743 기 타| Win10XPE_2018-05-17 원본으로 PE 만들어봤습니다 [26] suk 2647 21 05-25
5742 윈 도 우| DreamPE_x64_AIO_Lite 를 VHD 부팅하기 - 테스트 [27] suk 2320 21 05-26
5741 윈 도 우| 윈도10 에 윈도7 멀티 부팅하기 [단일 부팅 포함] [18] suk 1520 12 05-27
5740 윈 도 우| 6W10x64L2PE.wim 네트워크 공유확인 [28] lakeside 1546 13 05-27
5739 윈 도 우| CMD도구로 윈도우 설치 [27] 집앞의_큰 1784 29 05-28
5738 기 타| Windows PE 뼈대 테스트 [49] suk 4437 46 05-28
5737 윈 도 우| Win10 Lite Edition 누락파일입니다. [11] maniaa 1635 10 05-29
5736 윈 도 우| Win10 Lite Edtion AutoCAD용 누락파일 [9] maniaa 1144 7 05-30
5735 기 타| 8pe x86 으로 인터넷 잡기 테스트 [16] suk 1304 15 05-30
5734 윈 도 우| 윈도10 레드스톤5 인사이더 프리뷰 17682 빌드 나왔네요 [13] suk 1247 12 06-01
5733 기 타| [정리] Win10XPE 2018-06-02 테스트 [한글 입력 해결 방법] [7] suk 2044 12 06-02
XE1.11.6 Layout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