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 사용기

소프트웨어 드라이브 읽기전용 설정/해제 배치파일(diskpart)

2023.01.06 23:57

지후빠 조회:854 추천:21

- 1월9일 00:00분 추가 -

 

drive_readonly.cmd

drive_letter_assign_remove.cmd 처럼 실행시 대상 드라이브를 설정하여 배치파일이름-드라이브.cmd 형태로 복사합니다.

- drive_readonly-C.cmd 처럼 readonly로 설정할 수 없는 C는 실행시 마다 대상 드라이블를 선택하게 합니다.

- drive_readonly-E.cmd 형태는 E 드라이브를 읽기전용 설정하거나 해제합니다.

- 이동식 디스크 등 고정식으로 인식되지 않는 드라이브를 설정되지 않습니다.

- 첫실행; 파일 이름에 대상 드라이브 정보가 없을때 

readonlyc1.jpg

- drive_readonly-E.cmd 처럼 대상드라이브가 있고, 첫 실행시

readonlyc2.jpg

- 다시 실행시, 토글이 반복됨

readonlyc3.jpg

- C; Choice 입력시 drive_readonly-C.cmd 형태의 이름 생성

readonlyc4.jpg

- drive-readonly-C.cmd 첫실행시 ; 대상 드라이브 선택 과정 나옴

readonlyc7.jpg

- 다시 실행시 ; 역시 대상 드라이브 선택 과정 나옴

readonlyc6.jpg

 

테스트가 충분치 않습니다. 오류 발견되면 댓글 부탁드립니다. ^^

또 밤이 깊어 갑니다. 편히 주무십시오. ~.~

 


안녕하십니까? 작성중 좌측 공지사항을 잘못 눌러 날라갔습니다.ㅠㅠ

 

몇일전 질문이 - https://windowsforum.kr/qna/18858596 - 있어서 만들었습니다.


자게의 모자님 게시글의 - https://windowsforum.kr/free/18872199 - 댓글에 올린 내용입니다.

얼마전 질문게시판에 올라와 테스트해보고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렸습니다.

- 고정형, 외장형 HDD/SSD -> readonly 설정가능

- usb flash disk 중 드라이브 우클릭에 '꺼내기" 메뉴 있으면 -> readonly 설정불가

- usb flash disk 중 드라이브 우클릭에 '꺼내기" 메뉴 없으면  -> readonly 설정가능

usb flash disk 중 드라이브 우클릭에 '꺼내기" 메뉴 있고, 없고는 usb controller 차이로 여겨집니다.

이전에 올린 drive_letter_assign_remove.cmd 와 비슷하여 편집하는 중에 있습니다.


위의 가정이 정확히 맞는지는 모르겠지만 어쨌든 USB메모리는 일부만 가능합니다.

과거 drive_letter_assign_remove.cmd 수정하여 만들다가 멈추고, (주말에 추가할 수도...)

배치파일이 있는 드라이브를 읽기 전용으로 설정하거나 해제할 수 있게 하였습니다.

- 해당 저장장치 hdd/ssd/usb 루트에 저장해두고 사용할 수 있도록.

 

this_volume_readonly.cmd

-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됩니다. (관리자 권한이 아닌 경우 UAC 창이 나타납니다.)

- 윈 11, 10, 7에서 확인하였지만 테스트가 충분치 않습니다.

- diskpart 기능이라서 문제 있을 가능성은 없어 보입니다.

- 첫 실행시; 읽기전용 설정

readonly1.jpg

- 읽기 전용이라 쓰기 안됨.

readonly2.jpg

- 다시 실행; 해제

readonly3.jpg

- 안되는 타입의 USB 메모리에서 실행시

readonly4.jpg

- 일단 설정 후 다른 PC에서도 읽기 전용으로 유지되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만...

 

테스트 후 문제 있으면 댓글로 피드백 부탁드립니다.

밤이 깊어 갑니다. 편히 주무십시오. ^^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등록일
[공지] 사용기/설치기 이용안내 gooddew - - -
9687 윈 도 우| 새로워진 검색창_chrome에서도... [4] 4k8k 1381 7 03-20
9686 기 타| WifiInfoView를 활용해 Wifi 자동연결을 하여 보았습니다 [12] 왕초보 1102 14 03-20
9685 소프트웨어| 크롬 우클릭 가능 확장 프로그램 [4] asklee 1597 16 03-19
9684 기 타| PE에서 WirelessKeyView + xml 로 암호보기 입니다 [20] 왕초보 1264 21 03-19
9683 소프트웨어| PE에서 HOST 무선랜 정보 이용 [12] 지후빠 958 12 03-19
9682 윈 도 우| 윈11 22H2 22624.1465 드디어 아이폰과 PC 연결됨 [2] 헬바바 1647 7 03-17
9681 소프트웨어| RSPASC1.59.exe [15] 카멜 1522 21 03-16
9680 윈 도 우| Micro19043.1165 [32] sunshine 2793 65 03-16
9679 윈 도 우| [체험기] ToolsEL PE 최종에 App 추가 [12] parannara 1709 23 03-15
9678 윈 도 우| March 14, 2023—KB5023706 (OS Build 22621.1413) [1] 4k8k 679 6 03-15
9677 소프트웨어| DeepL 번역기 확장프로그램 [8] asklee 2328 23 03-13
9676 기 타| Wimboot설치 길라잡이 [29] 우인 2596 56 03-12
9675 윈 도 우| [부팅기] 퀀텀 ToolsQT Full.iso PE [26] parannara 2351 27 03-11
9674 윈 도 우| [따라하기] 토리™님 테스트용 WIN10 PE 업데이트 [22] parannara 1166 24 03-10
9673 기 타| 중국 PE 한글화 - 레지파일 용량이 가장 최소네요 [12] 왕초보 1314 21 03-10
9672 하드웨어| 윈도우11 22H2 저장소풀 더티테스트 [4] 읍민Kaine 810 6 03-10
9671 기 타| 다양한 기능이 있는 중국 PE - 설정들이 특이하네요 [18] 왕초보 1363 28 03-09
9670 기 타| [ISO 첨부] W10UI.cmd으로 winre.wim 누적 업데이트후 PE ... [14] 왕초보 1264 16 03-08
9669 기 타| 특이한 중국 PE를 한글화 하여 보았습니다 [16] 왕초보 1589 28 03-08
9668 기 타| 중국 Win10 PE 한글화 - IME를 적용하여 보았습니다 [16] 왕초보 1033 30 03-07
XE1.11.6 Layout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