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과 답변

윈 도 우 [윈도우11] 작업 관리자 창을 닫는 단축키를 다시 살리는 방법?

2022.12.19 21:33

feynman 조회:507

OS로 윈도우11 22H2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동안 윈도우10을 사용해 오다가 윈도우11 22H2로 클린설치하여 갈아탄 지 이제 40일 정도 됐습니다.

 

메인 엔진이 바뀌었으니 처음엔 어색한 게 당연하다고 생각하는 주읜데요.

그래서, 왠만한 건 으레 그러려니... 생각하고 익숙해지려 합니다.

 

하지만, 윈도우8이 처음 나오던 시절 많은 사용자들로부터 경악에 가까운 반응을 보이게 했던 시작메뉴가 사라진 것만큼은 아닐 지 몰라도

윈도우11에서 아무리 그래도 좀처럼 익숙해지지 않는 변화들이 있습니다.

 

가장 대표적인 게 파일 탐색기와 바탕화면에서 마우스 우클릭 컨텍스트 메뉴이죠.

Shift+F10키를 하나 더 눌러야 기존의 컨텍스트 메뉴로 들어갈 수 있는 인터페이스 변경은 개인적으론 도저히 익숙해지지 않더군요.

결국 StartAllBack이나 Windows 11 Classic Context menu와 같은 써드파티 앱으로 윈도우10 스타일로 변경했죠.

이런......

 

작업 관리자의 경우에도 윈도우11에서 GUI가 꽤 바뀌었죠.

외형면에서 볼 때, 윈도우10과 비교해 가장 큰 변화는 아무래도 탭의 배열이 윈도우10까지 유지해 오던 수평 배열과 달리,

윈도우11에서는 수직 배열로 바뀌었다는 점일 겁니다.

 

윈도우10의 작업 관리자 인터페이스는 다음과 같죠. (출처: KEBI BLOG)

Task Manager @Win10 [KEBI Blog].png

 

이게 윈도우11에선 이렇게 바뀌었습니다. (출처: 내 PC)

Task Manager @Win11.png

 

개인적으론, 적어도 작업 관리자의 인터페이스만큼은 윈도우11의 변경사항이 더 맘에 듭니다.

그리고, 윈도우11에서 각 탭의 이동과 관련된 단축키들도 이전의 윈도우10과 다름없이 그대로 유지됩니다. 다시 말해,

윈도우 10의 작업 관리자에서 각각의 탭을 좌우로 이동하는데 할당된 단축키인

 

Ctrl+Tab (왼쪽 탭에서 오른쪽 탭으로 이동)

Ctrl+Shift+Tab (오른쪽 탭에서 왼쪽 탭으로 이동)

 

이 단축키들이 윈도우11에서도 여전히 유효하게 적용됩니다.

단지, 윈도우11에서는 탭의 배열이 수직 배열로 바뀌었기 때문에 탭의 좌우 이동이 아니라 상하 이동으로 바뀌었을 뿐이죠.

 

그런데, 작업 관리자에서도 윈도우11의 변경 사항 중 하나가 개인적으론 여전히 익숙해지지 않더군요.

그건 바로 윈도우10까지 작업 관리자를 종료하는 즉, 작업 관리자 창을 닫는 단축키로 지정되어 있었던 Esc키가

윈도우11에선 사라진 겁니다.

 

저의 경우, 잘 떠 올려 지지도 않는 기억을 더듬어 보자면 적어도 윈도우 비스타(?) 시절부터 작업 관리자 창을 닫는 단축키로 Esc키를

아주 요긴하게 써 먹었었습니다.

굳이 마우스 커서를 움직여 창의 X자를 누르거나 작업 표시줄의 아이콘에서 닫기를 일일이 찾지 않더라도 왼쪽 손가락으로 Esc키를 누르기만 하면

작업 관리자 창이 닫혔죠.

그래서, 적어도 저에겐 이게 완전히 습관이 되어 버렸습니다.

 

그런데, 윈도우11에선 작업 관리자에서 더 이상 이 Esc키가 안 먹히더군요.

윈도우11을 사용하고 있는 지금도 작업 관리자 창을 닫을라치면 저도 모르게 무의식적으로 왼쪽 새끼손가락이 Esc키를 누르고 있습니다.

당연히 작업 관리자 창은 닫히지 않죠.

 

이게 마우스 우클릭 컨텍스트 메뉴와 더불어 개인적으론 윈도우11에서 가장 익숙해지지 않는 점이더군요.

 

그래서, 다음의 질문을 고수분들께 드립니다.

윈도우11에서도 작업 관리자 창을 닫는 단축키를 지정하는 방법이 있을까요?

있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할수만 있다면 윈도우10까지 사용해 오던 Esc키를 살려서 계속 사용하고 싶습니다.

 

고수분들의 조언을 부탁 드립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등록일
[공지] 질문과 답변 게시판 이용간 유의사항 gooddew - -
95784 윈 도 우| 1월10일이후 윈도우7 업데이트 안된다네요 [11] MSTSC 768 01-09
95783 윈 도 우| 멀티부팅가능 문제좀 문의 드릴려고 합니다. [1] EP-Se 379 01-09
95782 소프트웨어| [스마트폰]이번에 카스퍼스키 백신을 구입해서 써볼려고 하... [1] 대끼리야 196 01-09
95781 기 타| A3 용지는 주로 어디에 사용이 될까요? [6] ton3d 560 01-09
95780 하드웨어| 현재 사무용 PC 본체의 가격은 어떤 편인가요? [5] ton3d 650 01-09
95779 소프트웨어| Macrium Reflect Server Plus 쓰시는 분 계신가요? [2] -가츠- 351 01-09
95778 윈 도 우| 우인님 PE 부팅시 에러 발생 도움 요청드립니다. [10] 거미손 449 01-09
95777 윈 도 우| 어떤게 나은가요 ? [4] 토끼다 466 01-09
95776 윈 도 우| 윈도우 11 봉인이미지를 만들고 있습니다. [6] Roke~! 550 01-09
95775 하드웨어| 나스 레이드 5 관련 질문 있습니다 ㅠ [4] 적상이 320 01-09
95774 윈 도 우| 윈도우 10 Home 로컬계정으로 무인설치하는 법 아시나요? [6] 카룬 530 01-09
95773 하드웨어| lcd tv 설정에서 광출력 spdif 출력으로 설정시 내부tv스피... [2] 빨간미소 376 01-08
95772 하드웨어| 모니터 고장 한번 봐 주세요.. cosmosa 440 01-08
95771 윈 도 우| 윈도우 11 설치 문의 [4] 강남역5번 923 01-08
95770 소프트웨어| 혹시 TDism 파일이 상용인가요? [2] 한아름 477 01-08
95769 윈 도 우| 디스크 포맷 관련 문의 드립니다 [2] SummerSnow 452 01-08
95768 하드웨어| ssd 마이그레이션 관련 질문입니다 [1] SummerSnow 464 01-08
95767 하드웨어| 메인보드 고장? CPU 고장? [19] 익덕이 915 01-08
95766 윈 도 우| 윈도우 복구 시 IP 주소 설정 가능한가요 매니안매냐 214 01-08
95765 윈 도 우| 윈도우10 PE 프로그램 추가방법 [2] 화랑이 813 01-07
XE1.11.6 Layout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