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과 답변

소프트웨어 써드파티 프로그램의 마우스 우클릭 컨텍스트 메뉴에 단축키 신규 등록 및 수정

2022.11.25 07:18

feynman 조회:383

OS로 윈도우11 22H2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용 중 사용상의 번거로움을 덜어내고자 하는 의도에서 고수분들에게 다음의 질문을 드리려 합니다.

 

아무래도 구체적인 예를 드는 게 질문의 요지를 잘 전달할 것 같군요.

 

1. 파일 탐색기 상에서 파일이나 폴더를 삭제하려고 할 때 윈도우의 기본 기능을 사용해도 사실상 별 문제가 없긴 하지만,

저의 경우 보다 확실하게 하기 위해 이른바 "보안 삭제" 프로그램 중 하나인 SDelete라는 써드파티 프로그램을 사용합니다.

이 프로그램은 자체적으로 쉘 통합기능을 제공하고 있어서 파일 탐색기 상에서 삭제하고자 하는 파일이나 폴더를 마우스로 선택한 후에 우클릭하면

컨텍스트 메뉴에 아래의 사진과 같이 SDelete 메뉴가 뜹니다.

SDelete.png

이 상태에서 마우스 커서를 해당 메뉴까지 움직여서 클릭하면 보안 삭제가 실행됩니다.

다만,

이 메뉴에다 다른 컨텍스트 메뉴들에서 보이는 단축키를 새롭게 설정해서

컨텍스트 메뉴가 떴을 때 마우스를 움직이지 않고 바로 단축키를 눌러서 SDelete를 실행하게 할 수는 없을까요?

다시 말해, 컨텍스트 메뉴 상에서 윈도우 기본 삭제의 단축키인 D 또는 완전한 삭제에 해당하는 "Shift+D"와 같은 단축키를 새로 등록했으면 하는데요.

사진에서 보시다시피 SDelete의 컨텍스트 메뉴에는 단축키가 설정되어 있지 않습니다.

 

2. 윈도우 압축 프로그램으로 많은 분들이 사용하고 있는 반디집이란 국내에서 제작된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특히, 국내의 사용자들은 왠만하면 이 프로그램을 아실텐데요.

저도 이 프로그램을 압축파일의 해제나 압축파일의 생성용으로 가장 많이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파일 탐색기 상에서 열고자 하는 압축파일을 마우스로 선택하고 우클릭하면

컨텍스트 메뉴에 아래의 사진과 같이 반디집 메뉴가 뜹니다.

Bandizip.png

앞서 언급한 SDelete와 달리, 이 반디집 메뉴는 보시다시피 단축키로 G가 프로그램 설치 시 디폴트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이 G키는 또한 윈도우에서 제공하는 내장 기능 중 레지스트리 파일을 병합하는 기능의 단축키이기도 합니다.

즉, 컨텍스트 메뉴 상에서 반디집과 "병합"의 단축키가 중복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반디집 설치 시 디폴트로 설정되는 단축키인 G를 다른 키로 변경했으면 하는데요.

그럴 수 있다면 레지스트리 파일의 "병합" 기능은 단축키 G를 누르기만 해도 바로 실행될 수 있죠.

 

제 질문의 요지는 이렇습니다.

마우스 우클릭하여 나타나는 컨텍스트 메뉴 상에 등록되어 있는 메뉴들 중에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은 써드파티 프로그램의 메뉴를 실행하게 하는 단축키를 설정하는 방법을 알고 싶습니다.

 

1번의 경우와 같이 프로그램 설치 시 디폴트로는 단축키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메뉴에 단축키를 새롭게 설정한다던가

2번의 경우와 같이 프로그램 설치 시 디폴트로 설정되어 있는 단축키를 다른 키로 변경하는 방법을 알고 싶습니다.

 

이상입니다.

그러면 고수분들의 도움을 부탁드리겠습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등록일
[공지] 질문과 답변 게시판 이용간 유의사항 gooddew - -
13464 윈 도 우| 드라이버 설치 좀 도와주세요! ㅠㅠ [9] 보노보노아 382 04-05
13463 모 바 일| 갤럭시 S20 녹취 관련 질문입니다. [2] 파풍초 382 02-20
13462 윈 도 우| 윈도우디펜더 자동업데이트 설정을 하고 싶은데... [1] slhyou 382 02-05
13461 윈 도 우| 장치 차단 및 쓰기금지 원리가 궁금합니다. [3] 내찬AEEV 382 11-08
13460 윈 도 우| 월별 품질 롤업 업데이트 필수 설치? [2] keywest 382 03-16
13459 윈 도 우| 크롬 브라우저 따라쟁이 우측하단 광고창 문제..ㅠ.ㅠ [4] 삼손의무 382 06-03
13458 윈 도 우| 카리스마조님 PE에서 Raidrive 설치후 실행시 한글깨져 안... [2] keen 382 04-20
13457 윈 도 우| rtm인가요? 아름드리나 382 04-18
13456 윈 도 우| win10xpe 오류가 계속 납니다. [7] 탱크 382 03-17
13455 윈 도 우| 윈도우10에서 작업표시줄 색상을 지정한 다음, 농도를 조정... [1] 길나미 382 05-25
13454 소프트웨어| VPN 안드로이드 어플 추천해주세요 [2] 건스 382 02-18
13453 윈 도 우| 만능 윔 설치 파일 만들기 질문 [2] gkgk77 382 08-08
13452 윈 도 우| 윈도우10에서 edge하고 ie10하고 같이 사용할수도있나요? [3] 센시로 382 05-14
13451 윈 도 우| 꾀나 전에,, 윈도우 자동 설치 스크립트를 본거 같은데 ,, [8] ZzangD0L 382 03-09
13450 윈 도 우| wim이랑 esd 바꿔서 사용해도 되나요? [2] 파란하늘촌 382 12-25
13449 소프트웨어| 궁굼하여 여쭈어 봅니다 [8] never 382 12-23
13448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찾고 있어요. [1] 밝은해 382 11-05
13447 윈 도 우| Wim 파일 마운트 오류 [5] 푸르른날 382 10-27
13446 윈 도 우| BCD 중 winload 위치 [1] varvari 382 08-01
13445 기 타| error code 105 해결방법 gkgk77 382 07-09
XE1.11.6 Layout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