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 사용기

기 타 [bat추가] PE를 VHD로 부팅하기 - QuantumPE SystemF

2022.03.27 19:21

suk 조회:1859 추천:49

저는 오래 전에 몇년간 PE 부팅 시간 좀 줄여보려고 [wim 로딩하는 시간 생략] VHD는 아니고, 디스크에 풀어서 부팅한 적이 있습니다

 

VHD나 디스크에 풀어서 부팅하는 것이나 같습니다.

파일 관리 측면에서 하나의 VHD 안에 PE 내용물이 전부 들어가서 VHD가 선호되는 것 뿐입니다

 

방식이 꼭 윈도우 설치와 거의 같습니다. 그래서 윈도우 처럼 사용하시려는 분들도 계시더군요

윈도우 처럼 설치해도 PE는 PE 입니다. C:이 아닌 X:으로 부팅하고, 재부팅하면 초기화됩니다 (설정이 파일에 저장되는 경우는 반영됩니다)

 

이렇게 wim을 압축해제하여 부팅하는 경우 AdminPE는 여전히 다루기가 어렵습니다.

그래서 비교적 다루기 쉬운 System PE로 VHD 부팅을 해봤습니다

QuantumPE SystemF 2022-03-18.wim [Win10PE 21H1 19043.844]을 VHD에 압축해제하여 부팅하기 - 이렇게 부팅해도 윈도우 부팅과는 전혀 다릅니다 2022-03-27_164003.jpg

VHD는 역시 VHDman이 편합니다

위와 같이 VHD 만들기와 wim 설치 [압축해제]를 한번의 작업으로 됩니다

QuantumPE SystemF 2022-03-18.wim [Win10PE 21H1 19043.844]을 VHD에 압축해제하여 부팅하기 - 이렇게 부팅해도 윈도우 부팅과는 전혀 다릅니다 2022-03-27_183558.jpg

bootice.exe 입니다. PE를 VHD 부팅 등록하는 것은 일반 윈도우 VHD 부팅과는 다릅니다.

PE 부팅에 체크하는 것이 가장 다른 점이고

\Windows\system32\boot\winload.efi [efi는 UEFI 부팅 // exe는 Legacy 부팅]

윈도우 부팅과는 다르게 boot가 추가됩니다. boot 만 생략해도 부팅이 되지 않더군요 [부팅되는 경우도 있는데 PE는 boot 추가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참고로, 예전에 PE 중에는 오히려 PE 부팅을 체크하지 않아야 부팅이 되는 경우도 있었습니다만, 예외일 뿐입니다

그 윈도우 부팅과 가장 유사했었던 [어드민 계정 + 재부팅 후에도 유지됨] PE 조차도 C:으로 부팅하지 않고, X:으로 부팅했습니다

 

좀 더 자세한 bootice.exe로 PE.VHD를 부팅 등록하는 방법은 (나중에) 본문 아래에 추가했습니다

QuantumPE SystemF 2022-03-18.wim [Win10PE 21H1 19043.844]을 VHD에 압축해제하여 부팅하기 - 이렇게 부팅해도 윈도우 부팅과는 전혀 다릅니다 2022-03-27_164029.jpg

 

윈도우 bcd로 부팅했습니다

QuantumPE SystemF 2022-03-18.wim [Win10PE 21H1 19043.844]을 VHD에 압축해제하여 부팅하기 - 이렇게 부팅해도 윈도우 부팅과는 전혀 다릅니다 2022-03-27_164047.jpg

 

QuantumPE SystemF 2022-03-18.wim [Win10PE 21H1 19043.844]을 VHD에 압축해제하여 부팅하기 - 이렇게 부팅해도 윈도우 부팅과는 전혀 다릅니다 2022-03-27_164106.jpg

위 화면은 오른쪽 아래에 PE 부팅 완료 메시지 때문에 스샷했습니다

QuantumPE SystemF 2022-03-18.wim [Win10PE 21H1 19043.844]을 VHD에 압축해제하여 부팅하기 - 이렇게 부팅해도 윈도우 부팅과는 전혀 다릅니다 2022-03-27_164144.jpg

X: 드라이브가 방금 만든 7GB VHD 입니다

Y:은 cdusb.y가 있어서 Y:으로 잡혔습니다

QuantumPE SystemF 2022-03-18.wim [Win10PE 21H1 19043.844]을 VHD에 압축해제하여 부팅하기 - 이렇게 부팅해도 윈도우 부팅과는 전혀 다릅니다 2022-03-27_164234.jpg

간단하게 인터넷만 되는지 확인했습니다

QuantumPE SystemF 2022-03-18.wim [Win10PE 21H1 19043.844]을 VHD에 압축해제하여 부팅하기 - 이렇게 부팅해도 윈도우 부팅과는 전혀 다릅니다 2022-03-27_164255.jpg

한번 더 부팅해봤습니다.

PE.wim 파일은 다시 부팅해도 똑같습니다만 (초기화가 되기 때문)

PE.vhd는 다릅니다 - 반만 초기화 됩니다. 재부팅해도 유지되는 파일들이 있어서 달라집니다

QuantumPE SystemF 2022-03-18.wim [Win10PE 21H1 19043.844]을 VHD에 압축해제하여 부팅하기 - 이렇게 부팅해도 윈도우 부팅과는 전혀 다릅니다 2022-03-27_164307.jpg

 

QuantumPE SystemF 2022-03-18.wim [Win10PE 21H1 19043.844]을 VHD에 압축해제하여 부팅하기 - 이렇게 부팅해도 윈도우 부팅과는 전혀 다릅니다 2022-03-27_164326.jpg

부팅 완료 메시지가 떴는데...작업표시줄이 보이지 않습니다...

QuantumPE SystemF 2022-03-18.wim [Win10PE 21H1 19043.844]을 VHD에 압축해제하여 부팅하기 - 이렇게 부팅해도 윈도우 부팅과는 전혀 다릅니다 2022-03-27_164403.jpg

시작 메뉴도 보이지 않습니다

QuantumPE SystemF 2022-03-18.wim [Win10PE 21H1 19043.844]을 VHD에 압축해제하여 부팅하기 - 이렇게 부팅해도 윈도우 부팅과는 전혀 다릅니다 2022-03-27_164414.jpg

프로그램들은 정상적으로 연결되었습니다

QuantumPE SystemF 2022-03-18.wim [Win10PE 21H1 19043.844]을 VHD에 압축해제하여 부팅하기 - 이렇게 부팅해도 윈도우 부팅과는 전혀 다릅니다 2022-03-27_164451.jpg

인터넷도 정상적으로 됩니다

그러면 작업표시줄과 시작 메뉴만 정상화하면 됩니다

QuantumPE SystemF 2022-03-18.wim [Win10PE 21H1 19043.844]을 VHD에 압축해제하여 부팅하기 - 이렇게 부팅해도 윈도우 부팅과는 전혀 다릅니다 2022-03-27_165039.jpg

pecmd.ini에 저 부분 때문에 작업표시줄과 시작 메뉴가 다시 실행되지 않는 것 같아서 삭제했습니다

QuantumPE SystemF 2022-03-18.wim [Win10PE 21H1 19043.844]을 VHD에 압축해제하여 부팅하기 - 이렇게 부팅해도 윈도우 부팅과는 전혀 다릅니다 2022-03-27_165118.jpg

삭제한 것입니다

QuantumPE SystemF 2022-03-18.wim [Win10PE 21H1 19043.844]을 VHD에 압축해제하여 부팅하기 - 이렇게 부팅해도 윈도우 부팅과는 전혀 다릅니다 2022-03-27_165155.jpg

 

QuantumPE SystemF 2022-03-18.wim [Win10PE 21H1 19043.844]을 VHD에 압축해제하여 부팅하기 - 이렇게 부팅해도 윈도우 부팅과는 전혀 다릅니다 2022-03-27_165217.jpg

이제 작업표시줄이 잘 나옵니다

QuantumPE SystemF 2022-03-18.wim [Win10PE 21H1 19043.844]을 VHD에 압축해제하여 부팅하기 - 이렇게 부팅해도 윈도우 부팅과는 전혀 다릅니다 2022-03-27_165257.jpg

그런데 또 다른 문제에 봉착 합니다

중간에 테스트 과정은 생략하고 결론만 올립니다

QuantumPE SystemF 2022-03-18.wim [Win10PE 21H1 19043.844]을 VHD에 압축해제하여 부팅하기 - 이렇게 부팅해도 윈도우 부팅과는 전혀 다릅니다 2022-03-27_181010.jpg

autoadd.cmd 윗부분을 위와 같이 추가했습니다

 

@echo off

 

:: 혹시 실컴 윈도우에서 이 cmd 파일 실행한 경우, 실행되지 않고 바로 cmd 종료됨 === 여기부터 수정: 2022-03-27 ===

if /i "%SystemDrive%" neq "X:" goto :eof

 

:: PE.wim을 PE.VHD 또는 디스크에 풀어서 부팅하는 경우, 작업표시줄과 시작 메뉴의 바로가기들이 부팅할 때마다 증가하는 문제 해결하기 [System 계정의 PE에만 적용됨]

del /f/a/q/s "X:\Users\Default\AppData\Roaming\Microsoft\Internet Explorer\Quick Launch\User Pinned\*.lnk"

 

:: reg delete HKCU\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Explorer\StartPage2 /f

:: reg delete HKCU\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Explorer\Taskband /f

:: 위 2줄은 시스템 PE는 필요하지 않네요. 어드민 PE [시스템 PE 겸용]으로 먼저 테스트하다가 일부 흔적이 남아있었습니다

:: 위 2줄이 있어도 문제는 없습니다. 

 

PinTool.exe -debug pecmd.ini

 

:: winver 창에 버전을 올바르게 표기되도록 함

for /f "tokens=3" %%a in ('reg query "HKLM\SOFTWARE\Microsoft\Windows NT\CurrentVersion" /v DisplayVersion') do Reg Add "HKLM\SOFTWARE\Microsoft\Windows NT\CurrentVersion" /t REG_SZ /v ReleaseId /d "%%a" /f

set build=

for /f "tokens=3" %%a in ('reg query "HKLM\SOFTWARE\Microsoft\Windows NT\CurrentVersion" /v CurrentBuild') do set build=%%a

if "%build%" == "19041" Reg Add "HKLM\SOFTWARE\Microsoft\Windows NT\CurrentVersion" /t REG_SZ /v ReleaseId /d "2004" /f

if "%build%" == "19042" Reg Add "HKLM\SOFTWARE\Microsoft\Windows NT\CurrentVersion" /t REG_SZ /v ReleaseId /d "20H2" /f

if "%build%" == "19043" Reg Add "HKLM\SOFTWARE\Microsoft\Windows NT\CurrentVersion" /t REG_SZ /v ReleaseId /d "21H1" /f

if "%build%" == "19044" Reg Add "HKLM\SOFTWARE\Microsoft\Windows NT\CurrentVersion" /t REG_SZ /v ReleaseId /d "21H2" /f

 

:: === 여기까지 수정: 2022-03-27 ===

 

QuantumPE SystemF 2022-03-18.wim [Win10PE 21H1 19043.844]을 VHD에 압축해제하여 부팅하기 - 이렇게 부팅해도 윈도우 부팅과는 전혀 다릅니다 2022-03-27_181222.jpg

위에 autoadd.cmd에 PinTool.exe를 포함시켰기 때문에, pecmd.ini에 PinTool.exe 부분은 앞에 // 붙혀서 무효 처리했습니다

삭제해도 됩니다만, 무엇이 어디에 있었는지 확인 차원에서 무효 처리를 하고 있습니다. 수정사항은 여기까지입니다

QuantumPE SystemF 2022-03-18.wim [Win10PE 21H1 19043.844]을 VHD에 압축해제하여 부팅하기 - 이렇게 부팅해도 윈도우 부팅과는 전혀 다릅니다 2022-03-27_181441.jpg

 

QuantumPE SystemF 2022-03-18.wim [Win10PE 21H1 19043.844]을 VHD에 압축해제하여 부팅하기 - 이렇게 부팅해도 윈도우 부팅과는 전혀 다릅니다 2022-03-27_181455.jpg

 

QuantumPE SystemF 2022-03-18.wim [Win10PE 21H1 19043.844]을 VHD에 압축해제하여 부팅하기 - 이렇게 부팅해도 윈도우 부팅과는 전혀 다릅니다 2022-03-27_181519.jpg

 

QuantumPE SystemF 2022-03-18.wim [Win10PE 21H1 19043.844]을 VHD에 압축해제하여 부팅하기 - 이렇게 부팅해도 윈도우 부팅과는 전혀 다릅니다 2022-03-27_181553.jpg

이제 작업표시줄과 시작 메뉴가 재부팅을 몇번을 하든지 정상적으로 나옵니다

QuantumPE SystemF 2022-03-18.wim [Win10PE 21H1 19043.844]을 VHD에 압축해제하여 부팅하기 - 이렇게 부팅해도 윈도우 부팅과는 전혀 다릅니다 2022-03-27_182251.jpg

BIOS 모드 부팅도 해봤습니다. UEFI와 다른 점이라면 \Windows\system32\boot\winload.exe 뿐입니다

QuantumPE SystemF 2022-03-18.wim [Win10PE 21H1 19043.844]을 VHD에 압축해제하여 부팅하기 - 이렇게 부팅해도 윈도우 부팅과는 전혀 다릅니다 2022-03-27_182341.jpg

 

QuantumPE SystemF 2022-03-18.wim [Win10PE 21H1 19043.844]을 VHD에 압축해제하여 부팅하기 - 이렇게 부팅해도 윈도우 부팅과는 전혀 다릅니다 2022-03-27_182351.jpg

 

QuantumPE SystemF 2022-03-18.wim [Win10PE 21H1 19043.844]을 VHD에 압축해제하여 부팅하기 - 이렇게 부팅해도 윈도우 부팅과는 전혀 다릅니다 2022-03-27_182418.jpg

 

QuantumPE SystemF 2022-03-18.wim [Win10PE 21H1 19043.844]을 VHD에 압축해제하여 부팅하기 - 이렇게 부팅해도 윈도우 부팅과는 전혀 다릅니다 2022-03-27_182513.jpg

BIOS 모드도 정상적으로 작업표시줄과 시작 메뉴가 표시됩니다

 

참고로, Admin PE는 부팅할 때마다 Administrator 계정 폴더가 계속 늘어납니다. 이걸 관리해주는 것도 쉽지 않더군요

시스템 계정으로 전환되는 어드민 PE라서 더 어려웠습니다. 시도하다가 하나 해결하면 다른 문제가 생기고 해서...

그냥 간단한 SystemPE 글만 올립니다. 어드민 PE는 묻지 마시기를 ~ 부팅 자체는 시스템 PE와 같게 하시면 됩니다

 

----------------------------------------------------------------------------------------

추가: 2022.03.28 월요일 오전 07:05

위에 VHD 부팅 등록 부분에 설명이 좀 부족한 것 같습니다. 사실 더 상세한 스샷도 했었는데 문제 해결하는 스샷들 때문에 밀려버렸습니다

그래서 bootice.exe로 PE.VHD를 부팅 등록하는 방법을 다시 스샷했습니다

QuantumPE SystemF 2022-03-18.wim [Win10PE 21H1 19043.844]을 VHD에 압축해제하여 부팅하기 -  bootice.exe로 PE.VHD를 부팅 등록하는 방법 2022-03-28_055946.jpg

현재 실컴에서 멀티 부팅으로 VHD 등록하실 분들은 현재 시스템의 BCD 파일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QuantumPE SystemF 2022-03-18.wim [Win10PE 21H1 19043.844]을 VHD에 압축해제하여 부팅하기 -  bootice.exe로 PE.VHD를 부팅 등록하는 방법 2022-03-28_060114.jpg

스샷대로 기본 항목들이 생깁니다. 몇가지 수정하면 됩니다

QuantumPE SystemF 2022-03-18.wim [Win10PE 21H1 19043.844]을 VHD에 압축해제하여 부팅하기 -  bootice.exe로 PE.VHD를 부팅 등록하는 방법 2022-03-28_060250.jpg

PE.VHD 경로에서 상단에 boot는 그대로 두시면 됩니다.

디스크와 파티션 선택하지 않으셔도 알아서 드라이브 문자는 찾아갑니다 [디스크와 파티션 선택하셔도 상관없습니다만 불필요합니다]

파일: VHD 전체 경로 중에서 예를들어 D: 은 생략한 \부터 PE.VHD 경로를 입력하시면 됩니다. 이 부분은 수동으로 입력하셔야 됩니다

 

OS 제목은 자유입니다

 

부팅 파일: 중요한 것 중에 하나 입니다. \Windows\system32\boot\winload.efi [efi는 UEFI 부팅 // exe는 Legacy 부팅]

윈도우 부팅과는 다르게 boot가 추가됩니다. boot 만 생략해도 부팅이 되지 않더군요 [부팅되는 경우도 있는데 PE는 boot 추가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시스템 언어: OS 제목에 한글이 들어간 경우는 ko-KR이 필요합니다. 아니면 부팅 메뉴에 한글 부분은 깨져서 나옵니다

 

PE 부팅에 체크는 위에 쓴대로 가장 중요한 부분입니다 [윈도우처럼 부팅되는 특이한 PE 외에는 필요합니다]

bootice.exe로 PE.VHD를 부팅 등록하는 방법은 여기까지 입니다

 

또 다른 PE.VHD 등록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위에 bootice.exe로 PE.VHD를 부팅 등록하는 방법이 어렵다고 느끼시는 분들은

EasyBCD로 먼저 VHD 부팅 등록하시고, 제가 윈도우와 PE 부팅의 차이라고 한 부분들만 bootice로 수정하시면 됩니다

QuantumPE SystemF 2022-03-18.wim [Win10PE 21H1 19043.844]을 VHD에 압축해제하여 부팅하기 -  먼저 EasyBCD로 VHD 등록한 후에 bootice.exe로 일부 수정하는 방법 2022-03-28_064700.jpg

EasyBCD로 VHD 부팅 등록했다는 의미로 이름은 기본대로 뒀습니다

QuantumPE SystemF 2022-03-18.wim [Win10PE 21H1 19043.844]을 VHD에 압축해제하여 부팅하기 -  먼저 EasyBCD로 VHD 등록한 후에 bootice.exe로 일부 수정하는 방법 2022-03-28_065111.jpg

EasyBCD도 디스크와 파티션 입력하지 않고 boot로 등록하는군요. 넘어갑니다

PE 부팅에 체크만 하셔도 부팅될 수 있습니다만 \Windows\system32\boot\winload.efi 에서 boot 추가하시는 것이 안전합니다

EasyBCD는 UEFI도 무조건 exe로 등록되더군요. 그래서 UEFI 부팅은 마지막에 efi로 수정해야 합니다. 총 3군데 수정했습니다

QuantumPE SystemF 2022-03-18.wim [Win10PE 21H1 19043.844]을 VHD에 압축해제하여 부팅하기 -  먼저 EasyBCD로 VHD 등록한 후에 bootice.exe로 일부 수정하는 방법 2022-03-28_065320.jpg

EasyBCD로 부팅 등록하시면 bootice.exe에서 수동으로 입력해야 하는 부분들이 상당히 해결됩니다

NeoSmart VHD 이미지으로 VHD 부팅도 잘 됐습니다. 스샷은 더 볼 게 없어서 생략합니다

 

추가 끝

----------------------------------------------------------------------------------------

추가:2 2022.03.28 월요일 오후 12:53

일반적인 윈도우가 설치된 VHD가 아니기 때문에 VHD 부팅 등록을 어려워하시는 분들이 계셔서 bat 파일로 자동화해봤습니다. 

VHD부팅등록 - 현재폴더의 VHD [PE 부팅].bat 테스트 2022-03-28_124000.jpg

 

VHD부팅등록 - 현재폴더의 VHD [PE 부팅].bat

실컴 윈도우에 멀티 부팅으로 VHD 등록하는 것입니다. PE에서는 대부분 작동하지 않을 겁니다

----------------------------------------------------------------------------------------

추가:3 2022.03.28 월요일 오후 07:17

VHDman으로 VHD 만들고 PE.wim을 설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VHD 부팅 등록도 됩니다

어떤 이유인지 부팅 등록이 잘 되지 않다가 이제 정상적으로 됩니다. 위에 bootice나 EasyBCD + bootice보다 편리합니다

PE가 설치된 VHD 부팅 등록하기 - VHDman이 편리합니다 [VHD 만들고, PE.wim을 VHD에 설치하고, VHD 부팅 등록까지 전부 할 수 있습니다] 2022-03-28_192548.jpg

2번에 VHD(Wim)일 경우 클릭하시면 거의 다 자동으로 입력됩니다

3번과 4번은 일반적인 VHD 부팅이 아니기 때문에 수동으로 수정해주셔야 됩니다

 

진작에 이렇게 VHD 등록이 됐으면 bootice나 EasyBCD 스샷이나 bat 파일도 올리지 않고 간단하게 정리되었을텐데요. 

제 예전 게시물 보시면 이렇게 VHDman으로 부팅 등록까지 했습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등록일
[공지] 사용기/설치기 이용안내 gooddew - - -
935 윈 도 우| Windows 11 (22000.613) 2022.04.13 정기 업데이트 [36] suk 1517 47 04-13
934 윈 도 우| Windows 10 (1904x.1645) 2022.04.13 정기 업데이트 [33] suk 1384 47 04-13
933 기 타| QuantumPE AdminF_무등x 편집 [실컴에 VHD 부팅 성공] [26] suk 2095 33 04-05
932 윈 도 우| Windows 11 (22000.593) 2022.03.29 선택적 업데이트 [31] suk 1870 51 03-29
931 기 타| PE가 설치된 VHD 부팅 등록 bat 파일 - 실컴 테스트 [13] suk 1190 22 03-28
» 기 타| [bat추가] PE를 VHD로 부팅하기 - QuantumPE SystemF [27] suk 1859 49 03-27
929 윈 도 우| Windows 10 (1904x.1620) 2022.03.23 선택적 업데이트 [27] suk 1961 44 03-23
928 윈 도 우| Windows 11 시스템 요구사항 워터마크 제거하기.bat 테스트 [24] suk 1235 44 03-20
927 기 타| QuantumPE 2022-03-18일자 어드민 PE 부팅 [15] suk 1509 36 03-18
926 기 타| QuantumPE (2022-03-16 총7종) 간단 비교 [42] suk 3279 77 03-17
925 윈 도 우| [reg추가] Windows 11 (22000.588) 2022.03.16 릴리스 프리뷰 [25] suk 2023 47 03-16
924 기 타| Nasiboot_V13_Pro_2022.iso 부팅 (한글화) 테스트 [9] suk 1054 22 03-15
923 윈 도 우| Windows 10 (1904x.1618) 2022.03.15 릴리스 프리뷰 [20] suk 1259 32 03-15
922 기 타| PE 부팅 때, 폴더를 Y:으로 탑재하기 [10] suk 903 24 03-14
921 기 타| 149 빌더 - 일부 설정 파일 [33] suk 2606 50 03-09
920 윈 도 우| Windows 11 (22000.556) 2022.03.09 정기 업데이트 [46] suk 1759 65 03-09
919 윈 도 우| Windows 10 (1904x.1586) 2022.03.09 정기 업데이트 [38] suk 1645 71 03-09
918 기 타| [bat 수정] QuantumPE Admin 4개 wim 등록하기 [64] suk 2734 87 03-07
917 기 타| [내용추가] wim 외부 프로그램 PE도 Ventoy로 ISO 부팅됩니다 [21] suk 1390 29 03-06
916 윈 도 우| 실험: PE의 외부 프로그램들을 wim으로 사용 [23] suk 1012 26 03-04
XE1.11.6 Layout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