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 사용기

기 타 복구시스템용 Partition Saving 도 업데이트 하여 보았습니다

2022.03.20 14:24

왕초보 조회:813 추천:12

개인용 컴퓨터의 경우 저작권 단속을 받을일이 없어서...원하는 백업 프로그램을 활용하기가 좋지만...사무실용 컴퓨터의 경우..저작권 관련해서

민감할수 밖에 없습니다

 

개인용 복구시스템용으로 활용하려고 만든 프로로그램이 퇴자를 맞지 않고 통과가 되면..사무실용으로 활용하기 위해서 Partition Saving 프로그램도

업데이트를 하게 됩니다..

 

지난번 간단하게 설정을 구성한 IFW용이..통과가 되어서..이번에는 같은 디자인으로 Partition Saving을 업데이트 하여 보았습니다

Partition Saving의 경우 사무실으로 활용을 해도 제한이 없어서 아직까지는 잘 사용을 하고 있지만...업데이트가 안되고 있네요.

백업은 느리지만 복원은 그나마..빠른편인데..wim 프로그램으로 이제는 갈아따야 할지 고민이 되는 부분입니다.

 

DarknessAngel님 덕분에 WimLib 을 활용할수가 있지만..습관이 무섭죠..아직은 Partition Saving을 떠나 보내지 못하고 있네요

 

 

1. cmd 파일이 따로 없어서..파일이 간단합니다.. 초보분께는 사용법이 간단한것이 제일 좋기는 합니다

1.jpg

 

2. 백업파일이 없어서 백원 버튼은 비활성입니다

2.jpg

 

3. Partition Saving 은 윈도우에서 백업을 할수가 없어서 pe로 부팅후 진행이 됩니다...볼륨명을 기억해두는것이 사고 방지에 도움이 됩니다

   PE 1회부팅은 IFW 때 처럼 TBWinPE.exe를 활용하였습니다..

3.jpg

 

4. 윈도우에서 PE로 부팅하기 전에 볼륨명과 일치를 합니다..이렇게 확인후 진행을 하는것이 제일 안전한 방법인것 같습니다

4.jpg

 

5. 백업이 진행중입니다..

5.jpg

 

6. 백업파일이 있어서..복원 버튼이 활성화 되었습니다

6.jpg

 

7. 복원도 PE로 부팅후 진행됩니다...백업은 실수하면 다시 할수가 있지만 복원시 실수는 대형사고죠..당연히 볼륨명을 잠시 기억해두면 됩니다

7.jpg

 

8. 윈도우에서 기억한 볼륨명과 일치하면 복원을 진행하면 됩니다...드라이브 문자는 상관이 없습니다.

8.jpg

 

9. 복원이 진행중입니다

9.jpg

 

10. PE에서 실행시에는..아래처럼 GUI 버전을 실행하는 버튼이 있습니다

10.jpg

 

11. Partition Saving 경우 수동실행시 사용법이 복잡해서..Backup.tag 파일이 아닌 다른이름으로 저장된것의 복원시에는..아래 GUI 버전이 편합니다

11.jpg

 

12. 마무리

저의 경우 윈도우를 백업하는 이유는..윈도우를 새로 설치하는것이 귀찮은 것도 있지만....급할때..최대한 빠르게 복원해서 활용을하는것이 목적

입니다..

 

사무실에서 활용할수 있는 프로그램들이 있기는 합니다만...cmd 명령으로 원클릭을 만들어 활용하는것이 이미 만들어 놓은 것들도 있고 해서인지

Partition Saving이 편하고..나름대로는 복원도 빠르고..프로그램마다 장단점이 있겠지만..익숙해서인지..이렇게 애용을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이제는 Partition Saving을 활용하는 사람은..저를 포함해서 지인 몇분 밖에 있지는 않을것 같습니다

 

원래 쉬는날이 더 빠르게 가죠

몸과 마음이 편안하신 시간 되시길 바랍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등록일
[공지] 사용기/설치기 이용안내 gooddew - - -
1825 소프트웨어| [종료]에프에스캡처 단일파일(1222) [17] DengJang 699 37 12-22
1824 기 타| IFW BR Fast v3.0 Drag + Win11 RecoveryPE로 업데이트 하... [15] 왕초보 1031 37 04-18
1823 소프트웨어| OKR 엔진 열번째에 4boot.wim넣어 윈도우 청소 [17] wfja88 519 37 04-24
1822 소프트웨어| OKR [60] 집앞의_큰 2995 38 06-10
1821 기 타| 얼티밋 PE 코어 업데이트 [42] 지상최강 7505 38 05-27
1820 윈 도 우| 헐크버스터 2 [179] 서비스 3660 38 04-16
1819 윈 도 우| 산Ta사랑님 Windows 10 Pro Rs3 x64 Special 26 최종RePack2 [129] 테미스 1447 38 02-27
1818 윈 도 우| Windows 10 Pro for Workstations St41 Plus 설치해 보았습... [102] lakeside 2185 38 05-20
1817 소프트웨어| (종료)AOMEI OneKey Recovery Customization Edition 1.6.2.0 [228] 보리아빠 3193 38 10-01
1816 윈 도 우| PE에서 VHD 만들고 등록 해보기2 [33] 집앞의_큰 1042 38 10-31
1815 기 타| 윈도10 심심풀이 종료파일外 [27] 집앞의_큰 2754 38 10-05
1814 기 타| kj님 WinXPE80 실행 했습니다. [25] 하늘은높고 1247 38 08-06
1813 윈 도 우| 저도 만들었습니다. [46] 서기다 3250 38 04-19
1812 기 타| 그 PE - 드라이버 및 무선 설정 방법 [40] 집앞의_큰 1204 38 05-18
1811 윈 도 우| [분석완료] Win10XPE7* 디스플레이=해상도 문제 [27] suk 1622 38 07-25
1810 윈 도 우| [추가2] 잘못 표기된 윈도우 빌드 번호 수정하기 [28] suk 1739 38 06-19
1809 윈 도 우| KJ님 Win10XPE76.77 실행 해봤습니다. [37] 하늘은높고 3153 38 07-18
1808 윈 도 우| 20H2 X64 Nov 24 Edition Ko_En [55] 집앞의_큰 2056 38 11-24
1807 윈 도 우| Winre.wim [복구 모드] 재구성하기 2020-11-08.bat 테스트 [25] suk 1745 38 11-08
1806 윈 도 우| 첨OO님 실컴용(19042.661) - 실컴 테스트 WinNTSetup [28] suk 2017 38 11-16
XE1.11.6 Layout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