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 사용기

기 타 [내용추가] wim 외부 프로그램 PE도 Ventoy로 ISO 부팅됩니다

2022.03.06 12:40

suk 조회:1439 추천:29

언제부터인지는 저도 확인하지 않았습니다만, Ventoy 버전을 계속 업데이트하신 분들은 아실 겁니다

 

오래 전부터 PE는 iso로 부팅하면 wim 바깥에 별도로 있는 프로그램들은 인식하지 못 합니다

이유는 iso 내부의 wim 파일만 부팅 때 로딩하기 때문입니다. wim 로딩 후에 iso 파일은 관계가 없게 됩니다

 

그런데 요즘 여러가지 PE 테스트를 하다가 pecmd.log를 보다가 ventoy.log 파일도 있더군요. 그래서 확인하게 됐습니다

 

좀 더 부연하면, iso로 된 PE 중에서 단일 wim으로 구성된 PE는 문제가 없고, wim 외에도 프로그램이 별도로 있는 iso 이야기 입니다

이런 PE도 iso로 부팅하지 않고, iso를 풀거나 iso 굽기하면 문제가 없습니다. 하나의 iso 파일로 부팅할 때 문제입니다

Ventoy가 어떤 버전부터인지 ISO로 된 PE를 부팅 과정에서 DVD 드라이브로 탑재해주기 때문에 ISO 안에 wim 외부에 있는 프로그램들도 사용 가능해졌습니다 2022-03-06_120636.jpg

요즘 PE 전쟁중이시라고 하셔서, PE 전쟁과는 별로 관계없는 PE를 골라서 부팅해봤습니다

Ventoy가 어떤 버전부터인지 ISO로 된 PE를 부팅 과정에서 DVD 드라이브로 탑재해주기 때문에 ISO 안에 wim 외부에 있는 프로그램들도 사용 가능해졌습니다 2022-03-06_120707.jpg

원본에서 배경화면만 교체하여 부팅했습니다

 

오른쪽 아래 보시면 엣지가 설치 중이라고 나옵니다. 아직 부팅 과정입니다.

이것도 이미 iso에 wim 외부 파일을 인식하기 때문에 가능한 일입니다

Ventoy가 어떤 버전부터인지 ISO로 된 PE를 부팅 과정에서 DVD 드라이브로 탑재해주기 때문에 ISO 안에 wim 외부에 있는 프로그램들도 사용 가능해졌습니다 2022-03-06_120848.jpg

제가 부팅 후에 탑재한 것이 아니라 부팅 과정에서 Ventoy가 자동 탑재합니다

ISO 드라이브 문자는 순서대로 탑재됩니다. Y: 등으로 특정 드라이브로 탑재하려면 별도의 작업이 필요합니다

Ventoy가 어떤 버전부터인지 ISO로 된 PE를 부팅 과정에서 DVD 드라이브로 탑재해주기 때문에 ISO 안에 wim 외부에 있는 프로그램들도 사용 가능해졌습니다 2022-03-06_120950.jpg

바탕 화면의 바로가기들도 이미 ISO 드라이브 G:에 연결되어 있습니다

wim 내부 프로그램이라면 X:으로 연결됩니다

Ventoy가 어떤 버전부터인지 ISO로 된 PE를 부팅 과정에서 DVD 드라이브로 탑재해주기 때문에 ISO 안에 wim 외부에 있는 프로그램들도 사용 가능해졌습니다 2022-03-06_121142.jpg

앞서 말한 ventoy.log 파일을 열어봤습니다

Ventoy가 어떤 버전부터인지 ISO로 된 PE를 부팅 과정에서 DVD 드라이브로 탑재해주기 때문에 ISO 안에 wim 외부에 있는 프로그램들도 사용 가능해졌습니다 2022-03-06_121242.jpg

G:으로 탑재되어 있다는 것까지 다 나옵니다

Ventoy가 어떤 버전부터인지 ISO로 된 PE를 부팅 과정에서 DVD 드라이브로 탑재해주기 때문에 ISO 안에 wim 외부에 있는 프로그램들도 사용 가능해졌습니다 2022-03-06_121533.jpg

바탕 화면에 바로가기 (iso드라이브에 연결)가 잘 실행되는지도 확인해봤습니다

 

* 주의사항: wim 외부 프로그램이 있는 ISO도 Ventoy로 사용 가능합니다만

ISO가 탑재된 DVD 드라이브는 쓰기가 되지 않습니다. 그래서 PE의 프로그램들 중에 쓰기가 필요한 일부 프로그램은 오류가 생깁니다

 

그냥 참고사항으로 올린 글입니다. Ventoy = 벤토이는 현재 제가 사용한 1.0.70 버전이 최신입니다

https://github.com/ventoy/Ventoy/releases

Ventoy는 현재 1.0.70 버전이 최신입니다 2022-03-06_123551.jpg

-------------------------------------------------------------------------

추가: 2022.03.06 일요일 오후 01:43

좀 전에 Ventoy 버전을 하나씩 확인해보니까, Ventoy 1.0.49 버전부터

위와 같이 iso 안에 wim 외부에 프로그램이 있는 경우도, iso로 부팅해도 wim 외부 프로그램이 인식됩니다

1.0.49 버전은 2021.08.03에 출시되었습니다. 꽤 오래 되었네요. 저도 단일 wim으로 구성된 iso 부팅만 해서 모르고 있었습니다

 

ISO를 DVD 드라이브로 자동 탑재하지 않으면 어떻게 부팅하는지? 1.0.48 버전이고, 위와 같은 PE 입니다

Ventoy가 어떤 버전부터인지 ISO로 된 PE를 부팅 과정에서 DVD 드라이브로 탑재해주기 때문에 ISO 안에 wim 외부에 있는 프로그램들도 사용 가능해졌습니다 - 어떤 버전인지 찾기 1.0.48 버전은 X 2022-03-06_132826.jpg

이렇게 휑하니 부팅합니다

 

이왕 올리는 김에 1.0.48 다음에 1.0.49도 비교 차원에서 올립니다

Ventoy가 어떤 버전부터인지 ISO로 된 PE를 부팅 과정에서 DVD 드라이브로 탑재해주기 때문에 ISO 안에 wim 외부에 있는 프로그램들도 사용 가능해졌습니다 - 어떤 버전인지 찾기 1.0.49 버전부터였군요 [최초기록] 2022-03-06_132911.jpg

1.0.48 에서 1.0.49 로 업데이트 하는 과정입니다

Ventoy가 어떤 버전부터인지 ISO로 된 PE를 부팅 과정에서 DVD 드라이브로 탑재해주기 때문에 ISO 안에 wim 외부에 있는 프로그램들도 사용 가능해졌습니다 - 어떤 버전인지 찾기 1.0.49 버전부터였군요 [최초기록] 2022-03-06_132921.jpg

Ventoy가 어떤 버전부터인지 ISO로 된 PE를 부팅 과정에서 DVD 드라이브로 탑재해주기 때문에 ISO 안에 wim 외부에 있는 프로그램들도 사용 가능해졌습니다 - 어떤 버전인지 찾기 1.0.49 버전부터였군요 [최초기록] 2022-03-06_133009.jpg

10번 이상 버전을 확인한 것 같습니다. 이것도 일이군요

-------------------------------------------------------------------------

추가:2 2022.03.06 일요일 오후 04:42

결론은 같습니다만, 참고 사항으로 추가합니다

1.0.48 버전도 부팅 후 확인해보니까 iso가 탑재되어 있더군요. 그러면 무슨 일이...?

Ventoy가 어떤 버전부터인지 ISO로 된 PE를 부팅 과정에서 DVD 드라이브로 탑재해주기 때문에 ISO 안에 wim 외부에 있는 프로그램들도 사용 가능해졌습니다 - 1.0.48 버전도 iso를 탑재하는데 pecmd.ini를 실행하지 않는 것이 문제였군요 2022-03-06_163341.jpg

테스트 iso는 계속 같습니다

Ventoy가 어떤 버전부터인지 ISO로 된 PE를 부팅 과정에서 DVD 드라이브로 탑재해주기 때문에 ISO 안에 wim 외부에 있는 프로그램들도 사용 가능해졌습니다 - 1.0.48 버전도 iso를 탑재하는데 pecmd.ini를 실행하지 않는 것이 문제였군요 2022-03-06_163512.jpg

iso 탑재는 되었는데 wim 외부 프로그램들은 연결되어 있지 않더군요.

처음에는 그냥 iso 특성인가 했습니다

Ventoy가 어떤 버전부터인지 ISO로 된 PE를 부팅 과정에서 DVD 드라이브로 탑재해주기 때문에 ISO 안에 wim 외부에 있는 프로그램들도 사용 가능해졌습니다 - 1.0.48 버전도 iso를 탑재하는데 pecmd.ini를 실행하지 않는 것이 문제였군요 2022-03-06_163825.jpg

ventoy.log의 마지막 부분을 보니까 의문이 풀리더군요

pecmd.ini를 실행하지 않고 다른 걸 실행하더군요. 요즘 PE는 대부분 pecmd.ini로 작동합니다

 

그리고 1.0.29 버전도 부팅하여 확인해봤습니다

Ventoy가 어떤 버전부터인지 ISO로 된 PE를 부팅 과정에서 DVD 드라이브로 탑재해주기 때문에 ISO 안에 wim 외부에 있는 프로그램들도 사용 가능해졌습니다 - 1.0.29 버전은 iso 탑재 되지 않고, ventoy.log도 없습니다 2022-03-06_165503.jpg

Ventoy가 어떤 버전부터인지 ISO로 된 PE를 부팅 과정에서 DVD 드라이브로 탑재해주기 때문에 ISO 안에 wim 외부에 있는 프로그램들도 사용 가능해졌습니다 - 1.0.29 버전은 iso 탑재 되지 않고, ventoy.log도 없습니다 2022-03-06_165615.jpg

1.0.29는 iso 탑재도 하지 않더군요

Ventoy가 어떤 버전부터인지 ISO로 된 PE를 부팅 과정에서 DVD 드라이브로 탑재해주기 때문에 ISO 안에 wim 외부에 있는 프로그램들도 사용 가능해졌습니다 - 1.0.29 버전은 iso 탑재 되지 않고, ventoy.log도 없습니다 2022-03-06_165644.jpg

ventoy.log 파일도 없었습니다

이런 식으로 점차 Ventoy가 iso로 된 PE 지원이 확장되었네요.

 

Ventoy의 짧은 변천사를 봤습니다

-------------------------------------------------------------------------

추가:3 2022.03.06 일요일 오후 07:15

참고로, Ventoy에서 초창기부터 지원했던 윈도우 ISO를 부팅하는 경우는 윈도우 ISO를 탑재해야만 윈도우 설치 진행할 수 있기 때문에

윈도우 ISO는 자동 탑재되었습니다. PE와 윈도우 ISO는 이렇게 다른 취급을 받습니다

Ventoy 초창기부터 윈도우 ISO는 탑재합니다. ISO가 탑재되어야 윈도우 [ISO 안에 sources 폴더에 install.wim] 설치를 진행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2022-03-06_190422.jpg

위와 같은 1.0.29 버전으로 윈도우 통합본 ISO로 부팅을 해봤습니다.

PE도 마찬가지입니다만, ISO 전체를 로딩하지는 않고 boot.wim만 로딩합니다. 그래서 금방 부팅합니다

Ventoy 초창기부터 윈도우 ISO는 탑재합니다. ISO가 탑재되어야 윈도우 [ISO 안에 sources 폴더에 install.wim] 설치를 진행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2022-03-06_190446.jpg

여기서 shift + f10 눌러서 명령창 열었습니다. 그리고 notepad를 탐색기 대용으로 사용했습니다

Ventoy 초창기부터 윈도우 ISO는 탑재합니다. ISO가 탑재되어야 윈도우 [ISO 안에 sources 폴더에 install.wim] 설치를 진행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2022-03-06_190516.jpg

 

Ventoy 초창기부터 윈도우 ISO는 탑재합니다. ISO가 탑재되어야 윈도우 [ISO 안에 sources 폴더에 install.wim] 설치를 진행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2022-03-06_190554.jpg

이렇게 부팅한 윈도우 iso가 탑재되어 있습니다

설치해야 하는 윈도우 =  install.wim이 iso 안에 있기 때문이죠

Ventoy 초창기부터 윈도우 ISO는 탑재합니다. ISO가 탑재되어야 윈도우 [ISO 안에 sources 폴더에 install.wim] 설치를 진행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2022-03-06_190645.jpg

ventoy.log는 기대하지 않았는데 있더군요 ^^

Ventoy 초창기부터 윈도우 ISO는 탑재합니다. ISO가 탑재되어야 윈도우 [ISO 안에 sources 폴더에 install.wim] 설치를 진행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2022-03-06_190712.jpg

ISO가 마운트 성공했다고 나오더군요. log는 짧아서 좋네요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등록일
[공지] 사용기/설치기 이용안내 gooddew - - -
6779 윈 도 우| 무*산님 INSTALL.WIM 설치 및 부팅 체험기 [63] 선우 1438 16 08-20
6778 소프트웨어| 자게에 용량때문에 안올라가 여기 올립니다_레인미터 [23] 첨임다 1438 25 06-30
6777 윈 도 우| 죽을죄를 지었습니다. 맨살링PE런처프로그램 [2] 굿듀님스토 1439 8 08-15
» 기 타| [내용추가] wim 외부 프로그램 PE도 Ventoy로 ISO 부팅됩니다 [21] suk 1439 29 03-06
6775 기 타| PE에서 드라이버(Drvindex) 설치하기 [24] 딸랑쇠 1439 48 11-15
6774 윈 도 우| 사용 중에 윈도우 백업 [33] 집앞의_큰 1439 89 02-22
6773 윈 도 우| 총알 8PE 3탄 수정(변경) 항목 사용기+USB3.0 [20] compuser 1440 7 05-04
6772 윈 도 우| 총알PE(3탄) 사용기(무선네트워크) [9] SYM 1441 3 05-05
6771 기 타| Clinic PE - Light dark theme 파일 적용기(?) [8] 왕초보 1441 9 02-09
6770 기 타| Win10RS3_x64_ADPE_W&W [9] 멋진거지 1442 3 01-09
6769 소프트웨어| qnd_iso_update_4 - Config.cmd 테스트 [23] 지후빠 1442 43 05-25
6768 윈 도 우| 첨님의 PE 및 VHD 사용기 [27] jerry1030 1443 17 06-01
6767 윈 도 우| ktv pe 구경 [9] 컴아저씨훈 1443 10 11-30
6766 기 타| [종료]KJ-ChumPE(19042.789)깔끔이.iso [436] 첨임다 1444 161 02-03
6765 소프트웨어| 초보용 F1 Snapshot 1.0 테스트, 한글 추가 [29] 지후빠 1444 42 12-04
6764 윈 도 우| 땅꼬마님 PE를 제가 생각하는 대로 공부 좀 해봤습니다. [33] 하늘은높고 1444 39 12-29
6763 윈 도 우| *삿갓님 wimboot + vhd로 된 파일 부팅해봤습니다 [20] suk 1445 6 11-09
6762 소프트웨어| 무제 [24] 집앞의_큰 1445 13 04-16
6761 윈 도 우| windows10 1809 KB5003217 버그 신고 [12] 내꼬 1445 6 05-25
6760 기 타| 민밋한 대기시간 바꿔보기 [33] 집앞의_큰 1445 35 10-21
XE1.11.6 Layout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