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좌 / 팁

소프트웨어 PE 바탕화면에 바로가기 기능 추가 초 간단 팁

2022.02.11 15:46

그루터기 조회:967 추천:9

  많은 분들이 boot.wim 파일을 받고 바탕화면에 바로가기 기을 넣는 걸 너무 힘들어 합니다. 저도 너무 힘듭니다.

그래서 쉽게 할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 를 찾다가 아마 2013~2014년쯤 이 방법을 알게 되었을 것입니다.

 

전, 평상시에는 boot.wim 파일을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boot.wim 위주로 말씀드리겠습니다.

Pecmd나 PecmdEX 편집하기가 너무 어렵기 때문에 포기하고요. 간단한 편집은 알고 있지만, 각 기능이나 용어 사용하는 태크는 전혀 모릅니다.

PecmdEX에 대한 사용 방법도 최근 첨임다님에 의해서 알게 되었습니다. 첨임다님 감사합니다.

 

서두가 길어지네요. 

2022-02-11_100516.png

 

바탕화면에 바로가기 아이콘을 넣는 방법은 먼저, 본 컴에서건, PE 상태에서건,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바탕화면에 

바로가기 파일들을 만들어 주세요.

 

2022-02-11_100515.png

이제, 7-Zip로 boot.wim 열어 줍니다..

Users 폴드를 찾아 들어갑니다. ->Default 와 Public 폴드가 보입니다. 두 폴드 아무거나 사용해도 무방하지만 Public 폴드를 추천합니다.

대부분의 모든 PE의 wim 파일에는 Default 와 Public 폴드가 존재합니다. 

 

2022-02-11_100517.png

저는 Public 폴드로 들어가겠습니다.

Public 폴드에 들어가면, 많은 폴드가 보입니다. 우리에게 필요한 폴드는 Desktop 폴드입니다. 클릭하여

Desktop 폴드에 들어갑니다.

 

2022-02-11_100549.png

간혹 들어가보면 고수님들이 넣어둔 파일들이 보일 수 있습니다.

카조님의 boot.wim 에 큰나무님의 파일이 들어 있는게 보일 것입니다.

 

이 Desktop 폴드에 만들어둔 바로가기 파일을 드래그하여 넣고 7-Zip를 닫아주세요 이것으로 끝입니다... 너무 쉽죠~!

Wim 최적화를 하시고 부팅후 사용해보세요. 아마 여러분들이 원하시는 기능을 사용할 수 있을 것입니다.

 

2022-02-11_100734.png

초간단 바탕화면에 바로가기 만들기 였습니다.

 

이 방법은 7-Zip으로 boot.wim 열고 만들어진 바로가기.lnk 파일을 넣고, 7-Zip을 닫기만 하면 끝입니다.

 

저가 wim에서 만드는 방법을 알려 드렸기 때문에 USB에서 넣는 방법도 동일합니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하면 Pecmd.ini를 편집하지 않아도 되는 것이라. 좋습니다.

여러분들도 한 번 도전해보세요..ㅎㅎ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등록일
[공지] 강좌 작성간 참고해주세요 gooddew - - -
436 하드웨어| A.I_7을 통한 인증 최적화 [6] 왔따다 45842 0 01-04
435 하드웨어| A.I_7 0130의 시스템 최적화(내용일부바뀜) [10] 왔따다 31935 0 01-01
434 하드웨어| AI 2010 버전들 그림으로 간략 설명(재수정) [19] 왔따다 26892 0 12-31
433 윈 도 우| NEWPREP(만능고스트 툴)를 홈에디션에서도 사용하기 [3] 치치 25350 0 12-30
432 하드웨어| 인텔 울트라씬 프로세서 SU4100의 정체 [7] 이건뭔가요 15858 0 12-28
431 하드웨어| 한글 2007 무인설치본 만들기 [5] 홍진만 14422 0 12-28
430 하드웨어| GRUB 메뉴 배경화면 만들기 [4] 홍진만 11682 0 12-28
429 하드웨어| CPU-Z 한글화 제작과정 [14] OI가 13473 0 12-27
428 하드웨어| 한글화 직접 제작해 봅시다.. [7] OI가 14221 0 12-27
427 하드웨어| 파이어 폭스 부가기능 켜면 오류날 때 해결 방법 [2] 한여름날 7506 0 12-25
426 서버 / IT| 서버 2008.R2를 메인 OS로 써보자-4 [4] 우금티 16015 0 12-24
425 서버 / IT| 서버 2008.R2를 메인 OS로 써보자-3 [12] 우금티 17295 0 12-24
424 서버 / IT| 서버 2008.R2를 메인 OS로 써보자-2 [2] 우금티 15848 0 12-24
423 서버 / IT| 서버 2008.R2를 메인 OS로 써보자-1 [18] 우금티 21761 0 12-24
422 하드웨어| SRS Audio Sandbox에 관한 팁?! [12] 김용환 10739 0 12-23
421 하드웨어| A.I_7 버전구분 총정리 새로운것 (GIFT7까지) [35] 유기농초코 33420 0 12-18
420 하드웨어| [RapidShare 시리즈] rapid share 15분 대기 해제법 [5] 텐도진짜(Te 8739 0 12-14
419 하드웨어| [카조님의 의견으로 이동] RapidShare 60초 제한 풀기 [17] 텐도진짜(Te 11560 0 12-13
418 하드웨어| NINITE 활용하기. [4] Hipros 7386 0 12-13
417 하드웨어| 인터넷 초기 지연시 한번 확인해 보세요 [6] Kino 10866 0 12-11
XE1.11.6 Layout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