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 사용기

소프트웨어 배포 프로그램 디지털 서명해보기

2021.12.09 16:38

-0- 조회:1431 추천:6

2021-12-09_072610.png

 

2021-12-09_072631.png

2021-12-09_074550.png

 

sha256 방식의 개인 디지털 서명 방식도 바이러스 토탈에 테스트 해보았습니다. 바이러스 많이 나옵니다. 이 방식 역시

개인 방식의 디지털 서명 방식은 한계가 있어 보입니다. 인증과 함께 upx 압축된 것 풀어서 암호화 해서 리팩한 방식도 함께 해야 할 듯 합니다.

 

바이러스토탈 결과 참 어렵네요. 처음 바이러스 결과에 통과하더라도 하루 이틀 지나 다시 검사하면 디지털 서명과 리팩을 해도

몇몇 프로그램들은 원본 파일로 인식하는 듯 합니다. 결과가 원본하고 같아지는 군요. 참 어렵습니다.

 

웃긴건 제가 테스트한 파일은 수정된 바이러스 정보로 인식합니다. 바이러스토탈을 이걸 믿어야 하는지 말아야 하는지 모르겠습니다.

뭐 기준이 되는 바이러스 검사가 없는 한 계속 사용하긴 하겠지만 뭔가 아닌듯 합니다. 

--------------------------------------------------------------------------------------------------------------------------------

집앞의_ 큰나무님과 카조님이 배포용 프로그램에 디지털 인증을 하는 것을 보고 저도 인터넷 검색해서 따라해봤습니다.

분명 두분은 자동으로 디지털 인증되게 만든 것이고 저는 인터넷에서 찾아서 그대로 따라해 본 것이라 차이가 많이 날 수 있습니다.

 

디지털 인증하는 법은 https://gogildong.com/65 여기서 하는 방식 그대로 따라했습니다.

 

테스트를 해본 프로그램은 전에 제가 배포한 한방 wim vss 백업 프로그램입니다.

이 방식대로 하였는데 위 사진 처럼 결과가 나왔습니다. 처음에는 kaspersky 유명 바이러스 프로그램에서 걸리고 바이러스 숫자도

8개가 나왔는데 디지털 서명 후 4개로 줄었으며 kaspersky에서는 무사 통과 하였습니다. 그러나 역시 마이크로소프트사는 피하지 못했습니다.

 

바이러스토탈 결과 중 kaspersky, 마이크로소프트, v3가 중요하다고 개인적으로 생각합니다. 그 중 윈도우 디펜더를 사용하면 가장 중요한 것이

마이크로소프트사 이겠지요. 각설하고 디지털 서명이 효과가 있긴 있는 듯 합니다.

 

집앞의_큰나무님이나 카조님 처럼은 못해보고 인터넷에서 돌고 있는 방식으로 한번 해봤습니다.

 

* 웃긴 결과인게 서명 전에는 마이크로소프트사는 괜찮았는데 디지털 서명 후 반대로 바이러스로 인식한 겁니다.

  다른 곳은 반대이구요. 마이크로소프트사만 가짜 인증서를 찾는 듯 합니다. 역시 원조...오진 바이러스 디펜더.

 

*  집앞의_큰나무님과 카조님 방식은 다른 방식입니다. 

   집압의_큰나무님은 디지털 서명 방식이고 카조님은 upx 압축된 것 풀어서 암호화 해서 리팩한 방식입니다.

 

디지털 서명 전

https://www.virustotal.com/gui/file/e8a30986b1233878fc189b2f2eb1aa52b1a1ca0cbfbf98edc2d472e8335c0629

 

디지털 서명 후

https://www.virustotal.com/gui/file/9263fa3d8184d840feaa759e66b4a4ffc2f984ff86baa1425705d51a56073194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등록일
[공지] 사용기/설치기 이용안내 gooddew - - -
8367 기 타| 원하는 대로 부팅하는 겸용 PE.. [48] 왕초보 2531 24 08-08
8366 보안 / 해킹| 자동 로그인 켜기/끄기 (한글화) [16] 내꼬 2127 24 04-04
8365 기 타| 절반만 부팅하는 PE(?)... [22] 왕초보 1520 24 08-07
8364 윈 도 우| msconfig 부팅 탭이 비어있을 때 해결하기 [12] suk 1230 24 02-12
8363 기 타| WimBuilder2 에는 X64 전용 PE를 빌드하는 기능이 있네요. [16] 왕초보 967 24 12-24
8362 기 타| (첨부) qnd님 Win11 - Rainmeter를 PinUtil.ini에서 설정... [22] 왕초보 781 24 06-25
8361 소프트웨어| ghost & wim & ifw & sna 백업 & 복원 부... [36] 오스 1410 24 01-01
8360 기 타| 그것 수정 버전 나왔네요 [12] 집앞의_큰 2195 24 11-29
8359 윈 도 우| 양자의 합체 신공 ^___^/#1 [32] 4k8k 2248 24 03-22
8358 윈 도 우| 키핑용 필요하면... [14] 디폴트 1984 24 10-29
8357 윈 도 우| 버전 2004 > 버전 2009 (20H2) 업그레이드 하기 [20] suk 2185 24 10-06
8356 윈 도 우| PE사용하지 아니하고 snapshot으로 백업 복구 방법 [16] 유체 1886 24 10-05
8355 기 타| Mini PE 파티션툴 주의사항 [23] 집앞의_큰 1775 24 07-22
8354 윈 도 우| 컴퓨터 앞에서 잠시 쉬고 싶을 때... [11] PC_Clinic 1662 24 02-21
8353 윈 도 우| 아이콘 "imageres.dll 적용하기2 - 1904x 빌드 전용.b... [14] suk 998 24 03-05
8352 윈 도 우| Windows 10 Ultimate 사용자 추가 방법 [10] @카리스마 2901 24 08-08
8351 윈 도 우| 쓰잘데기 없다고 여기는것 제거하기. [15] 디폴트 2417 24 06-05
8350 윈 도 우| VirtualBox에서 UEFI부팅 iso만들기 [19] 서기다 985 24 05-19
8349 윈 도 우| PrincePE_V44 부팅기 [21] 상님 2180 24 05-10
8348 윈 도 우| 카리스마조님 PE Win10XPE34 실행기 [12] 하늘은높고 2192 24 03-04
XE1.11.6 Layout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