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 사용기

소프트웨어 배포 프로그램 디지털 서명해보기

2021.12.09 07:38

-0- 조회:1449 추천:6

2021-12-09_072610.png

 

2021-12-09_072631.png

2021-12-09_074550.png

 

sha256 방식의 개인 디지털 서명 방식도 바이러스 토탈에 테스트 해보았습니다. 바이러스 많이 나옵니다. 이 방식 역시

개인 방식의 디지털 서명 방식은 한계가 있어 보입니다. 인증과 함께 upx 압축된 것 풀어서 암호화 해서 리팩한 방식도 함께 해야 할 듯 합니다.

 

바이러스토탈 결과 참 어렵네요. 처음 바이러스 결과에 통과하더라도 하루 이틀 지나 다시 검사하면 디지털 서명과 리팩을 해도

몇몇 프로그램들은 원본 파일로 인식하는 듯 합니다. 결과가 원본하고 같아지는 군요. 참 어렵습니다.

 

웃긴건 제가 테스트한 파일은 수정된 바이러스 정보로 인식합니다. 바이러스토탈을 이걸 믿어야 하는지 말아야 하는지 모르겠습니다.

뭐 기준이 되는 바이러스 검사가 없는 한 계속 사용하긴 하겠지만 뭔가 아닌듯 합니다. 

--------------------------------------------------------------------------------------------------------------------------------

집앞의_ 큰나무님과 카조님이 배포용 프로그램에 디지털 인증을 하는 것을 보고 저도 인터넷 검색해서 따라해봤습니다.

분명 두분은 자동으로 디지털 인증되게 만든 것이고 저는 인터넷에서 찾아서 그대로 따라해 본 것이라 차이가 많이 날 수 있습니다.

 

디지털 인증하는 법은 https://gogildong.com/65 여기서 하는 방식 그대로 따라했습니다.

 

테스트를 해본 프로그램은 전에 제가 배포한 한방 wim vss 백업 프로그램입니다.

이 방식대로 하였는데 위 사진 처럼 결과가 나왔습니다. 처음에는 kaspersky 유명 바이러스 프로그램에서 걸리고 바이러스 숫자도

8개가 나왔는데 디지털 서명 후 4개로 줄었으며 kaspersky에서는 무사 통과 하였습니다. 그러나 역시 마이크로소프트사는 피하지 못했습니다.

 

바이러스토탈 결과 중 kaspersky, 마이크로소프트, v3가 중요하다고 개인적으로 생각합니다. 그 중 윈도우 디펜더를 사용하면 가장 중요한 것이

마이크로소프트사 이겠지요. 각설하고 디지털 서명이 효과가 있긴 있는 듯 합니다.

 

집앞의_큰나무님이나 카조님 처럼은 못해보고 인터넷에서 돌고 있는 방식으로 한번 해봤습니다.

 

* 웃긴 결과인게 서명 전에는 마이크로소프트사는 괜찮았는데 디지털 서명 후 반대로 바이러스로 인식한 겁니다.

  다른 곳은 반대이구요. 마이크로소프트사만 가짜 인증서를 찾는 듯 합니다. 역시 원조...오진 바이러스 디펜더.

 

*  집앞의_큰나무님과 카조님 방식은 다른 방식입니다. 

   집압의_큰나무님은 디지털 서명 방식이고 카조님은 upx 압축된 것 풀어서 암호화 해서 리팩한 방식입니다.

 

디지털 서명 전

https://www.virustotal.com/gui/file/e8a30986b1233878fc189b2f2eb1aa52b1a1ca0cbfbf98edc2d472e8335c0629

 

디지털 서명 후

https://www.virustotal.com/gui/file/9263fa3d8184d840feaa759e66b4a4ffc2f984ff86baa1425705d51a56073194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등록일
[공지] 사용기/설치기 이용안내 gooddew - - -
8384 소프트웨어| ● 2차 수정)레인미터 스킨/Calendar_Google_holiday skin ... [16] shimspeed 1210 10 01-19
8383 소프트웨어| BackupperPE 6.8.0 장착기? [60] 집앞의_큰 1129 59 01-19
8382 기 타| Wim안에 PortableApps 있는경우 설정 저장하기를 하여 보았... [9] 왕초보 781 14 01-19
8381 기 타| R-DriveImage [105] 첨임다 1898 79 01-19
8380 윈 도 우| Windows10/11 21H2 1469/438 VPN 패치 적용 [34] 내꼬 1069 27 01-18
8379 윈 도 우| Ventoy + Windows + Linux Mulibooting 영상 [15] 메인보드 576 9 01-18
8378 기 타| 요즘 PE와 다른 샛길... [124] DengJang 1476 92 01-18
8377 기 타| 풍년의 깜부기 P2 [307] 집앞의_큰 2192 232 01-18
8376 윈 도 우| Windows 10 (1904x.1469) 2022.01.18 대역 외 [26] suk 1349 35 01-18
8375 윈 도 우| Windows 11 (22000.438) 2022.01.18 대역 외 [25] suk 1135 27 01-18
8374 윈 도 우| 22000.438_&kb5010795_자동업데이트 [3] 4k8k 653 2 01-18
8373 기 타| StartIsBack 설정은 수동으로 마음대로 하는것이 편하네요.. [23] 왕초보 1144 9 01-18
8372 소프트웨어| ● 수정사용기)레인미터 스킨/rainmeter LuaCalendar 일정 ... [4] shimspeed 1058 5 01-18
8371 윈 도 우| 워크 스테이션 PE_6에서 아이콘 [6] 4k8k 642 2 01-17
8370 기 타| Rainmeter 에 위치,색상을 입혀봤습니다. [3] Nayu 746 6 01-17
8369 기 타| PC Clinic.ini 에 PE 설정을 저장해서 활용을 하여 보았습... [9] 왕초보 770 15 01-17
8368 윈 도 우| Workstation PE v6 대단하고 멋집니다. [40] 하늘은높고 2163 32 01-17
8367 기 타| [2번 파일] 파티션 사용량에 따라서 작업하기 [9] suk 722 11 01-17
8366 윈 도 우| Win11 러시아(?) PE 딱 여기까지... [18] PC_Clinic 1455 17 01-17
8365 소프트웨어| ● 3차 수정)레인미터/rainmeter power_menu스킨 모양변경 ... [1] shimspeed 863 6 01-16
XE1.11.6 Layout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