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 사용기

기 타 WinClon 최신 버전 사용기입니다..

2021.12.03 18:01

왕초보 조회:1870 추천:12

먼저 귀한 선물을 주신분께 감사드립니다...

생각지도 못한 선물이어서..더 기쁜 마음입니다..

항상 도움만 받고 있습니다...얼마남지 않은 2021년이지만..좋은일들만 있윽시길 바랍니다.

 

 

백업 프로그램을 취향에 따라서..선호하는것이 따로 있으실것입니다..

WinClon의 경우..디자인은..저도 아이콘을 훔쳐서 사용할정로도 마음에 듭니다만...원클릭이 안되어서..초보지인분들 복구시스템에는..활용하지

않았습니다..하지만..컴퓨터를 다를줄 아시고..백업,복원 진행을 무리없이 하실정도 분들을..클릭하는 손맛이 있어서..나름대로 인기가 있을것

같습니다..

 

PE에서 사용할것을 추출하기 위해서 오랜만에 설치를 해보네요....

설치하고...윈도우에서 백업, PE에서 복원해본 과정입니다..

 

 

1. 6.5.0.9 버전이네요.

1.jpg

 

2. 아래 경로에 설치가 되네요..

2.jpg

 

3. WinClon는 고맙게되 힘들게 포터블을 만들지 않고 폴더채 옮겨서 사용하면..되어서 좋습니다.

3.jpg

 

4. 복구파티션에 설치되는 파일들이 들어 있네요

4.jpg

 

5. CMDPE 버전을 확인하여 보았습니다..이 pe는 최신버전 노트북에서 하드가 보이겠죠...테스트 컴퓨터가 없어서 짐작만 해보네요..

5.jpg

 

6. PE 부팅시 이 프로그램이 실행되 됩니다..

6.jpg

 

7. DLL도 하나 있네요..

7.jpg

 

8. Dism 폴더에.. 많이본 폴더죠..PETools 폴더가 있습니다

8.jpg

 

9. 정확히 어디어 쓰는것인지????

9.jpg

 

10. WinClon 폴더가 또 있습니다..

10.jpg

 

11. 윈도우에서 설치후 실행버전은 이렇게 버튼이 3가지 입니다..

11.jpg

 

12. 윈도우가 설치된 하드에 복원영역을 만들어야 합니다..기존에 파일들이 있어서..아쉽게도 작업을 하지 못하였습니다

12.jpg

 

13. 도구 메뉴에..DVD나 USB로 부팅 미디어를 만들수 있습니다

13.jpg

 

14. 초보분이시라면...만약을 위해서 만들어 놓으시는것이 좀더 안전하죠.

14.jpg

 

15. 아이콘의 현재상태 백업을 진행하여 보았습니다

15.jpg

 

16. 자동으로 파티션이 설정이되었습니다..남은 용량이 제일 큰것을 잡은것 같습니다.

16.jpg

 

17. 백업완료후..부팅 미디어 만들기 안내를 하고 있습니다

17.jpg

 

18. 압축을 비교하는것이 아닙니다. WinClon 설치시 용량이 많이 증가하는것을 확인해본것입니다...설치하지 않고 백업하는것을 좋아합니다.

18.jpg

 

19. 아이콘이 아니라..아이콘 아래 있는 선택해서 백업할수 있는 바로가기로 진행을 하여 보았습니다..파티션을 선택을 할수가 있습니다

19.jpg

 

20. 다른 파티션에 백업중입니다

20.jpg

 

21. 당연히 윈도우에서 바로 복원은 되지 않습니다..복원 영역이 없어서..재부팅을 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21.jpg

 

22. 복원영역은 없지만 설치 폴더에 있는 CMDPE로 부팅을 해보기 위해서 WinClon 폴더를 루트에 복사를 해 놓았습니다..

22.jpg

 

23. 이 파일을 이상하네요...날짜가 2062년 1월 24일로 되어 있네요... 앞으로도 수십년이 지나야되는데..어쩌다 이런 날짜로 되어 있습니다

23.jpg

 

24. 복원영역이 없어서..여기까지 더이상 진전이 없습니다. Manager.exe가 실행된 모습인것 같습니다

24.jpg

 

25. 원래 목적대로 WinClon 폴더를 Backup 폴더에 넣고 사용하는 PE로 진행을 하여 보겠습니다..

  옛날것이 72MB 정도인것을 보면..복사한 WinClon 폴더 정리를 하기는 해야할것 같습니다

25.jpg

 

26. 왕*님 저용량 원본을 PC Clinic님 Win10 PE 21H2 1차 버전 수정한것과 똑 같은 모양으로 수정중인것으로 부팅을 하였습니다..

26.jpg

 

27. pe에서는 백업,복원만 보입니다....다른것은 필요가 없기도 합니다

27.jpg

 

 

28. WinClonBackup 폴더를 검색해서 백업파일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28.jpg

 

29. 루트에 있던 2개중에 한개를 Backup 폴더 안으로 옮겨보았습니다

29.jpg

 

30. 루트에 있는 WinClonBackup 폴더만 검색을 하네요

30.jpg

 

31. 파티션복원 디스크 복원을 선택할수 있습니다

31.jpg

 

32. 조각 모음 옵션이 있습니다

32.jpg

 

33. 조각 모음을 하기 위해서..괘 많은 공간이 필요한것 같습니다..부족하다고 나오네요..

33.jpg

 

34. 조각 모음을 체크해제를 하였습니다

34.jpg

 

35. 통과후 설정 내용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35.jpg

 

36. 이 메세지 전에도 메세지가 있었습니다..복원이어서 안전을 위해서 계속 확인을 하네요..

36.jpg

 

37. 복원시에 제일 싫어 하는 부분입니다..백업한 그대로 복원을 하면 되는데 복원후..부팅관련을 설정하고 있습니다

37.jpg

 

38. 왕*님 작품 원본에는..아래 파일이 없어서 이런 메세지가 나옵니다..

38.jpg

 

39. 이 파일도 없습니다....부팅관련 설정을 재설정하는것이죠...필요할때만 할수 있으면 좋은데요..무조건 재설정입니다

39.jpg

 

40. 부팅 관련 파일이 2개 없어서 설정하지 못하였지만...복원을 완료하였다고 메세지가 나옵니다

40.jpg

 

41. 부팅이 되지 않고 있습니다..부팅 설정 관련 파일이 없어서 재설정하지 못하였습니다. 그냥..윈도우 복원만 하지..

41.jpg

 

42. 필요한 파일 2개를 추가하고..수정중이어서..LetterSwap.exe 파일을 넣지 않아서..드라이브 문자 정렬이 되지 않았었습니다..이번에는 잘되었네요

42.jpg

 

43. 복원은 이미 한번 보셔서...복원후..윈도우로 부팅이 잘되었습니다..BCD 메뉴는 초기화가 되어버렸습니다..

  WinClon에서 복원영역이 있는 경우 핫키를 설정할수가 있어서.. BCD에 wim을 따로 등록하지 않아도 되지만..그렇다고..내가 원하지 않은데..이렇게

   초기화가 되면 좀 그렇죠...

43.jpg

 

44. 윈도우에 설치한 WinClon 를 삭제하기 위해서..기존 백업파일로 복원을 하고 있습니다

44.jpg

 

45. 설치후 복사해 놓은 폴더입니다

45.jpg

 

46. 마법사를 실행해서인지..설치 버전과 다르게..백업,복원만 있습니다..복원영역이나 자체 cmdpe를 사용하지 않을것이어서 이것이 더 편할수도 

  있습니다.. 

46.jpg

 

47. 윈도우 파티션을 편하게 찾을수 있는 버튼이 있습니다..

47.jpg

 

48. 이번에는..네트워크 드라이브를 기본으로 잡고 있네요.pe에서도 공유 폴더 연결이 가능해한 경우에만 가능해서 백업을 해보지는 않았습니다

48.jpg

 

49. 아니..공간이 부족하다고 하네요.

49.jpg

 

50. 널널한 곳을 지정을 하였습니다

50.jpg

 

51. 날짜는 기본으로 백업파일 이름에 들어가네요..

51.jpg

 

52. 한번 설치후 추출해서..포터블로 활용해도 백업이 잘됩니다.

52.jpg

 

53. 압축률은...IFW와 비슷한것 같습니다

53.jpg

 

54. PE에서 다시 백업을 진행하여 보겠습니다...윈도우 드라이브 선택 버튼이 무엇으로 윈도우 파티션을 결정하는지 궁금하네요..

54.jpg

 

55. 기본 설정이 X: 드라이브입니다...제외 설정이 되어 있지 않나 보네요..

55.jpg

 

56. 반가워 하시는 분들이 있으실것 같습니다..윈도우에서 백업한 기본 파일이 있어서..차등 백업 메세지가 나왔습니다..저는 통으로 백업을 하는것을

  선호해서...난감한 경우죠.. 저의 스타일 대로라면...미리 백업 파일을 지우고나서 백업을 진행해야 하네요..

56.jpg

 

57. 차등 백업이어서 인지..바로 복원해서 용량이 얼마 안됩니다

57.jpg

 

58. 이 파일들을 보니까 지후빠님 작품이 생각이 나네요..

58.jpg

 

59. 한번더 백업을 하여 보았습니다

59.jpg

 

60. 가끔 필요없어지는..중간의 파일들은 삭제를 해도 될것 같네요.

60.jpg

 

61. 선택해서 복원을 하면 되죠..

61.jpg

 

62. 확인 차원에서..윈도우에서도 차등백업을 하여 보았습니다.

62.jpg

 

63. 한번 백업할때마다 관련 파일이 3개가 생겨서..파일들이 많아 보이네요

63.jpg

 

64. 윈도우 파티션을 어떻게 확인하는지 궁금해서 포멧후..확인하여 보았습니다...찾을수 없네요..폴더나 파일이 있어야 하나 봅니다.

64.jpg

 

65. 포멧을 되어 있습니다

65.jpg

 

66. 윈도우가 2개 설치가 되어 있어서..다른 프로그램 텍스트 할때 Windows 폴더 이름을 바꾸어 놓은것입니다..

66.jpg

 

67. 두번째 하드에 첫번째 파티션에 Windows가 설치되어 있는데...이것은 체크를 하지 못하네요..디스크도..체크를 하나 봅니다..

67.jpg

 

68. 폴더를 삭제하면서 확인을 해보았습니다...아래 파일을 검색을 하네요..

68.jpg

 

69. 파일 이름을 바꾸었더니 검색하지 못하고 있습니다...gooddew님 작품에서도 windows\system32 폴더를 검색하고 있습니다..

  Win.tag를 만들지 않고 이 방식을 활용하는것도 편한 방법일것 같습니다...

69.jpg

 

70. 현재 C가 포멧이 되어서 Win.tag가 없는 상태입니다..이런 경우..드라이브 정렬이 되었다는 가정하에 C:를 임시로 선택을 하여 주고 있습니다

   볼륨명이 맞지 않으면..다른 파티션을 선택하여 주면 됩니다....이런 부분 때문에 볼륨명 지정이 저에게는 꼭 해야하는 설정입니다..

70.jpg

 

71. 복원까지 하였습니다..

71.jpg

 

72. 마무리

좋은 선물을 받아서..오랜만에 WinClon을 살펴볼수 있었습니다..

백업 프로그램에 관심이 많지만...좋은 아이디어가 갑자기 나올수는 없죠. 다양한 프로그램을 경험을 해봐야 하는데 그렇지 못하고 있는것 같습니다

선물 감사합니다..덕분에 즐거운 시간이었습니다

 

불금이지만..코로나가 극성이죠...

조용하고 편안하신 시간 되시길 바랍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등록일
[공지] 사용기/설치기 이용안내 gooddew - - -
34 서버 / IT| 504 gateway time-out 오류 해결 방법 ( NGINX ) [2] gooddew 418 10 05-23
33 하드웨어| WD HDD PCB 전원부 수리 [4] gooddew 914 22 04-26
32 기 타| [첨부] 딸랑쇠님 Win11 Onekey 266mb Wifi ToolsBR PE 사용... [20] 왕초보 1176 38 03-13
31 기 타| CoolInstall5.0.6 사용기 - 딸랑쇠님 감사합니다.. [10] 왕초보 816 19 03-13
30 윈 도 우| 배치파일로 장치 드라이버 백업 복구하기 [45] gooddew 1088 72 11-04
29 모 바 일| 갤럭시 A32 5G 액정 교체하기 [8] gooddew 876 15 07-29
28 소프트웨어| Office LTSC Pro Plus 2021 Down & Install [39] 지후빠 3071 65 04-19
27 윈 도 우| 배치파일을 이용해서 윈도우 자동 설치하기 (1.26 수정됨) [18] gooddew 1645 38 01-23
26 보안 / 해킹| 업데이트 찌거기 제거 파일 주의 파일 분석하기 [20] Lr라 1210 14 09-21
25 기 타| IFW도 Windows\System32 폴더를 테그로 변경하여 보았습니다 [11] 왕초보 724 8 12-11
24 기 타| Snapshot 백업 프로그램에 차등 백업을 적용해 보았습니다.. [11] 왕초보 916 15 12-04
» 기 타| WinClon 최신 버전 사용기입니다.. [9] 왕초보 1870 12 12-03
22 기 타| ZIP 압축파일 암호 알아내기 (숫자암호) [10] gooddew 1514 15 12-02
21 기 타| Win11 CmdPE에 Cmd 메뉴..불편하네요 [5] 왕초보 755 12 11-28
20 기 타| Cmd에서 테그파일은 GUI(?)로 만들기를 하여 보았습니다. [7] 왕초보 721 11 11-21
19 기 타| DarknessAngel님 WimLib 업데이트소식 및 피드백?? [14] 왕초보 1200 16 11-16
18 기 타| maniaa님 Win11 22000.1 버전 저용량 Cmdpe를 활용하여 보... [10] 왕초보 910 15 11-13
17 기 타| 나눔고딕 폰트가 적용된 gulim.ttc (8.18MB)가 있네요.. [6] 왕초보 1353 12 11-13
16 기 타| gooddew님 복원 솔류션에서 DISM 대신에 WimLib 활용하여 ... [22] 왕초보 1052 16 11-12
15 윈 도 우| 이런**님 prince pe [23] 복원솔루션 1876 33 07-11
XE1.11.6 Layout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