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 사용기

기 타 [스샷 추가] PE의 버전과 DPI 100 퍼센트 수정하기 [모든 wim].bat

2021.11.21 19:29

suk 조회:897 추천:23

자유게시판에도 쓴 것입니다만, 윈도우 10 PE 중에 버전 2004 / 버전 20H2까지는 별 문제가 없었습니다만...

 

버전 21H1과 버전 21H2는 기존 버전을 결정 짓는 레지스트리 중에 ReleaseId는 계속 2009 (=20H2)로 남아 있고

새로 추가된 DisplayVersion가 버전을 결정합니다

 

그런데 PE 빌더 프로그램은 계속 기존 ReleaseId를 읽어서 winver 창에 버전을 표시합니다.

그래서 버전 21H1과 버전 21H2으로 PE를 만들어도 보통 버전 2009로 잘못 나오게 됩니다

 

그래서 버전 21H1과 버전 21H2의 빌드 번호 확인하여 ReleaseId에 버전을 입력하는 방식으로 PE의 버전은 수정합니다

이걸 직접 wim 탑재 > 레지스트리 하이브 로드 > 레지스트리 입력 > 하이브 언로드 > wim 해제하는 경우 불편합니다

그래서 bat 파일로 자동화했습니다. 자동화한 김에 bat 파일이 있는 폴더 내의 모든 wim 파일을 연속적으로 작업하게 했습니다

 

또 하나, DPI 125%로 제작된 PE가 있는데요. 저는 DPI 100%로 사용합니다. 이것도 모든 wim 파일을 연속적으로 작업할 수 있습니다

 

PE의 버전과 DPI 100 퍼센트 수정하기 [모든 wim].bat 2021-11-21_185044.jpg

1. 버전만 수정하기

2. DPI 100%만 수정하기

3. 둘다 수정하기

 

bat 파일 만들 때 전부 다 실행해봤습니다. 너무 길어지기 때문에 여기서는 3번 실행화면만 올립니다

PE의 버전과 DPI 100 퍼센트 수정하기 [모든 wim].bat 2021-11-21_190001.jpg

---------------------------------------------------------

추가: 2021.11.22 월요일 오전 05:27

bat 파일 실행 스샷만 올리니까 허전해서, bat 파일 실행 전후의 PE 스샷을 올립니다

위 cmd 화면은 연습용이라서 아래 스샷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E의 버전과 DPI 100 퍼센트 수정하기 [모든 wim].bat - 적용 전 2021-11-22_051529.jpg

125%는 스샷에 쓴대로 글자와 그림들이 좀 크게 나옵니다

버전도 공식적으로는 쓰이지 않는 2009로 나왔습니다

PE의 버전과 DPI 100 퍼센트 수정하기 [모든 wim].bat - 적용 후 2021-11-22_052342.jpg

PE의 버전과 DPI 100 퍼센트 수정하기 [모든 wim].bat - 실행 2021-11-22_051940.jpg

위 스샷에 사용된 cmd 화면입니다

추가 끝

---------------------------------------------------------

PE의 버전과 DPI 100 퍼센트 수정하기 [모든 wim].bat

윈도우 11 ~ 윈도우 7까지 작동합니다.

윈도우 7은 dism.exe 옵션이 적어서, 작업 후 wim 용량 줄이는 부분에서 오류가 생기는데 문제는 없습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등록일
[공지] 사용기/설치기 이용안내 gooddew - - -
8143 기 타| Win10PE by PC Clinic v2에 파일 추가하기 [22] suk 1195 21 12-05
8142 소프트웨어| Microsoft Compatibility Telemetry 비 활성화 4k8k 556 8 12-05
8141 소프트웨어| 윈도우PE 부팅 시 드라이버 자동 설치 방법 [30] -0- 2961 25 12-04
8140 기 타| Snapshot 백업 프로그램에 차등 백업을 적용해 보았습니다.. [11] 왕초보 916 15 12-04
8139 기 타| PE 드라이브 있는 파티션을 Y:으로 잡기 [10] suk 1001 22 12-04
8138 기 타| Win10 PE 21H2 1차 수정 파일에 SCSI 디스크 인식 성공 [26] suk 957 28 12-04
8137 소프트웨어| 초보용 F1 Snapshot 1.0 테스트, 한글 추가 [29] 지후빠 1423 42 12-04
8136 윈 도 우| 근래에 만난 가장 부팅이 빠르고 만족스런 PE 2종류. 땅꼬... [14] heykevin 1980 11 12-03
8135 윈 도 우| qnd님 263mb nvme PE 간단 소개 [20] do98 917 14 12-03
8134 기 타| WinClon 최신 버전 사용기입니다.. [9] 왕초보 1870 12 12-03
8133 윈 도 우| pc clinic 님의 Win10 PE 21H2 2차 수정버전에 드라이버들 ... [20] heykevin 1259 24 12-03
8132 윈 도 우| Win10 PE 21H2 2차 수정입니다. [30] PC_Clinic 1903 39 12-03
8131 기 타| ZIP 압축파일 암호 알아내기 (숫자암호) [10] gooddew 1514 15 12-02
8130 기 타| PC Clinic님 Win10 PE 21H2 1차 버전 활용기 입니다.. [6] 왕초보 845 9 12-02
8129 기 타| Win10 PE 21H2 1차 수정 파일에 시작 메뉴 + 드라이버 설치 [12] suk 1004 18 12-02
8128 기 타| BCD-bcdedit 백업/bootice 복원 - 메뉴가 보이네요 [5] 왕초보 1088 12 12-02
8127 윈 도 우| 자료 무 손실 MBR<========>GPT 변환하기 [3] 4k8k 1390 10 12-02
8126 기 타| 꼭 통합을 하지 않더라도 [15] 집앞의_큰 1003 29 12-02
8125 윈 도 우| Win10 PE 21H2 1차 수정입니다. [34] PC_Clinic 1273 39 12-02
8124 윈 도 우| Win10PE by PC Clinic.wim 간단 사용기 [15] do98 864 14 12-01
XE1.11.6 Layout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