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 사용기

윈 도 우 Windows 11 psf 파일 설치 또는 통합하기

2021.11.10 16:34

suk 조회:1805 추천:20

오늘 질문에 올라와서 저도 거의 사용하지 않던 cmd 파일이라서 확인을 해봤습니다.

윈도우에 설치하거나 install.wim에 통합 작업이 쉽게 되더군요

 

누적 업데이트가 cab 파일과 psf 파일로 분리되어 있는 경우를 테스트했습니다만

단독 누적 업데이트 cab 파일이나 누적 업데이트 msu 파일은 당연히 적용됩니다

 

1. 먼저 윈도우 11에 설치하는 것입니다

-> 1/2/3 테스트 전부 윈도우 10에도 적용됩니다. 원래 윈도우 10용 스크립트인데 윈도우 11까지 지원하는 것입니다

W10UI_10.13.zip 으로 cab 파일과 paf 파일 그대로 Windows 11에 설치하기 테스트 2021-11-10_122800.jpg

W10UI.cmd와 W10UI.ini가 있는 곳에 업데이트 파일들을 두면

cmd 파일에서 알아서 업데이트 파일들을 인식합니다W10UI_10.13.zip 으로 cab 파일과 paf 파일 그대로 Windows 11에 설치하기 테스트 2021-11-10_122826.jpg

일반 권한으로 cmd 파일을 실행하면 위와 같이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하라는 메시지가 나옵니다

우클릭하여 관리자 권한으로 cmd 파일을 실행하면 됩니다

W10UI_10.13.zip 으로 cab 파일과 paf 파일 그대로 Windows 11에 설치하기 테스트 2021-11-10_122926.jpg

윈도우에 설치하는 경우, 숫자 0 입력하면 됩니다
W10UI_10.13.zip 으로 cab 파일과 paf 파일 그대로 Windows 11에 설치하기 테스트 2021-11-10_123107.jpg

그냥 과정을 스샷한 것이고, 사용자가 할 일은 없습니다

W10UI_10.13.zip 으로 cab 파일과 paf 파일 그대로 Windows 11에 설치하기 테스트 2021-11-10_123216.jpg

W10UI_10.13.zip 으로 cab 파일과 paf 파일 그대로 Windows 11에 설치하기 테스트 2021-11-10_123812.jpg

손대지 않아도 닷넷 3.5는 활성하더군요W10UI_10.13.zip 으로 cab 파일과 paf 파일 그대로 Windows 11에 설치하기 테스트 2021-11-10_124029.jpg

작업이 완료되었습니다W10UI_10.13.zip 으로 cab 파일과 paf 파일 그대로 Windows 11에 설치하기 테스트 2021-11-10_124424.jpg

재부팅해야 설치가 완료됩니다

W10UI_10.13.zip 으로 cab 파일과 paf 파일 그대로 Windows 11에 설치하기 테스트 2021-11-10_124553.jpg

오늘 나온 22000.318 빌드 누적 업데이트 설치가 잘 됐습니다

 

2. install.wim에 업데이트 파일들을 통합해봤습니다

install.wim 안에 있는 winre.wim도 자동으로 통합됩니다

W10UI_10.13.zip 으로 cab 파일과 paf 파일 그대로 install.wim에 통합 테스트 2021-11-10_151411.jpg

위와 같이 윈도우에 설치하는 방식에서 install.wim만 추가하면 됩니다

W10UI_10.13.zip 으로 cab 파일과 paf 파일 그대로 install.wim에 통합 테스트 2021-11-10_151448.jpg

그러면 알아서 install.wim을 잡습니다

다른 것은 기본값 그대로 숫자 0 입력하면 되더군요. 사용법 쉽네요. 다만 통합 시간이 좀 오래 걸립니다

W10UI_10.13.zip 으로 cab 파일과 paf 파일 그대로 install.wim에 통합 테스트 2021-11-10_151813.jpg

역시 사용자가 할 일은 없고, 그냥 작업 과정을 스샷했습니다

W10UI_10.13.zip 으로 cab 파일과 paf 파일 그대로 install.wim에 통합 테스트 2021-11-10_151837.jpg

 

W10UI_10.13.zip 으로 cab 파일과 paf 파일 그대로 install.wim에 통합 테스트 2021-11-10_151927.jpg

 

W10UI_10.13.zip 으로 cab 파일과 paf 파일 그대로 install.wim에 통합 테스트 2021-11-10_153532.jpg

누적 업데이트 통합 시간이 오래 걸리더군요

W10UI_10.13.zip 으로 cab 파일과 paf 파일 그대로 install.wim에 통합 테스트 2021-11-10_154015.jpg

 

W10UI_10.13.zip 으로 cab 파일과 paf 파일 그대로 install.wim에 통합 테스트 2021-11-10_154107.jpg

install.wim 안에 있는 winre.wim은 덤으로 통합되더군요.

물론 install.wim 안에 winre.wim이 있어야 됩니다. 트윅된 install.wim은 winre.wim이 없는 경우도 많습니다

W10UI_10.13.zip 으로 cab 파일과 paf 파일 그대로 install.wim에 통합 테스트 2021-11-10_154346.jpg

winre.wim 부터 저장하고, install.wim을 저장합니다

W10UI_10.13.zip 으로 cab 파일과 paf 파일 그대로 install.wim에 통합 테스트 2021-11-10_154455.jpg

 

W10UI_10.13.zip 으로 cab 파일과 paf 파일 그대로 install.wim에 통합 테스트 2021-11-10_154807.jpg

드디어 완료되었네요

 

3. 윈도우 ISO에 업데이트 통합하기

이건 좀 어렵더군요. install.wim처럼 무대포로 ISO 파일을 두고 해도 안 잡히고...

다른 방법이 있는지 모르겠습니다만, 다음과 같이 되더군요

 

하나의 폴더 만들어서 iso 내용물을 전부 그 폴더에 넣습니다

W10UI.ini에 그 폴더를 지정하고, W10UI.cmd 실행하면 잡더군요

W10UI_10.13.zip 으로 cab 파일과 paf 파일 그대로 윈도우 ISO 통합 테스트 - 조금 복잡하네요 2021-11-10_160143.jpg

 

W10UI_10.13.zip 으로 cab 파일과 paf 파일 그대로 윈도우 ISO 통합 테스트 - 조금 복잡하네요 2021-11-10_161917.jpg

 

W10UI_10.13.zip 으로 cab 파일과 paf 파일 그대로 윈도우 ISO 통합 테스트 - 조금 복잡하네요 2021-11-10_162051.jpg

 

W10UI_10.13.zip 으로 cab 파일과 paf 파일 그대로 윈도우 ISO 통합 테스트 - 조금 복잡하네요 2021-11-10_162305.jpg

 

W10UI_10.13.zip 으로 cab 파일과 paf 파일 그대로 윈도우 ISO 통합 테스트 - 조금 복잡하네요 2021-11-10_162352.jpg

----- 통합이 오래 걸려서 여기까지 쓰고 글 올립니다 -----

W10UI_10.13.zip 으로 cab 파일과 paf 파일 그대로 윈도우 ISO 통합 테스트 - 조금 복잡하네요 2021-11-10_165655.jpg

위와 같이 누적 업데이트 통합 후에 ISO 파일까지 만들어주더군요.

ISO 파일이 자동으로 만들어진 것은 윈도우 폴더에 oscdimg.exe 파일을 제가 평소에 넣어둬서 그럴 수 있습니다

oscdimg.exe 파일이 없는 경우는 그냥 통합 작업만 하고 끝이 날 겁니다

 

cmd 작업 과정을 확인해보니까

install.wim (+ 그 안에 winre.wim) 과 boot.wim 1번과 2번 이미지에 전부 서비스 스택과 누적 업데이트가 통합됐습니다

W10UI_10.13.zip 으로 cab 파일과 paf 파일 그대로 윈도우 ISO 통합 테스트 - 조금 복잡하네요 - cmd 작업 과정 2021-11-10_170604.jpg

테스트만 한 것이고 통합한 것은 올리지 않을 겁니다

 

ISO에 업데이트 통합하는 다른 방법입니다

cmd 실행하고 1번 입력한 후

iso 탑재하고, 그 탑재된 드라이브 문자 입력하면 됩니다.

W10UI_10.13.zip 으로 cab 파일과 paf 파일 그대로 윈도우 ISO 통합 테스트 - 1번 입력하여 탑재된 iso 드라이브 입력하는 것이 더 쉽네요 2021-11-10_200014.jpg

W10UI.cmd 실행 후 1번 입력하면 위 화면이 나옵니다

다양한 방법들이 있는데요. iso 파일은 탑재하고, 탑재된 문자 입력하는 것이 간단할 듯 합니다

W10UI_10.13.zip 으로 cab 파일과 paf 파일 그대로 윈도우 ISO 통합 테스트 - 1번 입력하여 탑재된 iso 드라이브 입력하는 것이 더 쉽네요 2021-11-10_200047.jpg

i:으로 iso가 탑재되어서 i: 입력했습니다

W10UI_10.13.zip 으로 cab 파일과 paf 파일 그대로 윈도우 ISO 통합 테스트 - 1번 입력하여 탑재된 iso 드라이브 입력하는 것이 더 쉽네요 2021-11-10_200254.jpg

위와 같이 1번 타겟으로 i:이 잡힙니다

W10UI_10.13.zip 으로 cab 파일과 paf 파일 그대로 윈도우 ISO 통합 테스트 - 1번 입력하여 탑재된 iso 드라이브 입력하는 것이 더 쉽네요 2021-11-10_200328.jpg

 

숫자 0 입력하여 작업이 시작되면, 먼저 탑재된 I:의 내용물이 복사됩니다

W10UI_10.13.zip 으로 cab 파일과 paf 파일 그대로 윈도우 ISO 통합 테스트 - 1번 입력하여 탑재된 iso 드라이브 입력하는 것이 더 쉽네요 2021-11-10_200828.jpg

cmd 과정이 진행되는 것까지만 보고 창 닫았습니다

 

W10UI.cmd 파일은 여기서 검색하셔서 다운로드 하시면 됩니다. 버전 숫자를 잘 보셔야 합니다. 아래에 있다고 반드시 최신 버전은 아닙니다.

https://github.com/abbodi1406/WHD/tree/master/scripts

위 링크에서 W10UI 검색하시면 됩니다. 현재 W10UI_10.13.zip이 최신 버전입니다

 

주의사항: 이전에 자유게시판에도 이런 일이 있었는데요. W10MUI와 W10UI를 혼동하기 쉽습니다

-----------------------------------------------------------

보충: 2023.03.06 월요일 오전 06:41

W10UI.cmd은 winre.wim이 기본적으로 누적 업데이트가 통합되지 않습니다 [install.wim과 boot.wim은 통합됩니다]

 

그래서 winre.wim에 누적 업데이트 통합하기 위해서는 1가지 설정이 필요합니다

W10UI.ini 에 LCUwinre      =0 을  LCUwinre      =1로 수정해주셔야 winre.wim에 누적 업데이트가 통합됩니다

 

참고로, W10UI.ini 파일이 없는 경우에는 W10UI.cmd 안에 set LCUwinre=0 을 set LCUwinre=1 로 수정하시면 됩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등록일
[공지] 사용기/설치기 이용안내 gooddew - - -
8059 기 타| 126L로 빌드 해보니까 [45] 집앞의_큰 1016 44 11-16
8058 윈 도 우| PE126 과 PE126L 실행 체험입니다. [17] 하늘은높고 878 27 11-16
8057 기 타| WindowsXPE126L 빌드 오류? [8] DengJang 850 6 11-16
8056 윈 도 우| Xemom1에 포함된 PECMD용 소프트웨어들 [8] 지후빠 897 5 11-16
8055 윈 도 우| [KJ님] WindowsXPE126 사용 기본 빌드 체험샷 [4] Compuser 659 6 11-16
8054 윈 도 우| Windows 11 22000.194 OKR겸용 SystemPE 사용기 입니다. [4] 아미띠에03 602 6 11-16
8053 기 타| WindowsXPE126 이용 Win11 PE 만들어 보았네요. [12] 블랙로우즈 835 9 11-16
8052 기 타| 125로 PE 만들 때 복사 오류 해결 [11] suk 735 13 11-16
8051 기 타| 지후빠님 wimlib-imagex B&R ahk 전체/차등백업 간단한... [8] 왕초보 692 9 11-16
8050 기 타| 간단한 MBR, UEFI 용 BCDRepairGUI를 만들어 활용하여 보았... [13] 왕초보 830 15 11-15
8049 기 타| 첨**님 실컴용 install.wim 19044.1348 설치 후기 [18] do98 564 19 11-15
8048 기 타| 자료실 Xemom PE 한글로 사용해 보기 [56] 못말리는짱 1346 56 11-15
8047 기 타| WindowsXPE124으로 Windows 11 (22000.346) 빌드 테스트 [25] suk 1231 33 11-15
8046 윈 도 우| WindowsXPE123 빌드 [68] 늘상푸른 1756 38 11-14
8045 기 타| WindowsXPE123 빌드해봤습니다. [86] DengJang 1356 53 11-14
8044 윈 도 우| 22000.346 누적 업데이트 설치 실패할 때... [15] suk 1449 7 11-14
8043 기 타| [종료]win11_346 업데이트 오류.. [146] 첨임다 1106 47 11-14
8042 기 타| maniaa님 Win11 22000.1 버전 저용량 Cmdpe를 활용하여 보... [10] 왕초보 917 15 11-13
8041 기 타| 나눔고딕 폰트가 적용된 gulim.ttc (8.18MB)가 있네요.. [6] 왕초보 1372 12 11-13
8040 윈 도 우| 한글 윈도우 11 /22000.346 업 데이트 [5] 4k8k 1173 2 11-13
XE1.11.6 Layout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