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 사용기

기 타 멀티 OS에서 SnapshotBR.cmd 수정해서 활용하기 입니다

2021.11.07 17:45

왕초보 조회:768 추천:23

윈도우를 여러개 설치해서 사용하시는 분들이 많으시네요...

SnapshotBR 경우 윈도우 1개가 설치된 경우에 사용되는 기본형 cmd입니다..멀티 OS인 경우에는..cmd에서 변수등을 수정하고 런처에서도 설정을

수정해서 활용을 하셔야 합니다..

 

cmd를 수정하는것이 불편하신분들은 윈도우에서 복원은 되지않지만...디스크 정보를 보여주는 카멜님의 Snapshot Gui 1.02 버전이 더 편하실수도

있습니다.. 참고하여 주십시요

 

아래는 제가 쓴 Snapshot Gui 1.02 사용기 입니다.바로 아래에 있기는 합니다

 

카멜님 Snapshot Gui 1.02 버전 간단한 사용기입니다

https://windowsforum.kr/review/16887963 

 

cmd가 파일명 등이 고정이라면..카멜님의 작품은 파일명등이 자유로워서..필요할때가 있습니다..

cmd 복구프로그램이 있으시더라도..다른 상황을 위해서..GUI 버전 하나는 같이 폴더에 넣어두시면..유용할때가 있습니다.

 

 

아래는 소개하여 드렸던 SnapshotBR 3.1 버전을 수정해서 멀티 OS에서 활용하는 사용기입니다..

멀티 OS를 하시는분들은 참고를 하여 주십시요

 

 

1. win7 windows10 으로 2개가 설치된 상태입니다..win10 실제 win7을 복제한것입니다..

1.jpg

 

2. 구분을 위해서..cmd 파일 이름을 각각의 윈도우에 맞게 수정을 하였습니다...cmd에서 설정한 이름이 아닌 수동으로 변경을 한것을 위해서..

  카멜님의 GUI 버전을 같이 넣어 놓았습니다.. 저는 이렇게 원클릭 버전과 GUI 버전이 한쌍으로 설치를 하는 편입니다

2.jpg

 

3. 멀티 OS여서..타이틀부터 구분이 되도록 수정하고..변수값들도 수정을 하였습니다..윈도우에서 복원시 런처를 종료시키는데...나중에 보니까

   3번을 수정을 안했네요..

3.jpg

 

4. Win10 용 cmd는 테그파일도 달라야죠...Win10.tag로 변경을 하였습니다

4.jpg

 

5. 각각의 윈도우에서 바로가기를 만들어야 하기 때문에 런처도 2개입니다..pe에서는..멀티 OS 2개다 메뉴가 있어야해서..또 런처가 다른것을 사용을

   합니다..이렇게 3개 런처가 필요합니다

5.jpg

 

6. Win7용 런처입니다..타이틀도 표시하여 주고 있습니다..런처의 배경색과 수동 Snapshot 색상도 Win10용과 다르게 설정을 하였습니다

   2번은 카멜님의 작품을 등록한것입니다

6.jpg

 

7. 파일명이 고정되어 있는 cmd 를 사용할수 없는 경우에 이 GUI가 필요하죠...Snapshot을 수동을 실행을 해도 되기는 합니다

7.jpg

 

8. 수동실행한것은 영문입니다

8.jpg

 

9. 백업 cmd 입니다..1번에서 구분이 되도록 이름을 설정하였습니다.. 2번 볼륨명이 중요하죠...이렇게 확인을 할때 필요합니다

9.jpg

 

10. 설정한 이름으로 백업중입니다

10.jpg

 

11. 백업파일을 확인하였습니다

11.jpg

 

12. 복원 cmd입니다

12.jpg

 

13. 재부팅후 복원중입니다..win7이 메인이어서..BCD 메뉴에서 선택할 필요가 없습니다..

13.jpg

 

14. 재부팅시에 런처를 강제 종료하는데 이것을 수정을 안했네요....

14.jpg

 

15. 볼륨명만 Windows10 입니다..다른 OS 로 부팅을 하였습니다..런처 아이콘은 ResourceHacker에서 교체하실수 있습니다

    아이콘도 다르게 설정을 하였습니다

15.jpg

 

16. Snapshot 수동 실행버튼이나..런처 배경색도 구분을 위해서 바꾸었습니다..

16.jpg

 

17. 백업 cmd 입니다..1번, 2번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17.jpg

 

18. 백업중입니다

18.jpg

 

19. Windows10의 테그 파일은 Win10.tag 입니다..각각 다른게 설정된 이름으로 백업이 되었습니다

19.jpg

 

20. 복원 cmd 창입니다

20.jpg

 

21. 복원을 위해서 재부팅하였습니다..이번에는..Windows10이어서 BCD에서 선택을 해주셔야 합니다. 한번 사용기를 쓴적이 있어서 다 아시는 내용

  이시죠..

21.jpg

 

22. 복원중입니다

22.jpg

 

23. pe로 부팅하였습니다..win7 win10 2종류가 있어서 설명이 있어야 구분이 됩니다..그래서 런처 버튼이 아래처럼 설정되었습니다.

   win7 win10 버튼 중간에 Snapshot 수동을 넣어놓았습니다

23.jpg

 

24. win7 백업 cmd 입니다..제목과 볼륨명으로 구분이 됩니다.

24.jpg

 

25. 백업까지 하여 보았습니다

25.jpg

 

26. Windows10 백업 cmd입니다..Win10.tag를 검색하기 때문에 드라이브 문자는 중요하지 않죠..볼륨명으로 확인을 하시면 됩니다

26.jpg

 

27. 백업중입니다

27.jpg

 

28. 백업파일명을 cmd에서 설정하지 않은 이름으로 수동으로 변경해 놓았다면...Snapshot 수동이나 GUI 버전으로 해결을 해야죠.

28.jpg

 

29. GUI 버전으로 백업을 하여 보겠습니다

29.jpg

 

30. 확인 메세지입니다

30.jpg

 

31. 백업중입니다.. 멀티 OS의 경우 이렇게 GUI 프로그램이 더 편하실수도 있습니다.

31.jpg

 

32. 지난 사용기에서 제가 설명이 부족한 부분이 있었습니다..Snapshot.cmd는...수동실행을 해주는 cmd입니다.,.영문 보다는 한글이 더 편하시죠

   한글버전을 아래처럼 추가하시고 cmd를 수정해서 사용하는것이 좋으실것 같습니다..파일 용량이작아서 추가해도 표시도 안납니다

32.jpg

 

33. 수동실행 버튼입니다

33.jpg

 

34. 수동실행은 한글이 편하기는 합니다

34.jpg

 

35. cmd 백업에 한글버전을 넣어 보았습니다

35.jpg

 

36. 한글 버전의 경우 cmd에서도 한글이 보입니다..현제 이상하게 보이는것는 cmd창이 좁아서 입니다..늘리시면 되지만..cmd 백업은 영문이 간결해서

  좋은것 같습니다..

36.jpg

 

37. 마무리

SnapshotBR.cmd 자체가 멀티 OS가 아닌 윈도우 한개만 설치된것에 맞추어져 있어서 멀티 OS를 사용하시는 분들을 사용기에서 처럼 복잡한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이럴때는..고수님들의 GUI 버전이 좀더 편하실수도 있습니다.

어느쪽이든..편하신것을 활용하시면 될것 같습니다..

 

잘 되시길 바랍니다

 

일요일도..벌써 저녁이 다되었네요..

편안하신 시간 되시길 바랍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등록일
[공지] 사용기/설치기 이용안내 gooddew - - -
8084 윈 도 우| Windows 10 (1904x.1387) 2021.11.23 선택적 업데이트 [44] suk 2544 42 11-23
8083 윈 도 우| Windows 10 Version 21H2 & LTSC 2021 Select Edition [59] 디폴트 4298 63 11-22
8082 기 타| [카조]님 WindowsXPE ver.129 Light [120] do98 2467 59 11-22
8081 기 타| 짱구님의 "땅꼬마PE" 실컴 WIFI 연결샷 [3] 삼시세끼 713 4 11-21
8080 기 타| KNM님의 "ORK겸용" 실컴 WIFI 연결샷 [2] 삼시세끼 462 4 11-21
8079 기 타| WindowsXPE129 - Win11 오류 및 피드백 [24] DengJang 940 16 11-21
8078 기 타| [스샷 추가] PE의 버전과 DPI 100 퍼센트 수정하기 [모든 w... [17] suk 902 23 11-21
8077 기 타| 땅꼬마 PE의 IFW 프로그램 폰트 관련입니다 [10] 왕초보 978 13 11-21
8076 기 타| Cmd에서 테그파일은 GUI(?)로 만들기를 하여 보았습니다. [7] 왕초보 732 11 11-21
8075 기 타| WindowsXPE129 빌드 사용기 (Drvindex) [79] DengJang 1790 59 11-20
8074 윈 도 우| WindowsXPE129 실행 경험입니다. [41] 하늘은높고 2157 35 11-20
8073 윈 도 우| PEnetwork 설정없이 바로 공유폴더 접근이 가능한 PE 를 발... [10] heykevin 929 7 11-20
8072 윈 도 우| 윈도우 10 봉인&무봉인 이미지 제작 및 설치 테스트 [23] 무월 1398 29 11-20
8071 윈 도 우| Windows 11 (22000.348) 2021.11.20 릴리스 프리뷰 [18] suk 1344 22 11-20
8070 기 타| Xemom1 PE 체험, 때늦은 감이 있지만^^ [24] do98 632 15 11-19
8069 소프트웨어| PE 드라이버 설치 [36] 집앞의_큰 1481 41 11-19
8068 윈 도 우| Win10 LTSC 2021 설치해봤습니다. [24] DengJang 1535 23 11-19
8067 윈 도 우| Windows 10 (1904x.1381) 2021.11.19 릴리스 프리뷰 [38] suk 1244 41 11-19
8066 기 타| 첨**님 실컴용 윈도우 수동 업데이트 [10] do98 566 9 11-19
8065 윈 도 우| Windows 10 IoT Enterprise LTSC 2021 만들기 테스트 [34] suk 4381 47 11-19
XE1.11.6 Layout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