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 사용기

기 타 바탕화면 아이콘 정리하는 3가지 방법

2021.08.24 18:08

왕초보 조회:1473 추천:10

PE 생성기 3.3으로 간단(?)한게 만든 PE에 저처럼..바로가기 아이콘을 지정하는 경우 보기는 좋지만..새로운 프로그램을 추가하는 경우 적용 아이콘을

만들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습니다..

PE에서 많은 프로그램을 활용하는 경우 맞는 아이콘을 찾는것 자체가 불편한 일일것입니다

 

PE 생성기에서 만든 그대로 사용하기에는..개성이 없어서...그리고 항상 보던 모습이어서 좀 심심하죠..

로켓독이나 다양한 런처..또는 레인미터를 활용하면 완전히 다른 모습의 PE가 되기도 합니다.

이런 프로그램없이도 바로가기 바탕화면 바로가기를 좀더 다양한 모습으로 활용을 할수가 있어서 적용을 하여 보았습니다

 

이미 관련 내용에 대한 사용기를 쓴적이 있어서 아시는 분들도 많으실것입니다..아시는 분들을 통과를 하여 주십시요

 

아래 사용기에서 활용한 프로그램중 Deskview 는 아래의 링크에서 다운 받으실수 있습니다

2010년에 개발된것이어서 x86 버전만 있습니다..바로가기 파일 이름을 옆으로 길게 보여 줍니다

 

https://deskview.kr.uptodown.com/windows

 

DeskView를 소개글이 있는 곳입니다

https://mastmanban.tistory.com/391
 

DesktopOK는 아래 홈페이지에서 다운 받으실수 있습니다, 자료실에 최신 자료가 소개되어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아주 마음에 드는 프로그램입니다..

 

DesktopOK  홈페이지 입니다 DesktopOK 9.19 오늘 업데이트 되었네요

http://www.softwareok.com/

http://www.softwareok.com/?seite=Freeware/DesktopOK

 

자료실에 소개된 글입니다

 

DesktopOK 9.15 - 바탕화면 아이콘 위치 저장 및 복원 도구

https://windowsforum.kr/data/16629644

 

DesktopOK 의 경우 고수님의 작품에도 포함이 되어서 활용되고 있어서 많이들 아시고 계실것 같습니다

사용기에 사용된 PE는 PE생성기 3.3으로 만든것에 오토잇등으로 만든 보조프로그램없이 레지나 ini 설정만으로 구성이 된것입니다

 

1. StartIsBack의 시작메뉴에 바탕화면 바로가기 프로그램을 모두 등록해서 활용을 하는 방법입니다

 

  PE 생성기 3.3으로 만든 PE로 부팅시에 탐색기가 나오면 바탕화면에 Desktop.ini 파일이 보입니다...잠시후 PESET.exe에서 삭제를 해주기는

  합니다  그 동안은 신경쓰지 않았습니다만..이왕이면 안보이는것이 더 깔끔하죠..

 

  고수님의 작품에는 고수님의 노하우가 포함이 되어 있어서 배울수 있는것이 많습니다..입니다님의 작품의 pecmd.ini 있는 명령어를 활용하였습니다

  아래처럼 Desktop.ini 가 있지만 보이지는 않습니다...이제서야 깔끔해졌습니다

 

  아래 3가지 방식에서 사용하기 위해서 레인미터도 기존것을 수정해서 새로 넣었보았습니다.1.jpg

 

2. 바탕화면에 바로가기 대신에 시작메뉴에 등록을 해서 바탕화면에는 아무것도 없습니다..내 컴퓨터, 휴지통도 보이지 않게 하였습니다

  보통..pe 부팅시에 백업,복원 프로그램이 자동 실행이 되는 형식으로 구성이 됩니다

  아이콘은 따로 지정을 하지 않았습니다...이것이 제일 편한 방법이죠

2.jpg

 

3. 바탕화면에 있을것이 여기에 모두 등록이 되었습니다 시작메뉴에 바로가기 등록 갯수는 등록된 바로가기 갯수에 따라서 자동설정이 됩니다..

3.jpg

 

4. cmd 실행등은 우클릭 메뉴에 등록을 하였습니다.. 여러가지 작업을 해야하는 경우 매번 시작버튼을 클릭하기 귀찮죠...바탕화면에 바로가기를 

  만들어 줄수 있도로 우클릭에 메뉴가 있습니다

4.jpg

 

5. 내 PC, 휴지통도 보입니다.

5.jpg

 

6. 바로가기를 다시 삭제한 모습입니다..

6.jpg

 

7. DeskView가 작용된 모습입니다..

  아쉽게도 DeskView이나 DesktopOK를 활용하시는 경우 기본 바로가기 파일이 보인후에 적용이 되기 때문에 바탕화면에 잠시 기존 바로가기 파일

  형태의 모습이 보입니다.. 바로가기 파일이 처음보일때부터 아래처럼 적용된 모습을 보기 위해서는 추가 작업을 해주여야 하는 불편이 있습니다..

 

  바로가기 파일 이름이 옆으로 되어 있는것만으로도 다른 분위기가 되어서 적용하는 재미가 있습니다

7.jpg

 

8. 부팅이 완료가 되었습니다..한줄일때 보기가 좋습니다....저는 2줄이 되면 보기가 좀 그렇습니다..

8.jpg

 

9. 바탕화면에 한줄로 모자라면..나머지는 시작메뉴에 등록을 해서 활용을 해야죠

9.jpg

 

10. DesktopOK를 활용한 경우 입니다

   DesktopOK는 바로가기 파일을 내가 원하는 위치대로 배치를 하여 주지만 처음에는 기존 바로가기 처럼 정리가 됩니다.

   그래서 부팅중에는 바로가기 파일이 보이 않게 하였습니다...바탕화면에 바로가기 파일을 만든후 작업표시줄에 바로가기를 등록을 합니다..

   현재 바탕화면에 바로가기는 보이지 않습니다  

 

    DesktopOK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바탕화면 바로가기 자동정렬이 해제되어 있어야 합니다...

    PE 생성기 3.3 버전으로 만든 PE는 PESET.exe에서 자동정렬로 레지를 등록을 하고 있습니다..DesktopOK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PESET.exe

    작업이 끝난후 자동정렬 해제 레지를 등록후 탐색기재시작후 DesktopOK를 적용을 해주셔야 합니다..

    PESET.exe가 좋은점도 있지만 이렇게 자기 마음대로 레지를 등록을 하고 있어서 제한이 있습니다.

10.jpg

 

11. 바탕화면 바로가기가 보일때는 아래처럼 DesktopOK에서 바로가기가 재정렬 된후에 보이게 됩니다...

    DesktopOK 최대 장점이죠...바로가기 파일들을 내가 원하는 위치에 원하는 모습으로 설정을 할수가 있습니다

11.jpg

 

12. 바로가기 파일 위치를 저장하는 것이 필요하죠..우클릭 메뉴에 등록을 하였습니다

12.jpg

 

13. PE 만들때 VBS를 선택하지 않아서 어쩔수 없이 pecmd.exe TIPS 메세지를 활용하였습니다

13.jpg

 

14. PE를 재부팅 하였습니다...DesktopOK 설정이 잘 적용되었습니다

14.jpg

 

15. 마무리

PE 생성기 3.3으로 만든 PE 그대로 사용하기에는 이쁘지 않죠..

간단한 프로그램을 활용해서 취향에 맞게 꾸며서 활용하시면 좀더 이쁜 PE로 활용을 하실수 있으실것 같습니다

 

Deskview 나 DesktopOK의 경우 pecmd.exe에서 만든 바로가기를 그대로 활용하는 방식이어서 런처나 레인미터처럼 별도의 설정이 필요하지

않다는 장점도 있지만...실제 적용을 해보시면..런처나 레인미터처럼 완벽하지 않은 부분들도 있으실것입니다

이런 프로그램을 이렇게 활용할수 있구나 하는 정도로 보아 주십시요

 

오늘 하루도 고생이 많으셨습니다

편안하신 시간 되시길 바랍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등록일
[공지] 사용기/설치기 이용안내 gooddew - - -
4550 기 타| Windows 업데이트 설치하기3 - msu 그대로 설치.bat [19] suk 1475 28 10-21
4549 윈 도 우| [첫 RTM-Escrow] 윈도10 레드스톤5 인사이더 프리뷰 17751.... [9] suk 1475 9 09-01
4548 모 바 일| 애플 페이에 카드 등록하기 [7] asklee 1474 6 03-21
4547 윈 도 우| 도광양회님_Win7Prox86 Note&Low FSMG_08-14 [315] 첨임다 1474 26 08-14
4546 보안 / 해킹| 꼴통 "AhnLab Safe Transaction" 길들이기 [10] 세이퍼컴 1473 12 06-05
4545 소프트웨어| xpe151+22H2 12세대드라이버+wifi+RS2.89+p12.7+T.DISK1.0+... [58] 컴아저씨훈 1473 47 11-23
» 기 타| 바탕화면 아이콘 정리하는 3가지 방법 [6] 왕초보 1473 10 08-24
4543 윈 도 우| Windows 10 버전 2004에서 투명 시작 메뉴 사용하기.bat 테... [17] suk 1472 26 11-15
4542 윈 도 우| Windows 11 (22000.652) 2022.04.26 선택적 업데이트 [25] suk 1472 43 04-26
4541 기 타| ♥ Tools폴더의 이름을 바꾸었습니다 ▶ Tools11 PE [110] qnd 1471 108 07-09
4540 윈 도 우| 첨님의 19042.662_AS 테스트(수정_문제 해결됨) [19] 오호라7 1471 8 12-06
4539 윈 도 우| FSMG님 MemorialWin [4] hanco 1471 6 08-27
4538 윈 도 우| Win10 20H2 Ultimate [19042.546]해결방법 알려주세요. [10] 조랑말 1470 0 10-19
4537 윈 도 우| 초초보를 위한 Win10 install.wim에 .NetFrame3.5 통합 하기 [15] Killertige 1469 4 09-01
4536 소프트웨어| 문제점이 있네여 실컴만 생각했습니다. pe에선 에러납니다 [10] 오늘을사는 1469 8 03-10
4535 윈 도 우| 삭제를 거부하는 폴더 삭제 [31] 집앞의_큰 1468 72 08-05
4534 기 타| flower님 저사양용 PE [21] 옛날에 1467 6 08-30
4533 기 타| QuantumPE Default_x64_PE_WIBOOT_무등산 펀집 [99] V무등산V 1466 154 07-18
4532 윈 도 우| WIndows 11 22H2 22616.100 수동업데이트 하기 [3] 내꼬 1466 12 05-11
4531 윈 도 우| 퀀텀 PE - 어드민 부팅 과정을 단축해봤습니다 [21] suk 1466 30 02-27
XE1.11.6 Layout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