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 사용기

기 타 PE 생성기 3.3 - Backupper 사용기

2021.08.21 22:23

왕초보 조회:1045 추천:8

받은것이 있으면 당연히 가는것도 있어야 하는것이 인지상정일것입니다..

Backupper 관련해서는 실제 사용하고 있지는 않아서 이제는..dll을 찾는일이 없을줄 알았습니다만 이렇게 다시 찾게 될줄은 생각을 못했네요..

이왕이면 해본사람이..필요한 dll들을 찾는것이 좀더 빠르겠죠..

 

PE 생성기 3.2 버전으로 만든 PE에서는.., Backupper 자체 드라이브와 레지에 dll만 추가를 하면 되었던것 같습니다

이번에 3.3에는 OS 버전도 다르고 PE 생성기 프로그램도 변화가 있어서 인지..자체 레지 말고도 추가해야될 레지까지 있네요..

 

Backupper 가 잘되는 PE가 있다면..저용량 PE에서 필요한것을 비교해서 찾을수는 있습니다..이것이 저 같은 사람에게는 단순 반복 작업으로 찾는

노가다여서 그렇지 찾는 재미도 있기는 합니다...하지만..실제 권하고 싶지는 않습니다...

개인적으로 Backupper 가 필요하시면..잘 되는 PE를 활용하시는것이 몸이 편한 방법일것 같습니다

 

 

 

1. 바탕화면에 바로가기 하나 추가하는것에 노가다가 많이 필요하네요.

1.jpg

 

2. Win10XPE 2021-06-27 버전으로 Backupper 포함된 PE를 만들어서 추출했더니 Backupper가 Standard 버전이네요

  한글 언어파일은 자료실에 김영감님께서 한글화 해주신 언파일을 사용하였습니다..감사합니다2.jpg

 

3. Backupper 경우 백업은 부팅관련 부분과 관련이 없는 파티션 백업을 활용했었습니다..그래서..파티션 백업을 진행하였습니다

3.jpg

 

4. 벡업이 잘 완료가 되었습니다

4.jpg

 

5. 복원까지 잘 완료가 되었습니다

5.jpg

 

6. Standard 버전은 역시 기능 제한이 많네요...

6.jpg

 

7. 시스템 복제는 Pro 버전부터네요..

7.jpg

 

8. 도구에도 간단한 기능만 있습니다

8.jpg

 

9. 마무리

백업 프로그램들이 다양해서 애용하시는 프로그램이 각각 다르실것 같습니다

백업 프로그램에서 가장 중요한것은 당연히 필요한 때 완벽하게 복원해주는 기능일것입니다

그리고...이왕이면 내가 사용하고 싶은 PE에서 잘 실행이 되었으면 하는 부분도 있으실것입니다..Backupper는..이 부분에서는 조금 까다롭네요

 

거의 모든 복구시스템용에 Image for Windows을 프로그램을 활용하고 있습니다..

백업,복원 속도도 빠르고 이제까지 사고없이 잘 활용을 하고 있습니다..저용량 PE에서도 잘 실행이 되고요...

활용해 보시지 않으셨다면 한번 관심을 가져보시는것도 좋으실것 같습니다

 

 

오늘 비가 많이 왔습니다...피해가 없으셨기를 바랍니다.

편안하신 시간 되세요..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등록일
[공지] 사용기/설치기 이용안내 gooddew - - -
8138 기 타| 중국 Win10 PE 한글화 - IME를 적용하여 보았습니다 [16] 왕초보 1038 30 03-07
8137 모 바 일| 아이폰 문자앱으로 여러장 사진 보내기 [3] asklee 1039 4 09-04
8136 게임| [GB] 게임보이 Gameboy 롬 700개 [5] 번개 1039 22 02-03
8135 기 타| 【첨부】 PEplus 2종 PE를 “더블런처” PE로 만들기 [12] 딸랑쇠 1039 52 04-20
8134 윈 도 우| 윈도우 11 21H2 사용기 [5] 김윈도 1040 0 05-19
8133 기 타| 그 P2 설명 하나 [73] 집앞의_큰 1040 58 05-23
8132 기 타| SnapshotBR.Cmd (윈도우에서만 백업,복원) 사용기입니다 [35] 왕초보 1040 26 11-03
8131 윈 도 우| Windows 10 1809 -> 21H2로 업데이트 VHD실컴사용 [23] 내꼬 1040 22 05-31
8130 소프트웨어| QuantumPE에서 최신 크롬 사용하기 [16] @카리스마 1040 28 02-05
8129 윈 도 우| 무작정 따라하기 PE 수정을 해보았습니다 [14] lakeside 1041 9 05-01
8128 윈 도 우| 콜*오님 Win8 x64 SuPer Lite PE 설치 및 체험기 [41] 선우 1041 14 12-06
8127 소프트웨어| MKVToolNix 40.0.0 x64 portable - 만능동영상편집기 한고요 1041 4 11-09
8126 윈 도 우| [종료]Bob.Ombs.Modified.Win10PEx64.v4.98_ko.wim [38] sunshine 1041 25 01-02
8125 기 타| 노는 usb에 LG Recovery설치 하고 복구하자 [3] 코코당 1041 7 02-07
8124 기 타| WindowsXPE147 수정빌더_Windows 11 23H2(빌드 22631.3235)... [101] 격자 1041 125 03-07
8123 윈 도 우| sLauncher - boot.wim 적용 및 활용 방안! [34] 무월 1041 59 05-05
8122 윈 도 우| Windows10/11 21H2 1469/438 VPN 패치 적용 [34] 내꼬 1042 27 01-18
8121 윈 도 우| Win10 Lite Edition에서 디펜더 사용하기 [15] PC_Clinic 1042 13 03-27
8120 소프트웨어| 램디스크옵션-Ramdiskoptions with VHDman [11] 카멜 1043 10 03-23
8119 윈 도 우| MDS_RS2_10_x64_15063 (2017.4.5일) VHD+VMware 설치기 [40] 선우 1043 7 04-06
XE1.11.6 Layout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