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 사용기

윈 도 우 [실사] 봉인(Sysprep) & 무봉인 이미지 설치 비교!

2021.08.08 08:52

Geheimnis 조회:2389 추천:32

봉인(Sysprep)된 이미지(install.wim)와 무봉인(NoSysprep) 이미지(install.wim) 설치를 녹화한 영상입니다. 봉인 이미지와 무봉인 이미지 차이점에 대한 질문을 여려 차례 받아 촬영 하게 되었습니다. 단순 설치 비교영상으로 차이점에 대해 궁금한 의문점이 해소 되길 바랍니다. 세부 내용은 하단 유튜브 영상 참고 바랍니다.

 

----------------------------------------------------------------------------------------------------------------------------------

Sysprep에 대한 세부 내용은 정리가 잘 되어진 포스팅이 있어 소개 하겠습니다.

◆ 원문 링크 :  https://shinb.tistory.com/302

----------------------------------------------------------------------------------------------------------------------------------

봉인(Sysprep)된 상태의 윈도우란?

봉인(Sysprep)된 상태의 윈도우(이미지)란 위의 윈도우 설치 과정 중 Specialize 즉, 해당 시스템에만 적용되는 고유한 정보들, SID 나 하드웨어 설정 등이 이루어지기 전의 상태를 의미합니다. 이 상태의 윈도우는 아직 그 어떠한 고유 정보나 하드웨어에 대한 설정도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어떤 컴퓨터에서든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태의 윈도우를 봉인된 상태의 윈도우라고 부릅니다.

 

Sysprep 일반화(봉인) 작업이란?

Sysprep 일반화 작업이란 설치 과정을 마쳐(Specialize 과정을 거쳐) 현재의 시스템에 맞게 고유 정보가(SID, 하드웨어 설정 등이) 생성되고 적용된 상태의 윈도우를 Sysprep 을 통해 다시 모든 고유 정보를(SID, 하드웨어 설정) 제거하는 작업을 진행함으로써 Specialize 구성 전의 상태로 되돌리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렇게 일반화된(봉인된) 윈도우는 새로 부팅하게 되면 Specialize 단계를 다시 거치게(새로운 고유 정보 생성 및 적용) 됩니다.

 

 Sysprep 을 통해 일반화 작업을 진행하기 전 함께 포함하길 원하는 프로그램들을 설치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일반화 작업을 거치게 되면 모든 하드웨어 설정이 초기화되기 때문에 하드웨어에 대한 드라이버는 설치하지 않으셔야 합니다.(목적에 따라 달라지지만 일반적인 개인 유저가 하드웨어 설정이 전혀 다른 다수의 컴퓨터에 배포(설치)하는 것을 목적으로 제작하는 경우 하드웨어 드라이버는 설치하지 않는 것으로 합니다.) 아무튼 이러한 일반화 작업을 거치면 윈도우는 다시 어떤 컴퓨터에서나 사용할 수 있는 봉인된 상태로 되돌아가는 것 입니다.

 
----------------------------------------------------------------------------------------------------------------------------------
무봉인은 위 내용의 반대로 현재 시스템의 모든 환경 설정값을 포함한 상태의 윈도우 입니다.
----------------------------------------------------------------------------------------------------------------------------------
오해의 소지가 있어 추가합니다.
봉인이든 무봉인 이든 가상환경(vmware or virtualbox)에서 제작이 기본입니다. (이건 제 기준입니다.)
제작자(제작 환경)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누가 어떻게 만드느냐? 공개하느냐 마느냐? 에 따라 달라집니다.
사용자는 제작자가 공개하는 정보를 신뢰해야 하기에 정답은 없습니다.
해당 게시물은 이미지 제작이 아닌, 봉인&무봉인 단순 설치 비교 영상입니다.
----------------------------------------------------------------------------------------------------------------------------------
 
Sysprep_NoSysprep.jpg
 

Image01.jpg

Image03.jpg

 

Image02.jpg

 

■ 동영상 제목 클릭 후 전체화면(1080P)시청 가능합니다.

↓↓ 구독좋아유 ㅡㅅㅡ Plz...↓↓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등록일
[공지] 사용기/설치기 이용안내 gooddew - - -
9071 윈 도 우| 드림 PE 빌더 1.0 [31] %카리스마 3536 33 03-11
9070 기 타| [테스트] 썬*인님의 BRPE1.6 test [87] SHIELD 2230 33 10-15
9069 기 타| WimTools ▶ beta3 테스트 스크린샷 입니다. [15] qnd 778 33 07-19
9068 윈 도 우| RS4 Lite 작업후 테스트중 [77] 갑파니 1721 33 05-11
9067 소프트웨어| PE에서 부팅 상태 구분 [27] 집앞의_큰 1850 33 12-23
9066 윈 도 우| 여러 고수님들의 도움으로 탄생한 rs4 rtm pe입니다. [74] sboat123 1979 33 04-01
9065 윈 도 우| Win10 PE 20H1 x64 by PC Clinic 사용기 ... [30] 꿈속이라도 1398 33 09-30
9064 윈 도 우| Win10PESE x86x64 빌드 아이콘 간격조정 [342] 선우 4078 33 09-01
9063 윈 도 우| 나만의 PE를 만들자 4탄입니다-문제점이 많아 잠시중단합니... [413] 지연서연아 4119 33 08-10
9062 기 타| windows PE를 만들어 보았습니다. 부끄러우니 사진3장으로 ... [35] 카니발 2097 33 05-08
9061 윈 도 우| 월드베스트 PE 6.0 사용설명서 [61] 사랑과평화 15281 33 05-16
9060 소프트웨어| [23 추가] 夕影님 CMPa Decrypt 1+2 [17] 지후빠 809 32 06-08
9059 소프트웨어| 32비트 환경에 한컴 2024 설치 [13] gooddew 1697 32 01-06
9058 기 타| (추가) pureBasic PESettings v5.0 - DVD,Wim안에 있어도 ... [17] 왕초보 809 32 04-03
9057 기 타| v*등*v님 자료 외장SSD 부팅 성공기 [23] 더~불어~~~ 634 32 09-25
9056 기 타| Snapshot Drag Cmd - 드래그로 백업,복원을 합니다 [16] 왕초보 876 32 02-18
9055 기 타| WimLib Cmd + Launcher(pecmd.exe) 로 구성하여 보았습니다 [17] 왕초보 897 32 02-25
9054 기 타| IFW BR Simple(M) v2.0 사용기 입니다 [16] 왕초보 784 32 12-23
9053 기 타| [종료]PE 플루이드 모션 설정 자동화 (진짜 최종 수정본) [18] DengJang 869 32 06-22
9052 기 타| Easylight PE + 정션링크 - RocketDock 경로 설정하기 입니다 [19] 왕초보 963 32 01-14
XE1.11.6 Layout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