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 사용기

윈 도 우 최초의 Windows 11는 22000.51 빌드입니다

2021.07.01 17:12

suk 조회:2544 추천:22

그 전에 나온 21996.1 빌드 영문판은 MS에서 공개한 것이 아니라, 유출된 것이라서 최초에서 제외합니다

 

그래서 최초로 공개된 Windows 11는 22000.51 빌드입니다. MS 블로그에 22000.51 빌드라는 내용이 있습니다

https://blogs.windows.com/windows-insider/2021/06/28/announcing-the-first-insider-preview-for-windows-11/

 

we are excited to release the first Windows 11 Insider Preview build to the Dev Channel, Build 22000.51!

 

22000.51 빌드는 22000.1 빌드 기본 윈도우에 .51 누적 업데이트가 추가된 형태입니다

최초 공개되었는데 원판 윈도우가 아니라, 이미 누적 업데이트가 존재하는 형태입니다

 

올라온 자료 중에 ISO 파일은 22000.51 빌드로 시작하지만, 51 누적 업데이트가 통합 실패하여 22000.1 빌드인 경우가 있습니다

22000.1 빌드와 22000.51 빌드는 상당히 차이가 있습니다

 

22000.1 빌드는 버전 Dev로 표시되고, 전체적으로 Windows 10에 가깝습니다

22000.51 빌드는 버전 21H2로 표시되고, 전체적으로 Windows 10과는 다른 설정 화면이 나옵니다

최초의 Windows 11 버전 21H2 - 22000.51 빌드와 22000.1 빌드 차이점들 - 22000.51 누적 업데이트 설치하기 위하여 개발자 채널 활성 2021-07-01_063436.jpg

최초의 Windows 11 버전 21H2 - 22000.51 빌드와 22000.1 빌드 차이점들 - 22000.51 누적 업데이트 설치하기 위하여 개발자 채널 활성 2021-07-01_063916.jpg

최초의 Windows 11 버전 21H2 - 22000.51 빌드와 22000.1 빌드 차이점들 - 22000.51 누적 업데이트 설치하기 위하여 개발자 채널 활성 2021-07-01_064249.jpg

Windows 10에서 사용하던 bat 파일로 cab 파일 업데이트들을 설치해봤습니다

최초의 Windows 11 버전 21H2 - 22000.51 빌드와 22000.1 빌드 차이점들 - 22000.51 누적 업데이트 설치하기 위하여 개발자 채널 활성 2021-07-01_064711.jpg

서비스 스택 업데이트 등은 설치되는데, 가장 중요한 누적 업데이트가 설치 실패하더군요 orz

이것 저것 시도해봤습니다만, 윈도우 업데이트를 통하지 않고는 일단 실패했습니다

최초의 Windows 11 버전 21H2 - 22000.51 빌드와 22000.1 빌드 차이점들 - 22000.51 누적 업데이트 설치하기 위하여 개발자 채널 활성 2021-07-01_064902.jpg

22000.1 빌드는 우클릭 메뉴들도 아직 Windows 10과 비슷한 형태입니다

최초의 Windows 11 버전 21H2 - 22000.51 빌드와 22000.1 빌드 차이점들 - 22000.51 누적 업데이트 설치하기 위하여 개발자 채널 활성 2021-07-01_160116.jpg

결국 22000.51 빌드 누적 업데이트를 설치하기 위하여 개발자 채널을 활성하기로 했습니다

MS 계정에 로그인해도 됩니다만....그냥 로컬 계정으로 하는 방법이 있어서 사용했습니다. 위와 같이 간단합니다

위에 사용한 툴 다운로드

최초의 Windows 11 버전 21H2 - 22000.51 빌드와 22000.1 빌드 차이점들 - 22000.51 누적 업데이트 설치하기 위하여 개발자 채널 활성 2021-07-01_160325.jpg

재부팅이 필요하더군요

최초의 Windows 11 버전 21H2 - 22000.51 빌드와 22000.1 빌드 차이점들 - 22000.51 누적 업데이트 설치하기 위하여 개발자 채널 활성 2021-07-01_160402.jpg

최초의 Windows 11 버전 21H2 - 22000.51 빌드와 22000.1 빌드 차이점들 - 22000.51 누적 업데이트 설치하기 위하여 개발자 채널 활성 2021-07-01_160544.jpg

재부팅 후에 확인해보니까 개발자 채널이 되어 있습니다 ^^ 

최초의 Windows 11 버전 21H2 - 22000.51 빌드와 22000.1 빌드 차이점들 - 22000.51 누적 업데이트 설치하기 위하여 개발자 채널 활성 2021-07-01_160609.jpg

개발자 채널로 하면 22000.51 빌드 누적 업데이트도 윈도우 업데이트 나오네요

참고로 개발자 채널로 하지 않아도 다른 업데이트들은 나옵니다. 누적 업데이트만 나오지 않더군요 ;;

최초의 Windows 11 버전 21H2 - 22000.51 빌드와 22000.1 빌드 차이점들 - 22000.51 누적 업데이트 설치하기 위하여 개발자 채널 활성 2021-07-01_162959.jpg

생각보다 오래 걸리더군요최초의 Windows 11 버전 21H2 - 22000.51 빌드와 22000.1 빌드 차이점들 - 22000.51 누적 업데이트 설치하기 위하여 개발자 채널 활성 2021-07-01_163011.jpg

최초의 Windows 11 버전 21H2 - 22000.51 빌드와 22000.1 빌드 차이점들 - 22000.51 누적 업데이트 설치하기 위하여 개발자 채널 활성 2021-07-01_163150.jpg

누적 업데이트 설치 후 재부팅 과정도 Windows 10과는 좀 다르더군요

윈도우 10만 아니라 기존 윈도우들은 종료시 30% 정도 진행하고, 재부팅하면서 나머지 100% 진행하고 부팅합니다

재부팅은 1번이죠

최초의 Windows 11 버전 21H2 - 22000.51 빌드와 22000.1 빌드 차이점들 - 22000.51 누적 업데이트 설치하기 위하여 개발자 채널 활성 2021-07-01_163211.jpg

그런데 Windows 11은 일단 재부팅부터 해버리더군요. 그리고 누적 업데이트 설치를 합니다

최초의 Windows 11 버전 21H2 - 22000.51 빌드와 22000.1 빌드 차이점들 - 22000.51 누적 업데이트 설치하기 위하여 개발자 채널 활성 2021-07-01_163216.jpg

설치가 완료되면 다시 재부팅을 합니다. 재부팅을 2번하더군요. 왜 이러는지는 모르겠습니다

최초의 Windows 11 버전 21H2 - 22000.51 빌드와 22000.1 빌드 차이점들 - 22000.51 누적 업데이트 설치하기 위하여 개발자 채널 활성 2021-07-01_163348.jpg

22000.51 빌드가 되면 위와 같이 설정 화면이 전혀 다르게 되어 버립니다.

그래서 22000.51 빌드부터 Windows 11 이라고 할 수 있을 듯 합니다. 작업 표시줄만 아니라 우클릭도 이중으로 좀 복잡하게 됩니다

최초의 Windows 11 버전 21H2 - 22000.51 빌드와 22000.1 빌드 차이점들 - 22000.51 누적 업데이트 설치하기 위하여 개발자 채널 활성 2021-07-01_165825.jpg

최초의 Windows 11 버전 21H2 - 22000.51 빌드와 22000.1 빌드 차이점들 - 22000.51 누적 업데이트 설치하기 위하여 개발자 채널 활성 2021-07-01_170030.jpg

이 부분에 불만들이 있으시더군요. 저도 사용하면서 우클릭이 이중으로 되어 있어서 조금 의아하더군요

 

하지만, 아직 22000 빌드가 설령 RTM 최종 빌드라고 해도 22000.1 빌드에서 22000.51 누적 업데이트만 설치해도 위와 같이 많이 달라졌듯이...

앞으로 바뀔 수 있다고 봅니다. 정식 출시가 되려면 적어도 3달 정도나 남아서 시간이 넉넉합니다

 

요즘은 RTM과 정식 출시 간격이 몇개월로 깁니다.

Windows 10 버전 2004는 RTM과 정식 출시 간격이 무려 5개월이나 되었습니다

2019년 12월에 버전 2004, OS 빌드 19041.1 RTM 최종 빌드 공개했는데, 2020년 5월에 버전 2004, OS 빌드 19041.264를 정식 출시했습니다

 

19041.1 빌드는 현재 버전 21H1 최신 버전까지도 기본 윈도우가 됩니다.

버전 20H2나 버전 21H1은 별도로 윈도우를 개발하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버전 2004와 버전 20H2와 버전 21H1은 누적 업데이트가 같습니다

-------------------------------------------------------------------------

내용 추가: 2021.07.02 금요일 오전 02:37

Windows 11 OS 빌드 22000 공개되자마자 왜 RTM 이라는 말이 나오는지? 의아해하시는 분들도 많이 계실 겁니다

위와 같이 Windows 10 버전 2004 (OS 빌드 19041)에 버전 20H2와 버전 21H1는 무임승차 하고

 

Windows 11 역시 Windows 10 버전 2004 RTM이 만들어진 2019년 12월부터 지금까지 1년 6개월 이상 버전 21H2를 개발해왔습니다.

물론 Windows 11이 아닌 Windows 10 버전 21H2로 개발이 되어왔습니다만

 

1년 6개월 이상 개발 중인 Windows 10 버전 21H2에 Windows 10X의 인터페이스 (작업표시줄 가운데 정렬 등..)를 추가하여

Windows 11 버전 21H2로 만들었기 때문에 Windows 11 OS 빌드 22000 공개되자마자 RTM 이라는 말이 나올 수 있었습니다.

물론 가능성일 뿐이고 말은 된다는 의미입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등록일
[공지] 사용기/설치기 이용안내 gooddew - - -
3071 윈 도 우| 15063.0.170710-1358.RS2_PRO_X64_540_OF16_튜닝 [267] 이세라 1733 22 08-11
3070 소프트웨어| 창문10개에 임시사무실 19개 추가 테스트(#추가) [25] DeathWing 2783 22 02-14
3069 기 타| (수정) 중국 PE 원키 제작 프로그램 사용기입니다 [24] 왕초보 1368 22 02-17
3068 윈 도 우| 무*산님 os_pe_RS4_x64_17134.137_2018_7_10_wimboot-TEST ... [45] 선우 1410 22 07-04
3067 윈 도 우| [사용기:수정테스트]SH님 Win10PESE_x64 입니다 [62] SHIELD 2002 22 10-21
3066 윈 도 우| 창문 10개 깍는 중~~~ 2부 [56] 박삿갓 3215 22 10-09
3065 윈 도 우| DREAM WTG 버그해결 [18] %카리스마 1807 22 02-19
3064 윈 도 우| DREAM WTG 그림동화 [21] %카리스마 2652 22 02-20
3063 윈 도 우| DREAM WTG 초보사랑 [28] %카리스마 3776 22 02-22
3062 윈 도 우| Dream WTG + PE를 외장 HDD에 설치해봤습니다 [33] suk 2834 22 02-28
3061 윈 도 우| 누구 따라 왔네왔어 입니다^^; [36] 첨임다 3104 22 03-09
3060 윈 도 우| Win10XPE4.7 사용기 [35] %카리스마 1814 22 04-13
3059 윈 도 우| PE에서 네트워크 아이콘 동작되도록 하기 [14] %카리스마 1047 22 04-21
3058 윈 도 우| WinPE에서 드라이버를 설치하는 방법중...한가지 [19] 보리아빠 1603 22 07-23
3057 윈 도 우| [내용 추가] VHD와 wim을 wimboot로 재연결하기.bat [19] suk 1270 22 09-19
3056 소프트웨어| Ventoy 1.0.29 부터 한글과 띄어쓰기도 지원하네요 [17] suk 2113 22 11-20
3055 소프트웨어| Get_IFW_SysPath 사용기 [28] 집앞의_큰 688 22 01-23
3054 윈 도 우| 프린스 PE에 드라이버 추가하기 [23] @카리스마 3745 22 09-07
3053 윈 도 우| PE활용법을 궁리중입니다. [11] maniaa 1044 22 10-01
3052 윈 도 우| iso2wim - iso 파일내 wim,esd에서 wim 추출 [28] 지후빠 1505 22 12-07
XE1.11.6 Layout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