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ystem pe는 다른점이 무엇인지 알수있는 링크나 강좌 있을까요.
2021.06.06 21:34
pe쓰면서 system, adminatration구분해서 생각해본적이 없는데
최근 system pe란 문구가 자주보여 궁금해서 검색해도 adm pe와의 차이점이 안나오네요.
기능상 차이가 있나요.
어디 차이를 알수있는 링크라도 아시는분 있으면 ..궁금하네요.
그리고 특별한 언급이 없는것들은 adm pe로 보면 되나요?
pe를 보고 구분할수 있는 방법은 있는가요.
댓글 [6]
-
do98 2021.06.06 22:26
-
집앞의_큰나무 2021.06.06 22:28
댓글을 적는동안 do98님이 글을 주셨네요
대충 아는대로 적어 보면 이렇습니다.
SYSTEM : 관리자보다 상위 권한을 가진다.
로그온 단계를 거치지 않기에 그와 관련된 파일이 빠지며 부팅이 빠르다.
팀뷰어 같은 원격 프로그램 작동에 제한이 생긴다.
IE-11에서 다운로드가 불가능 하다.구분 : 보편적으로
config 폴더의 System을 하이브 해보면
HKEY_LOCAL_MACHINE\SYSTEM\Setup키에 CmdLine이 PEcmd.ini를 읽어오게 구성 되어있다
SID는 S-1-5-18 코드값이 생긴다.
----------------------------------------------------------------------
Admin : 사용자가 사용 가능한 계정 중 가장 강력한 권한을 가진다.
로그온 단계를 거쳐야 되므로 그에 따른 파일도 많아지며 부팅 시간이 상대적으로 느려진다.
팀뷰어 같은 원격 프로그램 작동이 된다.
IE-11에서 다운로드가 가능 하다
구분 : 보편적으로
config 폴더의 System을 하이브 해보면
HKEY_LOCAL_MACHINE\SYSTEM\Setup키에 CmdLine이 AdminPEcmd.ini를 읽어오게 구성 되어있다
SID는 S-1-5-21-xxxxxxxxxx-500 형태의 코드값이 생긴다.사용자 폴더의 Default가 Administator로 이첩 로그온후 사용자 폴더에 Administrator가 생긴다
권한 부분에서 갸우뚱 할텐데 사용 권한 제한 걸린 레지스트리를 변경해보면
AdminPE 에서는 변경 불가능해도 System PE에서 변경이 될 수 있다는것이 힌트 입니다.
더 구체적으로 비교되는 내용이 있겠지만 아는한도가 여기까지네요
-
suk 2021.06.07 09:54
PE는 본래 WinPE (윈도우 사전 설치 환경 - 윈도우 설치하기 위하여 부팅하는 boot.wim)을 가리킵니다
본래 PE (boot.wim)는 System 계정을 사용하는 System PE 입니다
그래서 System PE가 특이한 것이 아니라
Administrator 계정을 사용하는 PE (Admin PE)가 훨씬 늦게 나왔고, 뭔가 조치가 추가된 PE 입니다
System PE는 돌지 않고 바로 바탕 화면으로 부팅합니다
Admin PE는 바로 바탕 화면이 나오지 않고, Administrator으로 돌아서 로그인을 하여 바탕화면이 나옵니다
System 계정은 Administrator 계정보다 상위 권한을 가집니다.
그래서 (System) PE에서는 윈도우에서 삭제되지 않는 파일/폴더가 너무나 쉽게 삭제됩니다
그리고 System 계정은 Administrator 계정보다 권한이 약해서가 아니라 강해서 제한이 있습니다
예를들면 Administrator 계정조차 예전에는 윈도우 10 에서 관리자그룹의 일반 사용자 권한보다 높다고 엣지조차 실행을 못 했습니다.
보안상 강력한 권한은 오히려 제한을 한다고 했습니다
그리고 PE는 윈도우 iso의 boot.wim처럼 오랫동안 System 계정으로 올라왔습니다.
예전에 PE는 System 계정의 PE 1종류 뿐이었기 때문에 System PE라는 용어가 없었습니다. 물론 Admin PE라는 용어도 없었습니다
그러다가 언제부턴가 PE 바탕 화면 진입 전에 Administrator 계정으로 다시 로그인하는 방식으로
Administrator 계정의 PE도 나오기 시작했습니다. 이유는 System 계정이 권한이 높아서 일부 문제가 생기는 부분 때문이겠죠
간단하게 윈도우 설치/백업/복원/파일 복구 정도면 System PE로도 충분합니다
Admin PE와 System PE를 구분하는 방법은 일단 그 PE를 올려주시는 분이 알려주시는 경우가 많습니다
파일만으로 구분하시려면 위에 큰나무님께서 더 PE를 잘 아셔서 저는 간단하게만 언급합니다
보통 PE는 wim 파일 안에 System32 폴더에 PecmdAdmin.ini가 있으면 Admin PE 이고
없으면 System PE가 아닐까 합니다만, 보통은 적용되는데 PE 구성이 다양하기 때문에 모든 PE에 적용되지는 않을 듯 합니다
확실한 구분 방법은 그냥 직접 PE로 부팅해보시면
Administrator 계정으로 다시 로그인하는 방식이면 Admin PE이고, 그런 과정없이 바로 바탕 화면 진입하면 System PE 입니다
그리고, 부팅 후에 사용자가 System 이면 System PE 이고, Administrator 이면 Admin PE 입니다
참고 스샷입니다
System PE 입니다
Admin PE는 위와 같이 Administrator 로그인 과정이 추가됩니다
Admin PE 입니다
Admin PE는 윈도우에서 Adminstrator 이름을 수정할 수 있듯이, PE 만들 때도 Adminstrator 이름을 다르게 만들 수 있습니다
생각하면 할 수록 더 많이 생각이 나서 정리하기 힘드네요. 이제 생각하지 않는걸로...이만 줄입니다 (줄여질지는 의문입니다)
-
do98 2021.06.07 11:08
suk님 감사합니다. 잘못 알고 있었던 점도 알게 되고, 공부가 되었습니다.~
-
spah 2021.06.07 11:15
상세하면서 알기 쉽게 설명해주신 분들께 모두 감사드립니다.
저뿐 아니라 다른 회원분들에게도 배움이 될 좋은 내용이라 생각합니다.
-
인망이 2022.02.21 18:42
제 대신 질문해주시 게시자님과 답변 달아 주시 분들께 ~ 모두 감사드립니다
저도 정확한 차이가 궁금합니다.
pe 부팅하는 로그인 계정이 admin이냐 user이냐의 차이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프로그램 실행에서 권한을 모두 갖고 있느냐, 그렇지 못하냐의 차이가 있을 겁니다.
team viewer 같은 원격지원프로그램을 system pe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고 어딘가에서 봤습니다. 권한 부족으로 접근을 못해서 그런가 봅니다.
권한이 부족하면 실행이 안되는 유틸리티나 tool이 있다면 system pe는 아무래도 불편할 겁니다.
컴퓨터나 네트워크 쪽의 관리나 유지보수 업종에 계신 분들께는 admin이 필수일 걸로 보여집니다만, 저같은 개인 유저에게는 system pe로도 아무 불편이 없습니다. 오히려 부팅 빠른 system pe를 더 선호합니다.
admin pe는 system pe보다 부팅이 약간 느립니다. user계정으로 로그인했다가 바로 로그아웃하고 다시 계정을 admin으로 변경 로그인을 해야하다보니 느린 게 당연합니다. pe 부팅할 때 Admini.... 큰 글자가 보이기도 하고 그 외에 눈으로 확인하는 구분 방법은 잘 모르겠군요.
sergei pe는 바탕화면에 아예 admin으로 재로그인 할 수 있는 아이콘을 만들어놓고, 필요할 때 계정 전환이 가능하도록 해 놓기도 했습니다. 이런 경우는 system pe 이면서 동시에 admin 이라고 볼 수도 있겠지요.
system pe는 대개 언급이 있는 거 같습니다. 처음부터 system pe라고 배포를 합니다. system이라고 이름 붙이지 않으면 대개 admin pe라고 봐도 될 듯 합니다.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겠지만요.
저보다 잘 아는 전문가 분이 댓글을 달아주시고, 제 의견에 틀린 곳이 있거나 부족한 점을 지적하고 메꿔 주셨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