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 사용기

윈 도 우 포켓용 Windows 10 19041.928 부팅 테스트 (BIOS와 UEFI)

2021.04.19 06:32

suk 조회:1479 추천:32

좀 늦게 3일이 지나서 부팅 테스트를 해봤습니다.

2일 전에 부팅 파일 만들기 문제를 해결해주셨습니다만,

도전 의식을 자극하는 부팅 파일 만드는 문제가 있는 install.wim을 설치했습니다. 도전!?

큰나무님의 Windows 10 19041.928 부팅 파일 만들기 되지 않는 install.wim으로 부팅 테스트 (BIOS와 UEFI) 2021-04-19_050444.jpg

가상머신 vmware에서 테스트를 했습니다만, 실컴 상황과 비슷하게 테스트를 해봤습니다

어떤 상황? PE로 부팅하여 실컴 디스크에 설치하는 상황입니다. BIOS와 UEFI 부팅이 전부 가능합니다..

usb도 이렇게 될 듯 한데요. usb는 제가 잘 사용하지 않아서....넘어갑니다

큰나무님의 Windows 10 19041.928 부팅 파일 만들기 되지 않는 install.wim으로 부팅 테스트 (BIOS와 UEFI) 2021-04-19_050533.jpg

큰나무님께서 말씀하신대로 bcdboot로 부팅 파일을 만들 때 BFSVC 오류가 생깁니다

큰나무님의 Windows 10 19041.928 부팅 파일 만들기 되지 않는 install.wim으로 부팅 테스트 (BIOS와 UEFI) 2021-04-19_050657.jpg

이 때 사실 숨김 파일로 boot 폴더가 만들어졌는데요. 나중에 boot 폴더 복사하다가 늦게 발견합니다;;

하지만 boot 폴더에 bcd가 없었습니다. 당연 부팅은 안 됩니다

큰나무님의 Windows 10 19041.928 부팅 파일 만들기 되지 않는 install.wim으로 부팅 테스트 (BIOS와 UEFI) 2021-04-19_050759.jpg

install.wim 에 boot 폴더가 있었습니다. 그래서 boot 폴더의 bcd를 수정하기로 했습니다

큰나무님의 Windows 10 19041.928 부팅 파일 만들기 되지 않는 install.wim으로 부팅 테스트 (BIOS와 UEFI) 2021-04-19_051013.jpg

컴퓨터가 달라져서 디스크가 달라지니까 파티션을 잡지 못 하는 흔한 현상입니다

디스크/파티션만 잡으면 됩니다

큰나무님의 Windows 10 19041.928 부팅 파일 만들기 되지 않는 install.wim으로 부팅 테스트 (BIOS와 UEFI) 2021-04-19_051036.jpg

구체적 드라이브 문자 (여기서는 D: 윈도우)로 잡아도 됩니다만

bcd와 같은 디스크/파티션에 윈도우가 있기 때문에 boot 로 지정해도 됩니다

큰나무님의 Windows 10 19041.928 부팅 파일 만들기 되지 않는 install.wim으로 부팅 테스트 (BIOS와 UEFI) 2021-04-19_051123.jpg

이렇게 쉽게 부팅이 됩니다.

알고 보면 대부분 이렇게 쉽습니다

큰나무님의 Windows 10 19041.928 부팅 파일 만들기 되지 않는 install.wim으로 부팅 테스트 (BIOS와 UEFI) 2021-04-19_051142.jpg

 

큰나무님의 Windows 10 19041.928 부팅 파일 만들기 되지 않는 install.wim으로 부팅 테스트 (BIOS와 UEFI) 2021-04-19_051442.jpg

 

큰나무님의 Windows 10 19041.928 부팅 파일 만들기 되지 않는 install.wim으로 부팅 테스트 (BIOS와 UEFI) 2021-04-19_053926.jpg

이제 UEFI 부팅도 시도해봅니다

PE 부팅용 ISO에서 EFI 폴더를 ESP 파티션에 복사했습니다. 이것도 마찬가지로 bcd만 수정하면 됩니다.

큰나무님의 Windows 10 19041.928 부팅 파일 만들기 되지 않는 install.wim으로 부팅 테스트 (BIOS와 UEFI) 2021-04-19_054130.jpg

원래 PE 부팅용이라서 bcd 내용이 위와 같습니다

PE 부팅용만 아니라 윈도우 설치 iso에서 EFI 폴더 추출해도 됩니다 (wim 부팅하는 것이라서 그게 그겁니다)

큰나무님의 Windows 10 19041.928 부팅 파일 만들기 되지 않는 install.wim으로 부팅 테스트 (BIOS와 UEFI) 2021-04-19_054314.jpg

위와 같이 윈도우 부팅용으로 교정?하면 됩니다

큰나무님의 Windows 10 19041.928 부팅 파일 만들기 되지 않는 install.wim으로 부팅 테스트 (BIOS와 UEFI) 2021-04-19_054437.jpg

다시 ESP 파티션을 활성했습니다.

사실 알고 보면 처음 ESP 활성된대로 전부 작업 했으면 더 좋았을텐데요...아무튼 진행합니다

큰나무님의 Windows 10 19041.928 부팅 파일 만들기 되지 않는 install.wim으로 부팅 테스트 (BIOS와 UEFI) 2021-04-19_054728.jpg

이렇게 UEFI도 비교적 쉽게 부팅됐습니다

큰나무님의 Windows 10 19041.928 부팅 파일 만들기 되지 않는 install.wim으로 부팅 테스트 (BIOS와 UEFI) 2021-04-19_055007.jpg

현재 UEFI 부팅하려면 ESP를 활성해야 하고, BIOS 부팅하려면 C: 윈도우를 활성해야 합니다

그래서 ESP 파티션에 BIOS용 boot 폴더도 복사했습니다

큰나무님의 Windows 10 19041.928 부팅 파일 만들기 되지 않는 install.wim으로 부팅 테스트 (BIOS와 UEFI) 2021-04-19_055150.jpg

물론 또 bcd를 수정했습니다

큰나무님의 Windows 10 19041.928 부팅 파일 만들기 되지 않는 install.wim으로 부팅 테스트 (BIOS와 UEFI) 2021-04-19_055506.jpg

이제 ESP 파티션으로 BIOS와 UEFI 부팅 둘다 됩니다

참고로, MBR 디스크라서 BIOS와 UEFI 부팅이 가능합니다

--------------------------------------------------------

추가: 2021.04.19 월요일 오전 07:50

약간 미심쩍은 부분이 있어서 한번 더 부팅해봤습니다.

UEFI 부팅은 ESP 파티션이 있는 경우 활성과는 관계없다는 것입니다

큰나무님의 Windows 10 19041.928 부팅 파일 만들기 되지 않는 install.wim으로 부팅 테스트 (BIOS와 UEFI) - UEFI 부팅하는데 활성은 관계없네요 2021-04-19_074740.jpg

잠정 결론: 중간에 쓴대로, ESP 파티션에 부팅 파일들을 전부 몰아넣든지 (boot와 EFI 폴더)

제가 위에 2번째까지 bcd 작업하고, 마지막에 boot 폴더를 ESP 파티션에 복사하는 작업은 하지 않아도 되는 거였습니다

어떤 관점에서 보든지 1번씩 추가 작업을 했군요.

 

MBR 디스크에 EFI 시스템 파티션은 어떻게 만드는지?

이 부분은 WinNTSetup으로 만들어서 제가 직접 EFI 시스템 파티션을 만든 것이 아니라서 넘어갔습니다

제가 좀 전에 diskpart 만져보다가 우연히 방법을 알게 되어서 강좌에 올렸습니다 https://windowsforum.kr/lecture/15954517

추가 끝

--------------------------------------------------------

다른 분들과는 다르게 이상하게 저는 부팅하는데 관심이 있네요;;

2일 지났지만 부팅 문제 해결된 파일이 스크린 샷 게시판에 있습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등록일
[공지] 사용기/설치기 이용안내 gooddew - - -
9072 윈 도 우| 드림 PE 빌더 1.0 [31] %카리스마 3536 33 03-11
9071 기 타| [테스트] 썬*인님의 BRPE1.6 test [87] SHIELD 2230 33 10-15
9070 기 타| WimTools ▶ beta3 테스트 스크린샷 입니다. [15] qnd 777 33 07-19
9069 윈 도 우| RS4 Lite 작업후 테스트중 [77] 갑파니 1721 33 05-11
9068 소프트웨어| PE에서 부팅 상태 구분 [27] 집앞의_큰 1850 33 12-23
9067 윈 도 우| 여러 고수님들의 도움으로 탄생한 rs4 rtm pe입니다. [74] sboat123 1979 33 04-01
9066 윈 도 우| Win10 PE 20H1 x64 by PC Clinic 사용기 ... [30] 꿈속이라도 1398 33 09-30
9065 윈 도 우| Win10PESE x86x64 빌드 아이콘 간격조정 [342] 선우 4078 33 09-01
9064 윈 도 우| 나만의 PE를 만들자 4탄입니다-문제점이 많아 잠시중단합니... [413] 지연서연아 4119 33 08-10
9063 기 타| windows PE를 만들어 보았습니다. 부끄러우니 사진3장으로 ... [35] 카니발 2097 33 05-08
9062 윈 도 우| 월드베스트 PE 6.0 사용설명서 [61] 사랑과평화 15279 33 05-16
9061 소프트웨어| [23 추가] 夕影님 CMPa Decrypt 1+2 [17] update 지후빠 797 32 06-08
9060 소프트웨어| 32비트 환경에 한컴 2024 설치 [13] gooddew 1697 32 01-06
9059 기 타| (추가) pureBasic PESettings v5.0 - DVD,Wim안에 있어도 ... [17] 왕초보 809 32 04-03
9058 기 타| v*등*v님 자료 외장SSD 부팅 성공기 [23] 더~불어~~~ 633 32 09-25
9057 기 타| Snapshot Drag Cmd - 드래그로 백업,복원을 합니다 [16] 왕초보 875 32 02-18
9056 기 타| WimLib Cmd + Launcher(pecmd.exe) 로 구성하여 보았습니다 [17] 왕초보 897 32 02-25
9055 기 타| IFW BR Simple(M) v2.0 사용기 입니다 [16] 왕초보 784 32 12-23
9054 기 타| [종료]PE 플루이드 모션 설정 자동화 (진짜 최종 수정본) [18] DengJang 869 32 06-22
9053 기 타| Easylight PE + 정션링크 - RocketDock 경로 설정하기 입니다 [19] 왕초보 963 32 01-14
XE1.11.6 Layout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