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 사용기

기 타 메인보드님의 imageres.dll 를 PE에 활용하여 보았습니다

2021.02.19 13:51

왕초보 조회:741 추천:9

메인보드님께서 소개하여 주신 윈도우에는 아주 이쁜 아이콘이 적용되어 있습니다...

이 아이콘을 UltimateUser께서 PE에 활용하셔서 멋진 작품을 만드시는것을 보고 너무 이뻐서 따라하여 보았습니다

 

imageres.dll 파일 용량이 7.4MB로 정도여서 저용량 PE에 사용하는 1.8 MB보다는 용량이 조금 크지만...PE가 이뻐지는것에 비하면 이 정도 용량은

신경도 쓰지 않게 되네요.

예전에도 imageres.dll를 활용한 적이 있습니다..용량이 22M~24MB 정도여서 7.4MB는 엄청 작은 용량이기는 합니다

 

메인보드님과 UltimateUser님 덕분에 항상 같은 모습의 PE가 변신을 할수가 있었습니다...두분께 감사드립니다

 

 

 

1. 윈도우 백업,복원 아이콘을 바꾸면서..백업프로그램 압축해제에 보이는 아이콘과 메세지도 아래처럼 바꾸었습니다

1.jpg

 

2. 단순히 백업 프로그램만 있는 경우입니다....백업 복원 보조프로그램에 사용하던 윈도우 아이콘 바꾸면서 exe를 자체를 새로 컴파일하였습니다

   작업표시줄의 아이콘들은 imageres.dll 에서 마음에 드는것이 없어서 포터샵으로 어설프게 아이콘을 만들어 활용을 하여 보았습니다

   UltimateUser님 작품에서 프로그램들이 많아서 멋있어 보였는데..막상 제가 이렇게 적용을 하고 보니까 저는 뭔가 조금 부족한것 같아서..조금은

   불만이 있기는 합니다...   

 

   시작버튼 이미지도 컬러를 넣어 보았습니다만..흰색 배경일때 잘 안보여서 원본 그대로 입니다... 레인미터의 시계에도..아이콘처럼 컬러를 넣었

   보았었습니다..이것 역시..이상해서 원본 그대로 입니다

2.jpg

 

3. cmd, regedit, Notepad2는 우클릭 메뉴에서도 아이콘이 보여서 ResourceHacker로 아이콘 자체를 교체를 하는 방식으로 해보았습니다

3.jpg

 

4. 탐색기 창 색은 보라색으로 하였습니다...테두리선의 경우 탐색기 창 테두리에서만 보라색으로 보입니다. 

4.jpg

 

5. 프로그램의 테두리선이 탐색기 테투리 처럼 보라색이 아니라 조금 더 어두운 색으로 표시가 되고 있습니다...윈도우에서는 탐색기 테두리나 프로

  그램 테두리 색이 같은 보라색으로 되는데..pe에서는 뭔가 빠졌는데..진한색으로 나옵니다..어디에서 색 설정을 해야하는 몰라서..여기까지만 진행이

  되었습니다..

5.jpg

 

6. cmd의경우 exe에서 아이콘을 교체를 해서 우클릭 메뉴에도 아이콘이 바꾸어 있습니다

6.jpg

 

7. Notepad2.도..아이콘이 바꾸어 있습니다

7.jpg

 

8. imageres.dll 이 바뀐 덕분에 이런것까지 이쁘게 나오네요,.

8.jpg

 

9. 메세지에 사용되는 아이콘도 이쁜것으로 바꾸었네요.

9.jpg

 

10. 흰색 배경일때의 모습입니다...검은 배경일때에는 컬러가 많은것 같은 느낌이었는데 흰색 배경에서는 그런 느낌이 들지는 않습니다

10.jpg

 

11. 흰색 배경에서는 프로그램 제목창의 보라색과 프로그램 테두리 선이 달라보이는것이 잘 구분이 되네요..같은 색상이면 더 좋은데요..다 능력부족

    이죠.. 이정도에 만족해야 할것 같습니다

11.jpg

 

12. 백업을 진행하여 보았습니다. IFW 프로그램 창 색이 보라색이어서 다른 프로그램 같은 느낌입니다

12.jpg

 

13. 체크디스크도 진행하여 보았습니다..

13.jpg

 

14. 마무리

백업,복구용 PE의 경우 가끔 활용을 하는것이지만 이왕이면 이쁜것이 좋죠...

메인보드께서 이쁜 아이콘이 있는 imageres.dll 소개하여 주신 덕분에 이렇게 변신을 하여 보았습니다

그 동안 항상 같은 모습의 PE만을 활용하셨다면...메인보드님의 imageres.dll를 활용하셔서 변화를 주어보시는것도 재미가 있으실것 같습니다. 

 

벌써 불금입니다..

오늘 할도 즐거운 일만 있으시길 바랍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등록일
[공지] 사용기/설치기 이용안내 gooddew - - -
5926 기 타| (수정) 원키PE제작시 네크워크 아이콘 활성화 방법입니다.. [8] 왕초보 895 10 02-23
5925 소프트웨어| 튜닝된 Windows OneDrive 활성 [6] DeathWing 1706 10 02-19
5924 기 타| (추가) PE생성기로 만든 PE의 작업표시줄 색상을 변경을 하... [14] 왕초보 1269 10 01-17
5923 윈 도 우| 질문에 올라온 외장하드 멀티부팅및 설치본 구축 Easy2Boo... [5] 보[boram]람 1107 10 01-16
5922 기 타| (해결) PE 생성기에서 글자가 작은 문제 해결 방법 관련입... [20] 왕초보 1049 10 01-14
5921 윈 도 우| 히이이잌님의 PE스크립트에서 백업,복구 이식 [24] NaDa 1063 10 01-12
5920 윈 도 우| 레지스트리 파일에서 환경변수 적용한 경로명 사용하기 [13] 대추사랑 698 10 01-08
5919 윈 도 우| Win10PESE+drivers.7z(1314.64MB) ju*** 설치사용기 [22] forbe 1229 10 01-07
5918 윈 도 우| W**님 Windows10 RS3 x64 Admin PE 구동기 [10] 항상감사 858 10 01-09
5917 윈 도 우| 무*산님_RS3_x64_16299_98_테스트용 2017.12.5일.wim 20GB_... [60] 선우 952 10 12-04
5916 소프트웨어| RSImageX 부팅파일 등록안됨 [14] @카리스마 1743 10 09-07
5915 기 타| CGI 원키를 UEFI (GPT) 하드에서 실행하여 보았습니다. [16] 왕초보 1080 10 04-20
5914 윈 도 우| PE 유틸의 개인설정화..... [23] 사랑인 1045 10 09-11
5913 기 타| (성공) BRPE에 VBS 추가를 반만 성공한것 같습니다.. [7] 왕초보 621 10 09-07
5912 기 타| macOS High Sierra 맛보기 해 보기 [13] 디폴트 1388 10 10-10
5911 기 타| 프로그램 백업_Total Uninstall 을 이용 [12] 옛날에 1294 10 10-11
5910 윈 도 우| 입문자용 VHD생성 PE복사후 VMWare로 부팅 해보기 [35] 선우 895 10 08-26
5909 보안 / 해킹| 랜섬웨어 방지 하기 위한 다름대로의 수단 [13] 이세라 1398 10 08-19
5908 윈 도 우| Win7Prox86_08-15_참고용 [58] 첨임다 1150 10 08-19
5907 윈 도 우| 도광양회님_Windows 10 Pro 86_참고용 [48] 첨임다 803 10 08-19
XE1.11.6 Layout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