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 도 우 esd -> iso 변환 문제 도와주세요..
2021.02.01 14:31
스크린 샷 에 OldMac 님께서 한글화 하셔서 올려주신 윈도우10 이 esd 확장자 파일입니다.
esd-decrypter 폴더에 ESD 파일을 같이 넣어주고 decrypt.cmd 을 실행을 시켜도 자꾸 Error 가 나네요..
==== ERROR ====
ESD file contain less than 4 images.
Press 0 to exit.
라고 내용이 뜨고, 드래그앤 드롭해서 집어 넣어줘도 아무런 반응이 없네요..
댓글 [9]
-
suk 2021.02.01 14:48
-
feel 2021.02.01 15:35 sources 폴더에 기존의 install.wim 파일은 지워 주어야 하나요?
-
OldMaC 2021.02.01 15:40
석님이 답변해 주셨네요.
네~~~ ISO 이미지에 있는 install.wim 또는 install.esd와 교체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
feel 2021.02.01 16:50 전에 올라왔었던 WIN10.PRO.2009.SUPERLITE+COMPACT 고스트 포함되어있는 파일에서 sources, boot 폴더를 뽑아내어서 소스 폴더에 install.esd
로 넣고 인스톨을 하는와중에 파일 다 설치하고 업데이트 확인하는 곳에서 에러가 나네요.. 그런데 인터넷이 끊어진 다는 겁니다.
다른 버전으로 설치를 해보면 처음부터 인터넷 살아있는데, 이러는군요.. 몇번을 재설치 해보아도 처음부터 랜단자의 LED 붉은 색만 들어오고 녹색은
꺼진채 진행이 되다 이런 에러가 납니다.. 이유를 모르겠군요..
-
feel 2021.02.01 17:26 다른 버전으로 하니 설치가 되는군요..
4번만에 설치합니다..
잘 사용하겠습니다. OldMac 님..
-
OldMaC 2021.02.01 19:03
^^; 고생했습니다. 몇 번 에디션인지 모르지만 모두 한 번씩 설치 테스트를 했을 때는 이상없었는데....
번거롭게했네요... 편안한 시간 보내세요~
-
feel 2021.02.01 21:07 질문있습니다.
C: 드라이브에 bootmgr.efi 파일과 efi 폴더가 존재하는데 사용이 되고 있는건가요?
아님 필요없다면 지워도 되는건가요?
-
OldMaC 2021.02.01 21:19
BCD(레거시) 부팅에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UEFI 부팅에 이용되는 겁니다.
ISO 이미지로 설치하지 않을 때를 위해 추가한 부분입니다.
-
feel 2021.02.01 22:15 말씀 감사합니다.
윈도우가 굉장히 빠릿해서 좋아요...
esd-decrypter 에 사용하는 ESD 파일은 ISO 파일과 동격입니다
ESD 안에 최소 4개의 이미지 번호가 있어야 합니다. iso 뼈대 1개 + boot.wim 2개 + install.esd 최소 1개 = 최소 4개 이미지 번호
OldMac님께서 올려주신 esd 파일은 ISO 내부의 install.esd 파일에 해당합니다
보통은 윈도우 10 iso 파일의 sources 폴더에 install.esd로 넣어주시면 됩니다
-> 기존에 ISO 안에 있는 install.xxx 파일은 삭제하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