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 사용기

윈 도 우 새USB, 내장하드, 외장하드에 PE.wim 이나 VHD 등록하기

2020.12.16 12:47

콩달 조회:1662 추천:21

새로운 USB나 외장 하드 또는 내장 하드에 PE VHD를 등록하는 과정을 살펴보겠습니다.

PE파일은 wim기준이고 윈도우즈에서 작업과정입니다. 물론 PE에서도 됩니다.

 

준비물 : 빈USB(HDD, SSD), PE파일, VHD파일, bootice

 

새단순볼륨.png

디스크 관리에서 파티션 작업을 합니다.  (EFI파티션 100Mb FAT32포맷, 나머지 NTFS포맷으로 하겠습니다.)

 

100메가 할당.png

 

FAT32.png

 

파티셔닝완료.png

 저는 위와같이 작업이 되어 EFI H드라이브  NTFS G드라이브로 할당되었네요.

 

현재 내 컴퓨터 윈도우즈 시스템을 활용하여 USB EFI파티션에 시스템을 넘기겠습니다. 제 윈도우즈는 Win10 엔터 (kj님 ultimate로 배포하신 것)입니다.

물론 다른 것도 상관없습니다.bcdboot.png

커맨드 창 열어서 위와 같이 입력하여 시스템이 넘어갔습니다. 

bcdboot c:\windows /l ko-kr /s h: /f all

    c:\windows는 내컴퓨터 현재 깔려 있는 윈도우즈 위치입니다. PE부팅해서 작업을 하면 꼭 C에 있지는 않습니다. 있는 위치 드라이브명으로..

    /l ko-kr (언어 로캘) 

    /s h: (시스템이 h드라이브로 넘어간다는 뜻입니다. 아까 제 usb efif 파티션이 h드라이브(각자 usb efi드라이브 지정)

    /f all (uefi, legacy bios겸용으로 사용하겠다는 겁니다.)

PE VHD 복사.png

 

저는 usb에 PE폴더랑 VHD폴더 2개를 만들었습니다. PE폴더에는 boot.sdi파일이 같이 있으면 좋습니다.

PE폴더.png

 

제 PE폴더입니다. boot.sdi, Princ1.wim, Prince2.wim 이 있네요.

boot.sdi는 여러군데 있습니다. system32에도 있고 아까 넘긴 efi드라이브에도 있습니다. 찾아서 넣어주시면 됩니다.

pe는 역시 kj님배포하신 pe중 용량작은거 1 큰거 2로 했습니다. vhd폴더.png

 

VHD 폴더입니다. 물론 usb에서 vhd부팅을 하는 사람은 없겠지만, 과정상 넣었습니다. 실제로는 용량작은 자식usb라 등록해도 부팅도 안됩니다.

외장 ssd에는 저렇게 쓰고 있습니다.

bcd파일 찾아가기.png

 

이제 bootice로 bcd작업을 해 보겠습니다. 겸용이니까 bcd 두개다 편집을 해줘야 합니다.

  uefi : efi\microsoft\boot\bcd 찾아가면 됩니다만, 

  bios : boot\bcd 로 찾아가는데 boot폴더는 히든으로 되어있어 안보일 수도 있습니다.

안보이면 파일이름 칸에서 boot\bcd 열기하면 열릴 것입니다.  boot만 입력하여 엔터치면 아래처럼 나타나구요

bios bcd 위치.png

 

Wim등록.png

 

PE파일 등록하겠습니다.

드라이브 위치 선택.png

디스크 : usb 선택

파티션 : usb 드라이브 선택 (efi 드라이브 아닙니다. PE VHD가 있는 드라이브 입니다.)

파일 : 경로 적어주시면 됩니다. 제 usb기준으로  \PE\Prince1.wim

SDI파일 : 그림상에 [boot] 부분 클릭하면 오르쪽 sdi파일 위치지정이 나옵니다. 역시 디스크: 파티션에 PE VHD 있는 드라이브 지정해주시면 됩니다.

                                                    정확하게는 boot.sdi파일이 있는 드라이브겠네요..

그리고 옆에 boot.sdi 경로 정확하게 적어 주셔야 합니다. \PE\boot.sdi (저는 PE폴더안에 boot.sdi 저장, 다른데 저자하셨으면 그 경로 적어주시면 돕니다)

OS제목 : 부팅화면 나타나는 문자입니다. 저는 Prince PE 1로 하겠습니다.

부팅파일 : 끝에 확장자 신경 쓰셔야 합니다. uefi : efi, bios : exe

시스템 언어 : ko-kr

메트로부팅관리자 : 저는 안씁니다.

부팅제한시간 : 초단위입니다. 적당하게 

그리고 저장 하시면 등록이 되겠습니다.

 

vhd등록.png

 

VHD 등록도 같은 과정입니다. sdi파일 안쓰기 때문에 비활성입니다.

bios 등록 완료.png

등록이 되었습니다. 

부팅메뉴 위에 Windows 10 메뉴는 삭제해 주시면 됩니다.

내컴퓨터에서 bcdboot로 넘겨서 생긴 겁니다.

그냥 두면 usb에서 내 원래 시스템으로 부팅도 할 수 있겠습니다만, 의미없는 거고, 굳이 살리려면 메트로 콤보는 제거하셔야 합니다.

메트로 부팅화면을 쓰는 분도 계시겠지만, 시간이 많이 걸려서 안좋은 것 같습니다.

위와같이 uefi bios bcd 다 편집했으면, 겸용 usb 완성입니다. 

 

끝으로 굳이 시스템을 bcdboot로 안넘겨도 됩니다. 

평소에 EFI 파티션 내용을 백업해 놓았으면 그거 복사해 넣어도 됩니다. 

숨겨져서 안보이지만 bootmgr, bootnxt까지 있는 걸로 복사해 주시고..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역시나 고수는 패쓰하시고, 저같은 초보 한분이라도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램으로 ....

수고하셨습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등록일
[공지] 사용기/설치기 이용안내 gooddew - - -
3186 윈 도 우| 와우님과 큰나무님의 합작품 사용기 [69] 복태취업했 1274 21 04-20
3185 소프트웨어| ATI2018_10640PEF(종료) [36] sunshine 2200 21 12-29
3184 윈 도 우| Win10XPE 빌더에서 탐색기 파일 숫자 나오도록 빌드하는 방법 [14] sysnative 1022 21 08-03
3183 윈 도 우| DreamPE_x64_AIO_Lite 를 VHD 부팅하기 - 테스트 [27] suk 2294 21 05-26
3182 기 타| 요즘 인기 많은 Win10XPE 만들기 테스트를 해봤습니다 [25] suk 2085 21 05-19
3181 기 타| Win10XPE_2018-05-17 원본으로 PE 만들어봤습니다 [26] suk 2628 21 05-25
3180 윈 도 우| [설치 테스트] OS 빌드 17134.191 iso [18] suk 1985 21 07-27
3179 기 타| PE 드라이브 문자들을 실컴 윈도 그대로 나오게 하기 [16] suk 1257 21 08-03
3178 윈 도 우| 우연히 알게된 주주앤님의.pe [22] 첨임다 1976 21 08-18
3177 윈 도 우| 윈도10 레드스톤5 DISM과 ImageX 입니다 [23] suk 2558 21 10-19
3176 윈 도 우| 윈도10 레드스톤5 인사이더 프리뷰 17754.1 빌드 나왔네요 [15] suk 1363 21 09-06
3175 기 타| Clinic PE Final v2 - Clinic PE.ini를 수정해서 활용하여 ... [9] 왕초보 1215 21 03-05
3174 소프트웨어| 누락된 파일^^;; [62] 첨임다 3021 21 11-21
3173 기 타| 선샤인님의 -CNNET 사용기 [42] 집앞의_큰 1634 21 01-06
3172 소프트웨어| 핫 이슈의 중심에 또 서보다. [36] 집앞의_큰 1132 21 01-30
3171 기 타| 따라쟁이2 [23] 집앞의_큰 1875 21 02-25
3170 윈 도 우| DREAM WTG End Game Patch 3.4 [26] %카리스마 1273 21 03-03
3169 윈 도 우| 안녕하세요 KJ님5.3 1809x64 Pc방에서 빌더하기+_+ [24] SHIELD 1111 21 04-20
3168 소프트웨어| wimlib-imagex.exe 으로 wim 최적화 테스트 [18] suk 1707 21 05-06
3167 윈 도 우| 산*님 ST59 그리고 ST60 [53] toz21 1643 21 06-15
XE1.11.6 Layout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