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 사용기

윈 도 우 ESP 파티션에 boot.sdi 복사후 BCD에 PE 자동등록을 하여 보았습니다..

2020.12.13 16:06

왕초보 조회:958 추천:10

UEFI 시스템에 대해서는 이제 배우고 있는 중이어서 아는것이 별로 없습니다만..필요한것이 있어서 진행을 하여 보았습니다

 

UEFI에서 복구용 PE나 1회성 PE를 등록하시는 경우 boot.sdi 파일을 어디에 설치를 하시는 지요...

 

MBR에서는 윈도우가 설치된 C:\Boot 에 boot.sdi 파일을 복사해서 사용을 했습니다..윈도우 파티션이 날라가도 Grub에서 복구용 PE를 부팅을

할수가 있어서  boot.sdi 관련해서 걱정할것이 없어서 편했던것 같습니다

 

UEFI의 경우 윈도우 파티션에 boot.sdi 를 두었을때 윈도우 파티션이 날라가면..BCD에 등록된 PE로 부팅을 할수가 없습니다

C: 가 아닌 D:등 다른 파티션에 boot.sdi 를 두어도 되기는 합니다

이왕이면 boot.sdi 파일을 좀더 안전한 곳에 설치하는것이 좋을것 같아서 ESP 파티션에 설치를 하고 있습니다

 

윈도에서 ESP 파티션에 boot.sdi를 설치하는것은 수동으로 하고 있었습니다.. boot.sdi를 ESP 파티션에 복사하는것이 자주 있는 일은 아니어서

수동으로 해도 괜찮다고 생각을 했습니다만...MBR에서 자동으로 boot.sdi 복사후 BCD에 PE에 등록하는것이 편하다는것을 아시는 분께서 불편하

다고 불만이 많으셔서 boot.sdi 파일을 ESP에 복사후 BCD에 자동 등록하는것으로 하여 보았습니다

 

역시..자동이 편하기는 합니다

 

USB로 부팅후 boot.sdi 파일을 ESP 파티션에 복사를 해도 되기는 합니다...USB로 부팅해서 하는것도 좀 귀찮기는 하죠..

윈도우에서 ESP 파티션으로 복사를 하는 방식을 사용하여 보았습니다

 

 

 

1. PE등록 한번도 하지 않은 상태로 관련 내용을 모두 삭제를 하였습니다

1.jpg

 

2. ramdiskoptions 옵션도 등록되지 않은 상태입니다..

2.jpg

 

3. 현재 ESP 파티션 루트에 boot.sdi 파일이 없습니다..그 동안은 여기에 boot.sdi 파일을 수동으로 복사를 해서 사용을 했었습니다....

   저는 자주하는 일이 아니어서 수동으로 진행을 해도 괜찮은데...자동이 편하시다고 하시네요.

3.jpg

 

4. cmd에서 자동으로 등록을 해줍니다...ESP 파티션 숨김해제와 boot.sdi 파일 복사는 오토잇으로 만든 프로그램에서 해주고 있습니다

4.jpg

 

5. cmd 메뉴입니다

5.jpg

 

6. BCD에 PE 등록을 완료하였습니다..

6.jpg

 

7. ESP 파티션 루트에 있는 boot.sdi 파일이 등록이 잘되었습니다7.jpg

 

8. ramdiskoptions 도 등록되었습니다

8.jpg

 

9. ESP 파티션에 boot.sdi 파일도 복사가 되었습니다.

9.jpg

 

10. 등록된 GUID값은 txt로 저장이 되어서 백업,복구 프로그램 폴더에 넣으면 cmd에서 자동으로 읽어서 쓰게 하는 용도로 사용이 됩니다

10.jpg

 

11. PE로 부팅을 하여 보겠습니다

11.jpg

 

12. 부팅이 잘되었습니다12.jpg

 

13. 조금 편해 보려고 오토잇으로 뭔가를 하면..바이러스 검출이 되어서 문제죠..x64 버전인데도..검출이 6개나 되네요..

13.jpg

 

 

14. 마무리

그 동안 MBR이 참 편했던것 같습니다...UEFI에서는 boot.sdi 파일을 설치하는데에도 신경을 많이셔야 하네요

ESP 파티션이 조금 더 안전할것 같아서..여기에 boot.sdi를 설치를 하여 보았습니다

수동보다는 자동이 편해서 좋기는 합니다

 

 

눈이오는 일요일입니다..

즐거운 일만 있으시길 바랍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등록일
[공지] 사용기/설치기 이용안내 gooddew - - -
7147 기 타| i9-10940X 시네벤치 점수 이렇게 나오네요 [5] dtewang 903 0 12-19
7146 기 타| MountStorPE로 USB의 EFI 파티션만 마운트 하기를 해보았습... [5] 왕초보 771 5 12-19
7145 기 타| UEFI용으로 Snapshot GUI 버전을 업데이트 하여 보았습니다 [5] 왕초보 679 7 12-18
7144 윈 도 우| 다중 윈도상에서 짝꿍 ESP 찾기 [71] 집앞의_큰 1183 53 12-17
7143 기 타| mountvol 이것...너무 좋은데요 [6] 왕초보 1609 7 12-17
7142 기 타| [종료]MTUI-ChumPE(19042.685).iso [763] 첨임다 2903 260 12-17
7141 윈 도 우| Microsoft Edge 89.0.734.0 x64 Portable [45] 집앞의_큰 1448 52 12-16
7140 윈 도 우| 새USB, 내장하드, 외장하드에 PE.wim 이나 VHD 등록하기 [18] 콩달 1698 21 12-16
7139 소프트웨어| 큰나무님 Again S.N.BR 12th Testing 사용기 입니다.. [7] Kuhn 623 7 12-15
7138 소프트웨어| 집앞의_큰나무님 Again S.N.BR 12th Testing 간단사용기입... [12] engineer 682 11 12-15
7137 소프트웨어| 큰나무님 Again S.N.BR 12th Testing 사용기 [10] 지후빠 572 9 12-15
7136 기 타| UEFI 윈도우에서 숨김파티션에 백업을 하여 보았습니다 [3] 왕초보 710 7 12-15
7135 기 타| 1개의 PE로 일반PE + 1회성 PE 겸용으로 활용하여 보았습니다 [17] 왕초보 1089 15 12-14
7134 기 타| BOOTICE로 부팅도구 만들기 [51] 집앞의_큰 2383 54 12-13
7133 기 타| Z: 보기 [37] 집앞의_큰 1449 37 12-13
» 윈 도 우| ESP 파티션에 boot.sdi 복사후 BCD에 PE 자동등록을 하여 ... [9] 왕초보 958 10 12-13
7131 윈 도 우| Windows 10 20H2 x64 ALL R685TW 보안 수정 알림 [14] 내꼬 1260 14 12-13
7130 소프트웨어| ventoy 1.0.30 한국어 작업 [26] 메인보드 1725 38 12-13
7129 소프트웨어| [3번파일추가] 바탕화면에 바로가기 만들기2.bat 테스트 [12] suk 850 19 12-12
7128 윈 도 우| 꼬저님 윈도우를 설치를 하여보았습니다..너무 감사합니다 [1] 왕초보 999 6 12-12
XE1.11.6 Layout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