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 사용기

소프트웨어 SnapshotBR 11번째와 OnekeyBR 20번째 통합 테스트

2020.12.12 04:59

suk 조회:933 추천:27

이것 저것 하느라고 파일은 2일 전에 받았는데 이제 테스트해봅니다 ^^;

 

본래 SnapshotBR 11번째 파일로 복원 테스트에 주안점이 있습니다만

기존의 OnekeyBR 20번째와 합쳐서 사용할 때 방법도 궁금해서 확인했습니다. 중복되는 파일이 현재 3개가 있습니다

 

중복 되는 파일 중에 대표적인 것은 PE가 있습니다. 나머지 2개는 최신이든 아니든 별로 중요하지는 않은 듯 합니다

별로 한 일이 없는 것 같은데요. 사진을 일괄로 올리는데 54장이나 올라가네요.

 

테스트 환경은 vmware 에 UEFI 모드로 설치된 윈도우 10 버전 2004 (OS 빌드 19041.685) 최신 업데이트 적용된 상황입니다

1개의 디스크에 C:과 E:으로 2개의 파티션으로 되어 있습니다 (ESP 파티션 포함하면 3개입니다)

SnapshotBR 11번째 (더 최신)와 OnekeyBR (DISM.exe) 20번째 통합 테스트 2020-12-12_024530.jpg

현재 OnekeyBR 20번째 파일이 더 오래 되었습니다.

여기에 최신 파일인 SnapshotBR 11번째를 복사했습니다. 복사 순서는 별로 중요하지 않습니다

SnapshotBR 11번째 (더 최신)와 OnekeyBR (DISM.exe) 20번째 통합 테스트 2020-12-12_024617.jpg

중복되는 파일이 3개가 있습니다. 나중에 복사하는 파일이 최신인 경우는 덮어쓰기

오래된 파일인 경우는 건너뛰기를 선택하면 되겠군요
SnapshotBR 11번째 (더 최신)와 OnekeyBR (DISM.exe) 20번째 통합 테스트 2020-12-12_031740.jpg

SnapshotBR 11번째로 백업부터 했습니다

이제 대/소문자 입력이 가능합니다. 물론 대문자는 입력이 불편해서 소문자로 많이 입력하시겠습니다만...

SnapshotBR 11번째 (더 최신)와 OnekeyBR (DISM.exe) 20번째 통합 테스트 2020-12-12_031833.jpg

그냥 확인하는 화면입니다. 엔터!

SnapshotBR 11번째 (더 최신)와 OnekeyBR (DISM.exe) 20번째 통합 테스트 2020-12-12_031907.jpg

SnapshotBR = 드라이브 스냅샷 백업/복원입니다

드라이브 스냅샷은 윈도우 사용중에 백업이 가능합니다.

 

물론 PE로 부팅하여 백업하는 것이 더 안정성은 좋습니다만

개인적으로 윈도우 사용중에 백업했다고 문제가 된 적은 10년이상 한번도 없었습니다.

 

윈도우 부팅 상태에서 뭔가 복잡하고 대단한 작업을 하는 경우라면 오류 가능성이 있습니다만

저는 인터넷 서핑, 음악 듣기 등...간단한 작업만 합니다

 

작업 관리자와 윈도우 탐색기는 닫은 상태에서 백업해야 하더군요. 어떤 윈도우 백업 프로그램이더라도...

열어두고 백업하면 복원했을 때 작업 관리자 페이지 설정이 초기화됩니다. 윈도우 설치 직후 상태로 돌아갑니다

큰 문제는 아닙니다만, 다시 작업 관리자 화면들을 설정해야 하는 귀찮음이 있습니다

윈도우 탐색기도 마찬가지입니다. 보기 설정이 윈도우 설치 직후로 초기화 됩니다. 

그래서 항상 작업관리자와 윈도우 탐색기가 열려있는지 확인하고 윈도우 백업합니다. PE에서 윈도우 백업할 때는 관계없는 일입니다

SnapshotBR 11번째 (더 최신)와 OnekeyBR (DISM.exe) 20번째 통합 테스트 2020-12-12_031936.jpg

UEFI는 ESP 파티션도 별도로 백업됩니다

SnapshotBR 11번째 (더 최신)와 OnekeyBR (DISM.exe) 20번째 통합 테스트 2020-12-12_031941.jpg

녹색 화면은 항상 작업 시간 등 결과를 알려주는 화면입니다. 

달랑 1분 1초 걸렸네요 ^^

SnapshotBR 11번째 (더 최신)와 OnekeyBR (DISM.exe) 20번째 통합 테스트 2020-12-12_032006.jpg

드라이브 스냅샷은 위와 같이 백업됩니다.

SnapshotBR 11번째 (더 최신)와 OnekeyBR (DISM.exe) 20번째 통합 테스트 2020-12-12_032032.jpg

드디어! 드라이브 스냅샷 복원을 해봅니다

SnapshotBR 11번째 (더 최신)와 OnekeyBR (DISM.exe) 20번째 통합 테스트 2020-12-12_032102.jpg

복원 때는 공통적으로 붉은 색 화면이 나타납니다. 확인하고 엔터!

이후는 문제가 없으면 다시 윈도우로 복귀할 때까지 전부 자동으로 진행됩니다

SnapshotBR 11번째 (더 최신)와 OnekeyBR (DISM.exe) 20번째 통합 테스트 2020-12-12_032111.jpg

 

SnapshotBR 11번째 (더 최신)와 OnekeyBR (DISM.exe) 20번째 통합 테스트 2020-12-12_032116.jpg

 

SnapshotBR 11번째 (더 최신)와 OnekeyBR (DISM.exe) 20번째 통합 테스트 2020-12-12_032121.jpg

 

SnapshotBR 11번째 (더 최신)와 OnekeyBR (DISM.exe) 20번째 통합 테스트 2020-12-12_032126.jpg

재부팅도 자동으로 진행됩니다

SnapshotBR 11번째 (더 최신)와 OnekeyBR (DISM.exe) 20번째 통합 테스트 2020-12-12_032145.jpg

PE 부팅도 자동으로 진행됩니다

SnapshotBR 11번째 (더 최신)와 OnekeyBR (DISM.exe) 20번째 통합 테스트 2020-12-12_032201.jpg

PE 부팅 후에는 잠시 아무 것도 뜨지 않습니다. 좀 기다려야 됩니다

SnapshotBR 11번째 (더 최신)와 OnekeyBR (DISM.exe) 20번째 통합 테스트 2020-12-12_032245.jpg

자동으로 복원 화면이 뜹니다

SnapshotBR 11번째 (더 최신)와 OnekeyBR (DISM.exe) 20번째 통합 테스트 2020-12-12_032317.jpg

윈도우부터 복원됩니다

SnapshotBR 11번째 (더 최신)와 OnekeyBR (DISM.exe) 20번째 통합 테스트 2020-12-12_032321.jpg

UEFI 인 경우는 ESP 파티션도 자동으로 복원됩니다

SnapshotBR 11번째 (더 최신)와 OnekeyBR (DISM.exe) 20번째 통합 테스트 2020-12-12_032326.jpg

녹색은 결과 창입니다. 1분 10초로 백업보다는 조금 길군요

SnapshotBR 11번째 (더 최신)와 OnekeyBR (DISM.exe) 20번째 통합 테스트 2020-12-12_032351.jpg

다시 윈도우로 부팅하는 것도 자동으로 진행됩니다

SnapshotBR 11번째 (더 최신)와 OnekeyBR (DISM.exe) 20번째 통합 테스트 2020-12-12_032444.jpg

이제 파일들을 통합한 OnekeyBR 20번째도 다시 테스트해봤습니다.

PE가 달라졌기 때문에 다른 결과가 발생할 지? 백업부터 했습니다. 아직 20번째 파일은 소문자만 입력해야 합니다

또한 기존 wim 백업 파일이 있어도 삭제된다는 안내 메시지는 아직 없습니다

SnapshotBR 11번째 (더 최신)와 OnekeyBR (DISM.exe) 20번째 통합 테스트 2020-12-12_032455.jpg

확인하고 엔터!

SnapshotBR 11번째 (더 최신)와 OnekeyBR (DISM.exe) 20번째 통합 테스트 2020-12-12_032502.jpg

이후는 역시 다시 윈도우로 부팅할 때까지 전부 자동으로 진행됩니다

SnapshotBR 11번째 (더 최신)와 OnekeyBR (DISM.exe) 20번째 통합 테스트 2020-12-12_032506.jpg

 

SnapshotBR 11번째 (더 최신)와 OnekeyBR (DISM.exe) 20번째 통합 테스트 2020-12-12_032514.jpg

 

SnapshotBR 11번째 (더 최신)와 OnekeyBR (DISM.exe) 20번째 통합 테스트 2020-12-12_032519.jpg

 

SnapshotBR 11번째 (더 최신)와 OnekeyBR (DISM.exe) 20번째 통합 테스트 2020-12-12_032532.jpg

 

SnapshotBR 11번째 (더 최신)와 OnekeyBR (DISM.exe) 20번째 통합 테스트 2020-12-12_032604.jpg

자동으로 진행되는 화면들입니다

SnapshotBR 11번째 (더 최신)와 OnekeyBR (DISM.exe) 20번째 통합 테스트 2020-12-12_032857.jpg

 

SnapshotBR 11번째 (더 최신)와 OnekeyBR (DISM.exe) 20번째 통합 테스트 2020-12-12_033143.jpg

OnekeyBR 20번째는 아직 ESP 파티션 백업 할 지? 사용자의 선택을 기다립니다

이 부분 때문에 UEFI의 경우는 아직 전 자동은 아니군요. 

SnapshotBR 11번째 (더 최신)와 OnekeyBR (DISM.exe) 20번째 통합 테스트 2020-12-12_033150.jpg

 

SnapshotBR 11번째 (더 최신)와 OnekeyBR (DISM.exe) 20번째 통합 테스트 2020-12-12_033156.jpg

5분 55초 걸렸네요

원래 드라이브 스냅샷보다는 더 오래 걸립니다만(2배 정도) ESP 파티션 선택을 기다리는줄 모르고 다른 일을 해서 시간은 더 걸린 듯 합니다

SnapshotBR 11번째 (더 최신)와 OnekeyBR (DISM.exe) 20번째 통합 테스트 2020-12-12_033310.jpg

이제 OnekeyBR 20번째로 복원을 해봤습니다. 

SnapshotBR 11번째 (더 최신)와 OnekeyBR (DISM.exe) 20번째 통합 테스트 2020-12-12_033317.jpg

복원할 때는 공통적으로 붉은색 창입니다

SnapshotBR 11번째 (더 최신)와 OnekeyBR (DISM.exe) 20번째 통합 테스트 2020-12-12_033325.jpg

 

SnapshotBR 11번째 (더 최신)와 OnekeyBR (DISM.exe) 20번째 통합 테스트 2020-12-12_033329.jpg

마찬가지로 다시 윈도우로 부팅할 때까지 자동으로 진행됩니다

SnapshotBR 11번째 (더 최신)와 OnekeyBR (DISM.exe) 20번째 통합 테스트 2020-12-12_033339.jpg

 

SnapshotBR 11번째 (더 최신)와 OnekeyBR (DISM.exe) 20번째 통합 테스트 2020-12-12_033343.jpg

 

SnapshotBR 11번째 (더 최신)와 OnekeyBR (DISM.exe) 20번째 통합 테스트 2020-12-12_033354.jpg

 

SnapshotBR 11번째 (더 최신)와 OnekeyBR (DISM.exe) 20번째 통합 테스트 2020-12-12_033411.jpg

 

SnapshotBR 11번째 (더 최신)와 OnekeyBR (DISM.exe) 20번째 통합 테스트 2020-12-12_033424.jpg

 

SnapshotBR 11번째 (더 최신)와 OnekeyBR (DISM.exe) 20번째 통합 테스트 2020-12-12_033604.jpg

 

SnapshotBR 11번째 (더 최신)와 OnekeyBR (DISM.exe) 20번째 통합 테스트 2020-12-12_033658.jpg

 

SnapshotBR 11번째 (더 최신)와 OnekeyBR (DISM.exe) 20번째 통합 테스트 2020-12-12_033707.jpg

 

SnapshotBR 11번째 (더 최신)와 OnekeyBR (DISM.exe) 20번째 통합 테스트 2020-12-12_033712.jpg

OnekeyBR 20번째도 복원은 ESP 파티션까지 자동입니다

SnapshotBR 11번째 (더 최신)와 OnekeyBR (DISM.exe) 20번째 통합 테스트 2020-12-12_033716.jpg

2분 50초 걸렸네요. 역시 전 자동으로 진행해도 스냅샷보다는 2배 이상 느립니다

속도는 컴퓨터마다 다를 수도 있을 겁니다

SnapshotBR 11번째 (더 최신)와 OnekeyBR (DISM.exe) 20번째 통합 테스트 2020-12-12_034348.jpg

 

SnapshotBR 11번째 (더 최신)와 OnekeyBR (DISM.exe) 20번째 통합 테스트 2020-12-12_034454.jpg

백업 파일 크기는 wim 파일이 조금 더 적습니다

SnapshotBR 11번째 (더 최신)와 OnekeyBR (DISM.exe) 20번째 통합 테스트 2020-12-12_034536.jpg

윈도우 사용량은 13.1GB 입니다

큰나무님 수고 많으셨습니다. 대소문자 관계없이 적용하는 것은 사소한 팁이었습니다

cmd 파일을 보면 제가 해석할 수 있는 수준을 넘으셨기 때문에 저는 조언 드릴 것이 없습니다 ^^;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등록일
[공지] 사용기/설치기 이용안내 gooddew - - -
776 윈 도 우| [수정] UEFI 멀티 부팅 테스트 (2개의 GPT 디스크) [15] suk 1965 14 02-16
775 윈 도 우| 21H2 인사이더 프리뷰 21313 빌드 - 버전이 Dev + 엣지 대체 [11] suk 1518 12 02-13
774 윈 도 우| msconfig 부팅 탭이 비어있을 때 해결하기 [12] suk 1268 24 02-11
773 윈 도 우| PE 빌드용 PRO (버전 2004 19041.804 + 버전 20H2 19042.804) [38] suk 2107 51 02-10
772 윈 도 우| 윈도우 설치날짜를 현재시간으로 변경하기.bat 테스트 [10] suk 863 14 02-07
771 윈 도 우| 21H1 업그레이드 후 설치 날짜 수정하기 [5] suk 999 10 02-06
770 윈 도 우| [추가] Windows 10 21H1 19043 빌드로 업그레이드하기.bat ... [9] suk 1032 13 02-02
769 윈 도 우| PE 빌드용 PRO (버전 2004 19041.789 + 버전 20H2 19042.789) [36] suk 1880 51 02-02
768 윈 도 우| Windows 10 21H1 19043 빌드로 업그레이드하기.bat 테스트 [17] suk 947 16 02-01
767 소프트웨어| [스압] TBIOnekeyBR 5번째 파일 테스트 [47] suk 995 38 01-27
766 윈 도 우| [인사이더 프리뷰] 21296 빌드의 새로운 디스크 관리 [13] suk 1199 27 01-23
765 윈 도 우| PE 빌드용 PRO (버전 2004 19041.746 + 버전 20H2 19042.746) [57] suk 2682 60 01-13
764 소프트웨어| 윈도우 잠금 때 인터넷 끊고 cpu 절전으로...테스트 [14] suk 857 12 01-01
763 윈 도 우| 버전 20H2,19042.685 빌드 chkdsk 문제 확인해봤습니다 [7] suk 1012 8 12-22
762 소프트웨어| [속도 개선] FAT32 파티션에 문자 할당하기 2 [15] suk 1050 25 12-21
761 소프트웨어| FAT 파티션들만 문자 할당 또는 제거하기-WMIC.bat 테스트 [20] suk 836 25 12-20
760 소프트웨어| [3번파일추가] 바탕화면에 바로가기 만들기2.bat 테스트 [12] suk 850 19 12-12
» 소프트웨어| SnapshotBR 11번째와 OnekeyBR 20번째 통합 테스트 [32] suk 933 27 12-12
758 소프트웨어| 바탕화면에 바로가기 만들기.bat 테스트 [27] suk 2109 28 12-10
757 윈 도 우| PE 빌드용 PRO (버전 2004 19041.685 + 버전 20H2 19042.685) [56] suk 2134 61 12-09
XE1.11.6 Layout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