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 사용기

윈 도 우 TBI를 Ventoy에 VHD로 부팅하기

2020.11.07 23:13

suk 조회:1262 추천:22

본래 Bootice로 BCD파일 편집하기 연습용으로 올려주신 윈도우 같습니다만

그 댓글에 Ventoy에 VHD로 부팅을 시도하셨는데 안 되신다는 분이 계셔서 궁금해서 부팅 테스트를 해봤습니다

 

먼저 VHD를 만들었습니다

3.Kong_Windows10_v2009_19042.610_x64.vhd 에 Imagew64.exe 으로 복구하여 부팅 테스트 2020-11-07_222230.jpg

 

3.Kong_Windows10_v2009_19042.610_x64.vhd 에 Imagew64.exe 으로 복구하여 부팅 테스트 2020-11-07_222300.jpg

VHD가 만들어지면서 A: 에 자동 탑재가 되었습니다

 

3.Kong_Windows10_v2009_19042.610_x64.vhd 에 Imagew64.exe 으로 복구하여 부팅 테스트 2020-11-07_222315.jpg

Imagew64.exe 으로 TBI 파일을 VHD가 탑재된 A:에 복구하려 합니다

 

3.Kong_Windows10_v2009_19042.610_x64.vhd 에 Imagew64.exe 으로 복구하여 부팅 테스트 2020-11-07_222324.jpg

 

3.Kong_Windows10_v2009_19042.610_x64.vhd 에 Imagew64.exe 으로 복구하여 부팅 테스트 2020-11-07_222336.jpg

A: 선택했습니다

 

3.Kong_Windows10_v2009_19042.610_x64.vhd 에 Imagew64.exe 으로 복구하여 부팅 테스트 2020-11-07_222401.jpg

TBI 파일은 직접 전체 경로를 복사/붙여넣기 했습니다

참고로 저는 TBI 를 평소에 사용하지 않아서 사용법에 익숙하지 않습니다 ㅎㅎ;

 

3.Kong_Windows10_v2009_19042.610_x64.vhd 에 Imagew64.exe 으로 복구하여 부팅 테스트 2020-11-07_222426.jpg

백업 파일의 구성입니다.

1번째 파티션에 있는 부팅 파일은 ventoy에 있기 때문에 2번째 파티션만 선택하여 복구합니다.

 

 

3.Kong_Windows10_v2009_19042.610_x64.vhd 에 Imagew64.exe 으로 복구하여 부팅 테스트 2020-11-07_222457.jpg

역시 익숙하지 않아서 실수가 발생했습니다

 

(실수한 부분은 위에 파티션 선택이 아니고, 복원 다음에 '자동'을 선택한 것이 실수입니다. 여기서는 자동을 선택하면 뭘 선택하든 에러가 나옵니다

복원 > '일반'을 선택하고 > 백업 파일 > 복원할 위치를 선택하면 됩니다. 물론 '자동'을 선택해도 아래처럼 자동으로 복원할 위치가 나오긴 합니다)

 

3.Kong_Windows10_v2009_19042.610_x64.vhd 에 Imagew64.exe 으로 복구하여 부팅 테스트 2020-11-07_222532.jpg

다행히 자동으로 복원할 위치를 선택하라는 메시지가 나오더군요.

A: 선택했습니다

 

3.Kong_Windows10_v2009_19042.610_x64.vhd 에 Imagew64.exe 으로 복구하여 부팅 테스트 2020-11-07_222541.jpg

 

3.Kong_Windows10_v2009_19042.610_x64.vhd 에 Imagew64.exe 으로 복구하여 부팅 테스트 2020-11-07_222553.jpg

여기는 그냥 기본 선택된대로 다음으로 넘어갔습니다

 

3.Kong_Windows10_v2009_19042.610_x64.vhd 에 Imagew64.exe 으로 복구하여 부팅 테스트 2020-11-07_222600.jpg

시작!

 

3.Kong_Windows10_v2009_19042.610_x64.vhd 에 Imagew64.exe 으로 복구하여 부팅 테스트 - 무시 클릭하면 진행됨 2020-11-07_222625.jpg

메시지 읽어보고 무시! 클릭했습니다

 

3.Kong_Windows10_v2009_19042.610_x64.vhd 에 Imagew64.exe 으로 복구하여 부팅 테스트 2020-11-07_222703.jpg

잘 복구됩니다

 

3.Kong_Windows10_v2009_19042.610_x64.vhd 에 Imagew64.exe 으로 복구하여 부팅 테스트 2020-11-07_222741.jpg

복구 완료됐습니다

 

3.Kong_Windows10_v2009_19042.610_x64.vhd 에 Imagew64.exe 으로 복구하여 부팅 테스트 2020-11-07_222844.jpg

A:을 제가 만든 윈도우버전정보16.bat 으로 확인해봤습니다

최신 업데이트 적용된 윈도우이군요

 

3.Kong_Windows10_v2009_19042.610_x64.vhd 에 Imagew64.exe 으로 복구하여 부팅 테스트 2020-11-07_222936.jpg

이제 Ventoy로 VHD 부팅해봤습니다

 

3.Kong_Windows10_v2009_19042.610_x64.vhd 에 Imagew64.exe 으로 복구하여 부팅 테스트 2020-11-07_222959.jpg

한글이 깨져서 나오는데요

10초부터 카운트 다운 되는 것 보면, 드라이브 복구하라는 메시지일 겁니다. 이 때는 그냥 무시하고 넘어갔습니다

 

3.Kong_Windows10_v2009_19042.610_x64.vhd 에 Imagew64.exe 으로 복구하여 부팅 테스트 2020-11-07_223026.jpg

장치 설치 % 올라가고 준비중까지 진행한 후에 튕겼습니다;;

 

3.Kong_Windows10_v2009_19042.610_x64.vhd 에 Imagew64.exe 으로 복구하여 부팅 테스트 2020-11-07_223059.jpg

다시 부팅 해봤습니다

 

3.Kong_Windows10_v2009_19042.610_x64.vhd 에 Imagew64.exe 으로 복구하여 부팅 테스트 - 드라이브 복구하게 놔둠 2020-11-07_223118.jpg

또 드라이브 복구 메시지가 나오는군요. 그래서 드라이브 복구하도록 놔뒀습니다.

 

3.Kong_Windows10_v2009_19042.610_x64.vhd 에 Imagew64.exe 으로 복구하여 부팅 테스트 2020-11-07_223123.jpg

부팅이 됩니다 ^^

 

3.Kong_Windows10_v2009_19042.610_x64.vhd 에 Imagew64.exe 으로 복구하여 부팅 테스트 2020-11-07_223153.jpg

 

3.Kong_Windows10_v2009_19042.610_x64.vhd 에 Imagew64.exe 으로 복구하여 부팅 테스트 2020-11-07_223308.jpg

어느 유명하신 분의 윈도우 같습니다

 

3.Kong_Windows10_v2009_19042.610_x64.vhd 에 Imagew64.exe 으로 복구하여 부팅 테스트 2020-11-07_223541.jpg

용량이 적고 빠릿 빠릿합니다

 

3.Kong_Windows10_v2009_19042.610_x64.vhd 에 Imagew64.exe 으로 복구하여 부팅 테스트 - 3번째는 드라이브 복구 메시지 나오지 않음 2020-11-07_224943.jpg

이건 다시 3번째 부팅한 것입니다.

3번째는 드라이브 복구 메시지없이 정상적으로 빠르게 부팅했습니다

 

어떤 분이 올려주신 TBI는 VHD에 복구하여 Ventoy로 부팅 가능하다는 사용기였습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등록일
[공지] 사용기/설치기 이용안내 gooddew - - -
3946 기 타| [종료] (수정) 한글 PETools 와 DesktopOK (아이콘정렬) 사... [7] 왕초보 1267 4 07-04
3945 윈 도 우| Win10_Enter_Ltsb_x86_Super_COLite2 간단사용기 [39] sikey 1267 4 08-19
3944 윈 도 우| ChoboUserW7PE 간단설치기 [9] 바쏘 1267 9 11-23
3943 기 타| ♥ Backup 폴더 PE [35] qnd 1266 86 07-15
3942 기 타| 마우스 커서 마음대로 골라 사용하기 [6] 왕초보 1265 9 09-03
3941 기 타| 하찮은 사용기 [41] 집앞의_큰 1265 39 09-24
3940 기 타| 와이파이용 Win10 RS2 x64 wim을 258MB(?)로 다이어트 하여... [41] 왕초보 1265 8 10-27
3939 기 타| 선우님께 배운 PE에서 팟플레이어 설정하기 입니다... [14] 왕초보 1265 4 10-12
3938 기 타| 미니 AIO [31] 지니제스트 1264 60 12-11
3937 윈 도 우| DISM 활용 윈도우 11&10 무인설치 / 런처바(LaunchBar)... [24] 무월 1264 53 11-21
3936 기 타| PE에서 WirelessKeyView + xml 로 암호보기 입니다 [20] 왕초보 1264 21 03-19
3935 기 타| [ISO 첨부] W10UI.cmd으로 winre.wim 누적 업데이트후 PE ... [14] 왕초보 1264 16 03-08
3934 기 타| [종료]단일 파일 몇 가지 업데이트 [19] DengJang 1264 41 09-20
3933 기 타| [종료]깔끔이-PE(21H1-19043.928)_iso [535] 첨임다 1264 180 04-15
3932 소프트웨어| 카스퍼스키 internet Security 2018과 닷넷 4.7 호환문제로... [4] 캡틴하록 1264 4 01-12
3931 기 타| 그것이 알고 싶다 [4] 에세3밀리 1263 14 10-31
3930 윈 도 우| 윈도우 서버는 윈도우 사용중에 복구 가능합니다 [16] suk 1263 17 10-04
3929 소프트웨어| Ventoy 설정파일 공식 GUI 도우미 써보니... [4] 단테9 1262 13 03-12
» 윈 도 우| TBI를 Ventoy에 VHD로 부팅하기 [14] suk 1262 22 11-07
3927 윈 도 우| 카리스마님 PE Win10XPE30 실행기 [28] 하늘은높고 1262 16 02-23
XE1.11.6 Layout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