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 사용기

윈 도 우 메모장 아이콘 변경하기.bat 테스트

2020.07.01 21:46

suk 조회:2740 추천:34

간단한 내용입니다. 예전에도 메모장 기본 아이콘이 좀 밋밋하게 보였습니다만

윈도우 10 버전이 올라가면서 더 희미해져서 적용하게 되었습니다. 그렇다고 별도의 아이콘이 아니고 이것 역시 윈도에 내장된 메모장 아이콘입니다

 

기본값으로 좀 희마한 것이 정해져 있는데, 좀 밝은 색의 메모장으로 레지스트리 값만 변경해주는 것입니다

그리고 덤으로 메모장으로 열 수 있는 확장자 smi, lst, ini 등도 바뀐 메모장 아이콘으로 나타나게 합니다

메모장 아이콘 변경하기.bat 테스트 2020-07-01_211322.jpg

먼저 윈도7 에서 테스트를 해봤습니다. 그 다음 윈도8.1, 윈도10 순입니다

 

메모장 아이콘 변경하기.bat 테스트 2020-07-01_211345.jpg

기본값으로 정해진 메모장이 위와 같습니다. 그리고 나머지는 확장자 연결 프로그램이 없어서 그냥 하얗게 표시되는 파일들도 있는 상황입니다

 

메모장 아이콘 변경하기.bat 테스트 2020-07-01_211413.jpg

탐색기가 자동으로 다시 시작됩니다. 그리고 즉시 아이콘은 위와 같이 변경됩니다

다른 확장자들도 txt 파일로 연결시켜줘서 같은 아이콘으로 변경됩니다. 

 

가끔 다른 확장자의 아이콘이 메모장인 상태에서도 클릭하면 연결 프로그램 선택하는 창이 나타나기도 합니다만

메모장이 1순위로 표시되기 때문에 확장자 연결은 쉽습니다

 

메모장 아이콘 변경하기.bat 테스트 2020-07-01_211441.jpg

이제 다시 원래대로 돌아오는 것입니다. 

 

메모장 아이콘 변경하기.bat 테스트 2020-07-01_211456.jpg

메모장 즉, txt 파일은 아이콘이 즉시 원래대로 돌아옵니다만

본래 아이콘 연결이 되지 않았던 확장자까지 원상 복구하지는 않습니다. 하얗게 돌아가지는 못 한다는 의미입니다

 

메모장 아이콘 변경하기.bat 테스트 2020-07-01_211733.jpg

그 다음은 윈도8.1과 윈도10 버전 1809에서 테스트한 스샷들입니다.

윈도10 최신 버전 2004에서도 테스트했는데, 스샷은 하지 못 했군요

 

메모장 아이콘 변경하기.bat 테스트 2020-07-01_211754.jpg

 

메모장 아이콘 변경하기.bat 테스트 2020-07-01_211823.jpg

 

메모장 아이콘 변경하기.bat 테스트 2020-07-01_212056.jpg

 

메모장 아이콘 변경하기.bat 테스트 2020-07-01_212109.jpg

 

메모장 아이콘 변경하기.bat 테스트 2020-07-01_212125.jpg

 

메모장 아이콘 변경하기.bat 테스트 2020-07-01_212152.jpg

윈도10 버전 1809만 되어도 메모장 기본 아이콘 색이 희미하다는걸 아실 겁니다. 올라갈 수록 더 존재감이 없어집니다;

 

메모장 아이콘 변경하기.7z 메모장 아이콘 변경하기.ini 에 메모장 아이콘과 같게 표시하시려는 확장자들을 등록하시면 됩니다

기본적으로 위에 테스트한대로 ini smi log lst 파일 등록되어 있습니다. 확장자에 . 점을 붙이셔도 되고, 점을 생략하셔도 됩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등록일
[공지] 사용기/설치기 이용안내 gooddew - - -
9187 기 타| IFW 설치시 있는 contextbackup.cmd 파일 활용기 입니다 [21] 왕초보 849 34 09-28
9186 소프트웨어| (3.1up) qnd님 Win11 wifi 270mb kj PE 살빼기? [23] 지후빠 1312 34 05-14
9185 기 타| 홍차의꿈님 PE를 취향대로 튜닝해서 활용하여 보았습니다 [35] 왕초보 1583 34 08-19
9184 소프트웨어| 한글 자소 합치기 컨텍트 메뉴 [33] 내꼬 796 34 04-14
9183 윈 도 우| Windows 10 (1904x.1865) 2022.07.27 선택적 업데이트 [16] suk 2009 34 07-27
9182 기 타| Backupper - 재부팅 안되는 이유를 찾았습니다.. [16] 왕초보 732 34 09-15
9181 기 타| [종료]소프트메이커_오피스 업데이트 [21] DengJang 1373 34 08-11
9180 기 타| PE-NKBoot v3.0 Final WinPE 11 [한글] [15] 깐부끼리 1625 34 02-23
9179 기 타| WindowsXPE147_Win11_22H2 사용 22621.963 빌드 [24] 못말리는짱 1231 34 12-18
9178 기 타| KJ님 QuantumPE 간략 사용기 입니다. [32] SHIELD 1489 34 01-28
9177 윈 도 우| PC Clinic님 깡통PE . 인터넷 되게하고 취향껏 sw 넣어 봤... [52] heykevin 972 34 12-01
9176 윈 도 우| ClinicPESetting 간단 설명입니다. [26] PC_Clinic 805 34 01-30
9175 소프트웨어| 온전한? Image for Windows BR 테스트 [30] 지후빠 1433 34 11-07
9174 기 타| 무*님 뼈대 제작 및 올*님 Win설치 그리고 K*m님 PE 백업 P... [39] SHIELD 1089 34 03-07
9173 윈 도 우| PE 빌드용 PRO (1904x.962 버전2004 버전20H2 버전21H1) [38] suk 1522 34 04-20
9172 윈 도 우| 시스템 트레이 (한) 삭제 [29] 집앞의_큰 1555 34 02-16
9171 윈 도 우| 칼국수집 사장의 고충을 덜어주려고... [26] 디폴트 2944 34 11-06
9170 윈 도 우| [내용추가] Windows 10 버전 20H2를 버전 2009로 표시하기 [17] suk 2348 34 10-21
9169 윈 도 우| PE 빌드용 PRO (버전 2004 19041.546 + 버전 20H2 19042.546) [25] suk 1102 34 10-01
9168 소프트웨어| AIO <-> VENTOY 연동 [22] 메인보드 1926 34 09-17
XE1.11.6 Layout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