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 사용기

윈 도 우 초보의 IoT Enterprise 인증 시행착오 경험기

2020.06.05 19:47

회오리BOi 조회:1989 추천:6

그 이전에도 쓰실 분들은 잘 쓰고 계셨겠지만...

 

https://windowsforum.kr/review/13482132

위 Link '디폴트' 님의 글 덕분에

요즘들어 IoT Enterprise 이야기가 많아졌지요.

 

Home 또는 Pro Digital License 인증이 되어 있으면,

자동으로 영구 인증이 됩니다. 』

 

라는 귀띔 말씀에 굉장히 혹했습니다.

 

어지간한 Digital License/ 전화/ KMS 방식의 인증 도구들 조차도,

IoT 제품군은 인증이 되는 경우가 드물었거든요.

 

그렇게 고행길이 시작되었고, 다음과 같은 깨달음(???) 을 얻었습니다.

 

============================

 

[ 一. Key 교체방식의 최소는 Pro 로 설치하는 게 나음 ]

 

보편적으론 'Home' 이 다른 걸로 갈아타기에 범용성이 높다고 알려져 있지만,

slmgr /ipk 방식을 이용함에 있어서는 「Windows 7 비코어 어쩌구」오류가 빈번했습니다.

 

예나 지금이나 개인시장 과 기업시장 모두를 아우르는 'Pro' 의 경우가 더 낫더군요.

 

이유는 slmgr /ipk 로 다른 Key 값을 교체시...

Retail, OEM, MAK, KMS Key 값 모두가 잘 먹히는 데다...

 

Home → 타 에디션으로 Key 값 교체방식으로 갈아탈 경우에는

PC 를 재시작을 해야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입니다.

 

[ 二. Key 교체방식의 정석(?)은 Enterprise 를 우선 설치하는 게 훨씬 나음 ]


Windows Forum 분들이라면

 

Windows 10 제품군 어지간한 것들은

모두 한번 이상을 깔아보고, 인증도 해보셨을 겁니다.

 

때문에, IoT Enterprise 를 설치했을때...

 

바로 인증이 되는 분들도 있으신가 하면,

인증이 되지 않는 분들도 있으셨을 겁니다.

 

개인적으로 이것 때문에, 여러번 시행착오를 겪은 부분의 핵심인데요.

 

처음사용자 및 OEM 용 정품이건, 무료 Upgrade 건, Digital License 인증도구를 사용했건

Home 또는 Pro 만 인증된 상태에선 IoT Enterprise 인증이 불가합니다.

 

https://windowsforum.kr/free/13178139

단! 위 Link 의 '옆집놈' 님의 글에서처럼...

MS 계정을 활용하여 인증하는 경우는 어떠한지 모르겠지만...

 

Local 계정 상태로의 설치는

 

Windows 10 Enterprise 설치 → 인증 → IoT Enterprise Key 교체

 

이 경우가 기존의 Enterprise 인증을 승계(?) 하여 자동적으로 인증 이 되더군요.

* 물론, 그러실 분들은 드물(?)겠지만...

 

최초 Windows 10 Enterprise 인증을 KMS 인증으로 해놓고,
Digital License 인증이 전혀없는 상태에서는 Key 값 변경해봤자 자동인증 안됩니다. *

 

======================= 시행 착오 과정 =======================

 

1) 중국산 Win-Tab 은 Home 이 미리 설치되어 있던

OEM 의 Digital License 인증내역이 있지만,

 

IoT Enterprise 로 Key 를 교체하고 인증시 자동인증이 되지 않았습니다.

 

2) 제가 가지고 있는 구형 Note Book 경우 Digital License 방식 인증이라곤

Windows 10 Enterprise LTSB 2015/2016 만 인증내역이 있었습니다.

 

때문에, Home 하고 Pro Digital License 인증내역이 전혀 없던 PC 였죠.


IoT Enterprise 때문에... Pro 깔고 Digital License 인증도 해놓았는데,

역시나 자동인증이 되진 않았습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등록일
[공지] 사용기/설치기 이용안내 gooddew - - -
6759 윈 도 우| uefi bios 진입 [3] 거석 1640 18 07-29
6758 소프트웨어| Bios+전원+안전모드(Test ver) [38] 집앞의_큰 2217 61 07-29
6757 기 타| [종료]KJ-ChumPE_1909(깔끔이18363.997) [996] 첨임다 3919 378 07-26
6756 기 타| [종료]JU-ChumPE_1909(18363.997) [608] 첨임다 1889 276 07-26
6755 기 타| [종료]KJ-ChumPE_1909(18363.997) [568] 첨임다 1773 249 07-26
6754 윈 도 우| [종료]실컴용 20H2 (OS BILD 19042.421) [530] 첨임다 2316 223 07-26
6753 윈 도 우| [종료]WTG(VHD)-20H2 (OS BILD 19042.421) [470] 첨임다 1673 226 07-26
6752 윈 도 우| [분석완료] Win10XPE7* 디스플레이=해상도 문제 [27] suk 1607 38 07-25
6751 윈 도 우| Windows 10 20H2 19042.421 빌드 KB4568831 나왔네요 [10] suk 2345 16 07-25
6750 윈 도 우| Windows10 20H1 X64 Edition Ko_En(19041.388) 초보 설치기 [29] 선우 1986 20 07-24
6749 소프트웨어| Windows Update Blocker v1.5 업데이트 방지 테스트 [8] suk 1722 16 07-24
6748 윈 도 우| Windows10 19H1 19H2 버전 1909 18362.997 18363.997(7/23) 오맘마미아 1561 6 07-23
6747 윈 도 우| 가상에서 큰*무님 PE& Windows 설치 체험기 [19] 선우 1001 13 07-22
6746 기 타| Mini PE 파티션툴 주의사항 [23] 집앞의_큰 1777 24 07-22
6745 윈 도 우| 꼬져님 & 뎅장님 자료 설치 체험기 (스크롤 압박 주의) [35] 선우 1623 19 07-18
6744 윈 도 우| KJ님 Win10XPE76.77 실행 해봤습니다. [37] 하늘은높고 3140 38 07-18
6743 윈 도 우| 몇가지 복습 [45] 집앞의_큰 2461 41 07-17
6742 소프트웨어| Ventoy(벤토이) 테마 아이콘 표시 및 한글 이름 표시 [9] 미유키로즈 3070 21 07-15
6741 소프트웨어| VHDman2.08 - PE에서 gpt 형식의 vhd를 만들 때 오류 수정 [16] suk 1076 26 07-15
6740 윈 도 우| Windows.old 폴더삭제하기 - NSudo.exe필요.bat 테스트 [28] suk 2213 44 07-14
XE1.11.6 Layout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