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좌 / 팁

윈 도 우 Win PE에서 윈도우 UEFI설치를 합니다.

2020.04.05 16:46

하늘은높고구름은뭉개구름 조회:5157 추천:30

윈도우 설치는 몇가지 방법이 있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정도 모르는 사람이 있을까마는 다시 공부하는 마음으로 설치를 해봤습니다.

UEFI설치 하는 방법입니다.

컴퓨터를 만진지는 오래되었으나 저는 아직도 초보 수준입니다. 직업에  컴퓨터가 주종목이 아니니 깊이는 모르고 윈도우 설치 그리고 부품  단순 교체 조립 정도 수준의 지식입니다. ^^

요즘 들어 잊어먹는 일이 잦아서 한번더 공부했습니다. ^^

 

PE실행 부팅 바탕화면 입니다.

아래 그림에서 E 드라이버에 윈도우를 설치 하려고 합니다.

1설치 디스크 확인.png

 

디스크관리를 열어서 다시 확인을 합니다.

디스크가 여러개일경우 엉뚱한곳에 설치 하는경우가 많습니다.

드라이버 크기(용량)를 잘보고 확인합니다.

2디스크 크기 다시확인.png

 

관리자 권한으로 명령프롬프트(DOS)실행 합니다.

명령어대로 진행하고 GPT파티션으로 만들어 줍니다.

엉뚱한곳 지정해서 망하는  경우가 많으니 디스크 크기 꼭 확인을 합니다.

3디스크 크린 GPT파티션.png

 

DOS닫고 디스크 관리에서 마법사 실행합니다.

DOS에서 작업해도 되지만 디스크관리에서 하는것이 저는 편하더군요.

마우스 우측단추 클릭

4디스크관리에서 마법사.png

 

마법사 실행

5포맷까지 실행합니다.png

 

다음 WinNTsetup실행을 합니다.

아래 그림의 번호순으로 작업을 할것입니다.

6winNTsetup 실행하고.png

 

처음에 윈도우 원본이 있는곳을 찾아서 지정합니다. iso파일이 있는곳입니다.

7원본파일 찾기.png

 

윈도우 파일 지정 저는 8.1설치 할것이 이파일 지정합니다.

ISO파일 입니다.

8원본소스 지정합니다.png

 

다음은 부트 드라이버를 지정해야 합니다.

우측 상단의 아이콘을 눌러서 bootice 실행을 합니다.

9부트 드라이버 작업 bootice 실행.png

 

mbr작업을 합니다.

번호순으로 진행하면 됩니다.

10mbr작업.png

 

11mbr작업2.png

 

다음은 pbr작업입니다.

역시 번호순으로 진행합니다.

12pbr작업.png

 

13pbr작업2.png

 

파티션을  나누어 줍니다.

번호대로 진행해서 재파티션 합니다.

14파티션 관리 들어가서.png

 

하나로 만들어도 자동으로 부트 드라이버가 생기니 그림대로 진행을 합니다.

15재파티션.png

 

16재파티션2.png

 

아래 그림에서 잘보시고 기억을 하세요.

드라이버 문자 할당을 안하면 부트드라이버 지정할때 제대로 안되서 진행이 안됩니다.

이부분에서 헷갈려서 고생했던일이 있습니다.

꼭 드라이버 문자 할당을 해야 합니다.

17드라이버 문자할당.png

자동으로 빈곳이 잡혔네요.

18드라이버 문자할당2.png

 

bootice종료 하고

19종료하고.png

 

찾아보기를 눌러서 이전 단계에서 만들어둔 그 부트 드라이버 이름(J)을 찾습니다.

20부트드라이버 j찾아서지정.png

 

j 로 지정을 했으니 폴더 선택하고 

21부트드라이버j지정2.png

 

이제 세군데 모두 초록색으로 되었습니다. 정상적으로 잘 되었네요.

22세가지 항목 확인하고.png

 

다음은 윈도우가 설치될 드라이버를 지정합니다.

E 에 설치할것이니 찾아서 지정합니다.

23설치 할곳 찾아서 지정.png

 

24설치 드라이버 e지정확인.png

 

25확인.png

 

설치(복사)진행중입니다.

26설치중.png

 

복사가 끝나고 재부팅 합니다.

27리부트.png

 

재부팅 하면 나머지 작업이 진행됩니다.

나오는대로 진행 하시면 됩니다.

더쉬운 방법도 있겠지만 저는 이방법이 편해서 이렇게 하고 있습니다.

 ^^

감사합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등록일
[공지] 강좌 작성간 참고해주세요 gooddew - - -
4372 소프트웨어| 간단한 파일/폴더 백업 배치 파일 - BackupToZip [29] 지후빠 2592 27 08-14
4371 윈 도 우| 프로그램 필요없이, 윈도우 설치 USB 만들기 [16] zerojiddu 5697 27 01-18
4370 윈 도 우| WIM(PE) 1회성 부팅; 우클릭 보내기 메뉴에 추가 [16] 지후빠 2690 27 02-11
4369 소프트웨어| 엑셀 추가기능; Reading Layout(셀 좌표) 1.4 [25] 지후빠 2161 27 11-18
4368 소프트웨어| ventoy.json 꿀팁-1 [12] 메인보드 6444 27 06-17
4367 소프트웨어| PE.WIM DPI%, IconSize 변경 배치! [15] 무월 1904 27 01-11
4366 윈 도 우| PE 수정 스크립트 V3.87 [12] 히이이잌 2639 27 12-20
4365 기 타| [팁] PE에서 wim 부팅하는데 필요한 boot.sdi [12] suk 3775 27 04-24
4364 윈 도 우| [정리] 인텔 cpu 보안 패치파일 정리해봤습니다 [32] suk 6376 27 01-09
4363 윈 도 우| 드라이브스넵샸 자동백업및복구 [56] 난이나팔자 8249 27 02-17
4362 윈 도 우| 나만의 PE를 만들자 실전편 3탄 PE고수되기1편 (윈도우10PE... [97] 지연서연아 8708 27 09-01
4361 소프트웨어| Office Deployment Tool (ODT) 를 배워봅시다. [26] 디폴트 9908 27 10-29
4360 소프트웨어| 오브젝트독(Object Dock) 이용하기 - (본문 수정) [37] 고양이2 5841 27 12-07
4359 소프트웨어| (2013.11.09) 수정본 다시 보내드렸습니다 [112] 고양이2 9929 27 11-08
4358 소프트웨어| 【PE】Win10XPEooo 빌더로 초간편 PE만들기 [17] qnd 3141 27 08-13
4357 소프트웨어| PECMD CMPA 복호화 [13] sunshine 1472 26 11-15
4356 소프트웨어| 오프라인 윈도우 드라이버 백업 [10] 카멜 1631 26 02-29
4355 윈 도 우| [3탄] PE빌드를 위한 누적 업데이트 통합 (Winre.wim + ins... [14] 무월 1304 26 08-25
4354 소프트웨어| 단순한 팝업 메뉴형 런처 PopSel (실컴,PE) [18] 지후빠 2461 26 03-30
4353 윈 도 우| 구글 검색 결과를 가장한 리다이렉션 광고 링크 제거하기 (... [11] 오호라7 4094 26 02-26
XE1.11.6 Layout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