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 사용기

소프트웨어 저장장치 속도 뻥튀기 사용기입니다.

2020.04.01 22:49

내꼬 조회:2098 추천:6

안녕하세요

처음으로 작성해 봅니다.

일부 사용자에게 영양가 없는 내용일수 있습니다.

 

MAIN 저장장치는 M.2 NVMe 읽기 최대 3,500MB/s / 쓰기 최대 3,200MB/s 사용하고 있습니다.

서브 저장장치는 SSD 싸구려 사용중입니다. 매우 오래 되었습니다. 약 5년정도

4테라 HDD는 없어서 2TB x 2개 레이드 사용중입니다.(향후 고용량 하드로 교체 해야 되겠지요)

 

혹여 시스템이 정전이나 콘센트 잘못 건드려 셧다운 될까 염려되어 UPS 하나 사용중입니다.

정전 되었을때 최소 5분이내 종료 될수 있는 수준의 UPS입니다.

 

환경은 대략 이렇습니다.

 

SSD와 HDD를 사용하기 위해 M.2 NVMe는 2배속으로 사용중입니다.

그래야 SATA 6개 모두 사용할수 있기 때문입니다.

 

메인보드는 ASUS ROG Z270 Gaming 보드 입니다.

ASUS에서 제공하는 RamCacheII 프로그램 사용합니다.

 

모든 테스트는 제 기준의 시스템이므로 사용자마다 다르므로 "이렇구나~"라고 구경하시면 되겠습니다.

 

우선 C 드라이브 테스트 입니다.(M.2 NVMe 2배속)

2020-04-01_220430.jpg

 

일반 5년묵은 SSD 테스트 입니다.

2020-04-01_220952.jpg

 

다음은 레이드 묶은 2TB x2 HDD 및 IRST(빠른스토리지 기술)이용한 테스트 입니다.

2020-04-01_221555.jpg

 

다음은 RamCache가 4GB이므로 오버될수 있도록 테스트는 8GB로 해 보았습니다.(2회)

2020-04-01_222141.jpg

2020-04-01_222518.jpg

2020-04-01_222816.jpg

결과는 이렇게 나왔네요

 

번외로 외장하드 RamCaChe 사용기입니다.

마찬가지로 2TB 일반 HDD입니다.

2020-04-01_223803.jpg

8GB로 테스트 하니 외장HDD입니다.  

주 작업 장치가 아니므로 HDD로 나오네요

외장 하드야 원래 백업용으로 사용 하는것이라 경험상 해 봤습니다.

 

1GB로 테스트는 그래도 읽기가 엄청 빠르네요

쓰기는 역시나 입니다.

2020-04-01_224118.jpg

 

램캐시가 영향 받는 부분은 모든 저장장치에 영향은 받네요

번외 외장장치는 생각 하지 말아 주세요 무의미 합니다. 

 

이정도로  ASUS ROG RAMCACHE II 로 테스트 해 봤습니다.

 

--- 여기 부터는 외장하드 ---

한가지 놀라운 사실은 외장 HDD에 수백개의 파일, 수백개의 폴더가 있을때 파일명 순서를 오름차순/내림차순으로 변경 할때

램캐시 속도로 인해 HDD가 버벅이지 않아 HDD 딜레이가 없어 진다는 점 입니다.

아.. 날짜로 정렬기준 잡으니 캐싱 될때까지 느려지는 현상은 있군요

 

-- 여기부터는 내장 저장장치

없습니다.

편합니다.

 

이렇게 테스트 해 봤습니다.

메모리는 넉넉하게 32GB 사용중이라 램캐시로 4GB 할당 하였습니다.

 

특정 제품을 선호하는 이유는 이렇게 상당히 좋은 프로그램을 같이 포함되기에 매우 선호하는 편입니다.

 

끝까지 봐 주셔서 감사합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등록일
[공지] 사용기/설치기 이용안내 gooddew - - -
6672 윈 도 우| 7집으로 윔 수정하기 [추가/포켓몬 에메랄드 배틀타워 소개] [19] 땅콩 2612 6 08-17
6671 윈 도 우| murph-Windows 10 Enterprise 2015 LTSB N Privacy en-US x64 [21] 바람이분다 4021 6 08-21
6670 윈 도 우| Decompiler님의 WIN10_Pro_Ltsb_litex86 사용기 - 저사양 ... [17] 갑파니 4505 6 08-22
6669 윈 도 우| Windows 10 Pro K Fix Edition-VHDX설치 [18] 들길 3424 6 08-29
6668 윈 도 우| Win 10 Pro K Fix Edition 64bit 설치 [28] 선우 5810 6 08-29
6667 윈 도 우| **산님_2015 LTSB K x64 VHDx가상하드 사용기 [45] 선우 3867 6 09-02
6666 윈 도 우| wimboot를 이용한 멀티부팅추가하기 [20] 불꽃초선 3664 6 09-04
6665 윈 도 우| 총알 8PE 2탄 일부 폰트 일그러짐 현상 복원 [26] compuser 1735 6 05-03
6664 윈 도 우| 윈도10으로 업그레이드 하지 않으시려면 권장업데이트만 해... [11] suk 3467 6 05-30
6663 소프트웨어| 윈10 PE 만들기도 괜찮네요 [19] suk 7216 6 09-14
6662 윈 도 우| 석님 3월11일자 윈10 + 오사자님 스냅샷v2 + 로엔님구버젼P... [42] 빗소리 3086 6 03-12
6661 윈 도 우| 8.1 Enter x86 Lite [11] 들길 1760 6 10-07
6660 소프트웨어| sunshine님의 도스 리커버리 1.8 테스트 [고스트 편] [16] John316 692 6 06-12
6659 윈 도 우| 8.1_Enter_x86_Lite2 간단설치기 [15] 가지고싶은 1565 6 10-09
6658 윈 도 우| 7 Ultimate x86 LITE 설치기 [26] 들길 1684 6 10-15
6657 윈 도 우| Manian(Uefi) 설치 사용기 입니다. [9] 마이cro미터 1459 6 03-22
6656 윈 도 우| Windows7 Ultimate x86 LITE 설치기2 [44] 선우 2297 6 10-16
6655 소프트웨어| 아이콘 변환 프로그램 [6] 땅콩 3166 6 06-17
6654 윈 도 우| Windows7 Ultimate x64 LITE 언어팩설치 및 후작업 체험기 [34] 선우 1634 6 10-20
6653 윈 도 우| 7 Ultimate x64LITE [23] 가지고싶은 2451 6 10-21
XE1.11.6 Layout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