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좌 / 팁

윈 도 우 모든 파일 또는 폴더를 작업 표시줄에 고정

2020.02.29 00:39

레마클로 조회:1493 추천:8

모든 파일 또는 폴더를 작업 표시줄에 고정

 

출처 https://www.winhelponline.com/blog/pin-any-file-or-folder-taskbar-windows-10/

 

 

예) Notes.txt 와 backup 폴더를 작업표시줄에 고정하기

 

1. Notes.txt --> Notes.exe로 이름을 바꿉니다.  (backup 폴더 --> backup.exe)

 

2. Notes.exe을 마우스 오른쪽 버튼 -> 작업 표시 줄에 고정.  (backup.exe 작업 표시 줄에 고정)

 

3. Notes.exe를 Notes.txt로 다시 변경.  (backup.exe --> backup로 다시 변경)

   주의 : 작업표시줄에 고정된 파일이 아니고 원본 파일을 변경하는겁니다

 

4. 작업표시줄에 고정된 Notes.exe --> Shift 키+ 마우스 오른쪽 버튼-속성을 클릭.  (backup.exe Shift+마우스 오른쪽 버튼-속성)

 

5. 바로 가기의 대상 필드에서 Notes.exe를 Notes.txt로 변경.  (backup.exe --> backup로 변경)

 

6. 아이콘 변경을 클릭하고 목록에서 아이콘을 선택. 

 

7. 탐색기 재시작......

 

작업표시줄에서 제거는 ...

%APPDATA%\Microsoft\Internet Explorer\Quick Launch\User Pinned\TaskBar에서 제거 

 

--- 장단점 ---

 

단점 ; 작업 표시 줄에 데이터 파일을 고정하는 이 방법의 한 가지 단점은

고정 된 작업 표시 줄 항목을 클릭하면 실행 파일에 대한 새 아이콘이 작업 표시 줄에 나타나고 수행 할 수있는 작업이 없다는 것입니다.

 

장점 ; 폴더 바로 가기 를 만들어 폴더를 고정하는 방법의 단점은 그것을 클릭 할 때마다

폴더가 닫힐 때 종료되지 않는 새로운 explorer.exe 프로세스 가 생성 됩니다.

위의 방법은 추가 explorer.exe 인스턴스를 생성하지 않습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등록일
[공지] 강좌 작성간 참고해주세요 gooddew - - -
4148 윈 도 우| [수정] MoveOT_My설정_onoff_v6.1 [fscapture용 추가] [6] 레마클로 1468 10 05-03
4147 소프트웨어| 레인 스킨 변신 설명(테마 변경) [4] 갑파니 1471 5 07-19
4146 서버 / IT| HTTrack Website Copier 사이트통으로 긁어 오기 [2] 슈머슈마 1472 6 01-30
4145 소프트웨어| 한글(HWP) 바탕문서와 한글 스타일 사용으로 칼퇴하기^^ [5] 승승아빠 1472 24 04-27
4144 윈 도 우| DISM 나의 윈도우 문제점 복구 [8] 마로94 1474 13 02-28
4143 소프트웨어| wim boot 관련 배치 파일 몇 가지 팁 [19] 지후빠 1475 29 08-03
4142 소프트웨어| PE를 VHD에 설치하고 등록하기-vhdman [6] 카멜 1480 26 03-29
4141 소프트웨어| 프리미어 강좌 22 Group, ungroup 여러 클맆을 묶어서 이동... murimgasa 1482 0 11-16
4140 윈 도 우| [실사] 윈도우10 사용자 계정 만료 해제 방법! [9] 무월 1482 15 12-04
4139 윈 도 우| 우클릭 [새로 만들기] 날짜로 폴더/파일 만들기 [24] 지후빠 1483 23 05-26
4138 윈 도 우| 폴더 잠금용 배치파일 : 사적인 폴더 숨기기 [11] 지후빠 1487 16 02-02
4137 윈 도 우| 기본 프린터 확인 및 테스트 페이지 인쇄 batch script [5] 컨피그 1488 9 01-19
4136 소프트웨어| 크롬(Chrome)에서 maget 실행 확인창 안나오게 하기 [6] 깨블리 1491 8 07-12
» 윈 도 우| 모든 파일 또는 폴더를 작업 표시줄에 고정 [3] 레마클로 1493 8 02-29
4134 윈 도 우| PE 네트워크 설정하는 방법입니다. [2] PC_Clinic 1494 13 12-27
4133 소프트웨어| WinXShell 몇 가지 예제로 살펴보기 [8] 지후빠 1495 14 10-11
4132 기 타| 파워쉘로 WOL 수행 [3] JR.오펜하이 1495 9 01-06
4131 소프트웨어| pureBasic 전원 단추 0357 - BIOS 설정. 인수 지정. 레지 등록 [13] 입니다 1496 43 11-24
4130 소프트웨어| 카멜님의 VHDmanLite 0.04 사용법/0.05추가 [10] keen 1498 14 04-22
4129 소프트웨어| 4K UHD HDR 비지원 동영상 플레시 화면이 물빠짐현상 해결방법 [2] 조랑말 1504 1 03-20
XE1.11.6 Layout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