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 사용기

윈 도 우 ESD to ISO.bat 만들어봤습니다

2019.10.07 07:34

suk 조회:2756 추천:33

윈도 10 정식 출시 때마다 항상 ESD 파일이 나옵니다. 하지만 제 경우는 인사이더 프리뷰에 나온 iso 파일로 윈도를 설치해버리기 때문에...

ESD 파일은 쓸 일이 없었습니다. 그리고 정식 출시되면 msdn으로 된 iso 파일이 있기 때문에 esd 파일은 중간에 애매해서 사용하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이번 버전 1909는 기능 업데이트가 별로 없어서 버전 1903과 별 차이가 없습니다. 누적 업데이트, 기타 업데이트들까지 공유합니다

그래서 RTM 에 대한 관심도 별로 없고, 그냥 흐지부지 넘어갔습니다. 그런데 마침 제가 사용하는 윈도 상태가 조금 애매합니다.

 

그래서 지금 시점에 msdn 파일은 없고, ms 에서 배포한 ESD 파일은 있습니다.

여기서 ESD 파일은 install.esd가 아니라 ISO 내용물이 포함된 esd입니다. iso를 esd 압축 형식으로 ms에서 만든 것입니다.

 

그동안 저도 esd를 iso 로 만들 일이 있으면 외국의 고수분들이 만드신 ESD > ISO 툴을 사용했습니다만

ESD 에 포함된 이미지 번호대로 압축해제 하거나 내보내기 정도만 하면 되기 때문에, 별로 어렵게 보이지 않아서 처음으로 만드는데 도전해봤습니다

 

ESD to ISO.bat 만들어봤습니다 -  ESD 이미지 구성 2019-10-07_063115.jpg

스샷에 쓴대로 ESD 에서 1번부터 차례대로 작업하면 됩니다

1번 ISO 뼈대는 압축해제 하면 됩니다. 윈도 내장 dism.exe 명령으로 할 수 있습니다

 

md ISO_Folder

DISM.exe /Apply-Image /ImageFile:"%esd%" /Index:1 /ApplyDir:ISO_Folder\

 

2번과 3번은 boot.wim 으로 esd를 wim 형식으로 변환하면서 내보내기 하면 됩니다. 역시 dism.exe 명령으로 가능합니다

DISM.exe /Export-Image /SourceImageFile:"%esd%" /SourceIndex:2 /DestinationImageFile:ISO_Folder\sources\boot.wim /Compress:max

DISM.exe /Export-Image /SourceImageFile:"%esd%" /SourceIndex:3 /DestinationImageFile:ISO_Folder\sources\boot.wim /Compress:max /Bootable

 

위에서 압축 레벨을 최대 /Compress:max 하면 esd가 wim 으로 변환됩니다.

물론 esd 형식이 나오기 전의 wim 만 있을 때 최대입니다. esd가 wim보다 훨씬 압축률이 높습니다.

3번 이미지 즉, boot.wim 에서 2번 이미지가 실제 윈도 설치할 때 부팅하는 이미지입니다. 그래서 /Bootable 표시를 해줘야 부팅이 됩니다.

 

bat 파일 안에는 둘다 /Bootable 했습니다만 관계없습니다. 활성처럼 /Bootable 도 전체 이미지 중에 1개만 가능합니다

뒤에 /Bootable 하면 처음 /Bootable 은 무효가 됩니다. 디스크 중에서도 다른 파티션에 활성하면 이전에 활성한 것은 비활성됩니다

그 파티션으로 부팅하겠다는 표시이므로 활성은 1개만 가능합니다. 만약 2개 이상 되었다면....이상한 상태입니다. 어디로 부팅하라는건지..ㅎㅎ

 

4번부터 install.xxx 이미지 번호 시작입니다.

그런데 이미 방법은 위에 boot.wim 에 전부 나왔습니다.

 

DISM.exe /Export-Image /SourceImageFile:"%esd%" /SourceIndex:%no1% /DestinationImageFile:ISO_Folder\sources\install.esd

이렇게 하면 install.esd로 내보내기 됩니다. 원래 esd 형식이라서 그대로 내보내기만 하면 되는 것입니다

 

DISM.exe /Export-Image /SourceImageFile:"%esd%" /SourceIndex:%no1% /DestinationImageFile:ISO_Folder\sources\install.wim /Compress:max

boot.wim 처럼 /Compress:max가 추가되면 wim 형식으로 변환됩니다.

 

그리고 boot.wim은 부팅을 해야 하기 때문에 /Bootable 옵션이 필요합니다만, install.wim 상태로 부팅할 일은 없기 때문에 /Bootable 넣지 않아도 됩니다

/Bootable 옵션을 넣어도 지장은 없습니다만, 필요하지는 않습니다.

 

마지막으로 위에 모든 것이 포함된 폴더를 ISO로 만들어야 합니다

oscdimg.exe -bootdata:2#p0,e,b"ISO_Folder\boot\etfsboot.com"#pEF,e,b"ISO_Folder\efi\Microsoft\boot\efisys.bin" -o -h -m -u2 -udfver102 -l"레이블" ISO_Folder\ "iso 파일" 

 

위와 같은 방법대로 bat 파일을 만들어서 ESD를 ISO로 만들어봤습니다. 

ESD to ISO.bat 만들어봤습니다. 생각보다는 간단한 편이네요 2019-10-07_035958.jpg

 

처음에는 간단하게 install.esd로만 내보내기하는 iso로 만들었습니다

제 경험상으로는 install.esd라고 해서 윈도 설치 속도에 별 차이 없었습니다. 그래서 시간적으로 install.esd가 빠릅니다

 

여기서 주의하셔야 될 것은 지금은 ms에서 이미 esd 파일로 배포해서 esd가 빠릅니다

보통은 esd 파일을 만드는 것이 고압축이라서 훨씬 시간이 많이 걸립니다.

ESD to ISO.bat 만들어봤습니다. 생각보다는 간단한 편이네요 2019-10-07_040308.jpg

esd 고압축이라서 4GB 미만으로 만들어집니다 ^^ uefi 설치하는데 유리합니다

 

vmware 에 설치 테스트를 해봤습니다. 정상적으로 설치가 되는지?

ESD to ISO.bat 만들어봤습니다. 생각보다는 간단한 편이네요 2019-10-07_040819.jpg

 

이미지는 정상적으로 표시되네요

 

ESD to ISO.bat 만들어봤습니다. 생각보다는 간단한 편이네요 2019-10-07_040832.jpg

 

ESD to ISO.bat 만들어봤습니다. 생각보다는 간단한 편이네요 2019-10-07_040856.jpg

 

ESD to ISO.bat 만들어봤습니다. 생각보다는 간단한 편이네요 2019-10-07_041018.jpg

 

ESD to ISO.bat 만들어봤습니다. 생각보다는 간단한 편이네요 2019-10-07_041038.jpg

 

ESD to ISO.bat 만들어봤습니다. 생각보다는 간단한 편이네요 2019-10-07_041113.jpg

 

ESD to ISO.bat 만들어봤습니다. 생각보다는 간단한 편이네요 2019-10-07_041247.jpg

 

ESD to ISO.bat 만들어봤습니다. 생각보다는 간단한 편이네요 2019-10-07_041345.jpg

 

모든 설치 과정을 스샷하지는 않았습니다

 

ESD to ISO.bat 만들어봤습니다. 생각보다는 간단한 편이네요 2019-10-07_041415.jpg

 

ESD to ISO.bat 만들어봤습니다. 생각보다는 간단한 편이네요 2019-10-07_041437.jpg

 

버전 1909 (OS 빌드 18363.356) 입니다. 9월 11일 수요일 정기 업데이트 상태입니다

 

ESD to ISO.bat 만들어봤습니다. 생각보다는 간단한 편이네요 2019-10-07_041747.jpg

 

윈도 업데이트에 빨간색으로 업데이트가 부족하다고 나오네요.

 

ESD to ISO.bat 만들어봤습니다. 생각보다는 간단한 편이네요 2019-10-07_041804.jpg

 

윈도에 대한 누적 업데이트는 바로 나오지 않고, 닷넷에 대한 누적 업데이트가 나오네요.

 

ESD to ISO.bat 만들어봤습니다. 생각보다는 간단한 편이네요 2019-10-07_041929.jpg

 

재부팅하라고 해서 재부팅했습니다

 

ESD to ISO.bat 만들어봤습니다. 생각보다는 간단한 편이네요 2019-10-07_041936.jpg

 

ESD to ISO.bat 만들어봤습니다. 생각보다는 간단한 편이네요 2019-10-07_042154.jpg

 

.388 누적 업데이트는 선택적 업데이트로 나오는군요. 요즘 달라진 점입니다

 

ESD to ISO.bat 만들어봤습니다. 생각보다는 간단한 편이네요 2019-10-07_042342.jpg

 

빨간색이 없어질 때까지 가봅시다 ~

참가자 프로그램 [인사이더 프리뷰]는 설정하지 않은 상태입니다. 지금 참가자 설정해도 .388 이 최신 상태입니다

 

ESD to ISO.bat 만들어봤습니다. 생각보다는 간단한 편이네요 2019-10-07_043241.jpg

ESD to ISO.bat 만들어봤습니다. 생각보다는 간단한 편이네요 2019-10-07_043301.jpg

 

ESD to ISO.bat 만들어봤습니다. 생각보다는 간단한 편이네요 2019-10-07_043601.jpg

 

드디어 빨간색이 사라졌습니다 ^^ 

버전 1909 (OS 빌드 18363.388) 는 10월 4일 [한국시간]에 나온 누적 업데이트입니다.

 

ESD to ISO.bat 만들어봤습니다. 생각보다는 간단한 편이네요 - install.wim과 install.esd 선택 가능합니다 2019-10-07_055039.jpg

 

install.wim 으로 변환하는 것도 만들어봤습니다.

install.esd와 install.wim 선택 가능합니다

 

ESD to ISO.bat 만들어봤습니다. 생각보다는 간단한 편이네요 - install.wim 포함 iso 설치 테스트 2019-10-07_055137.jpg

 

install.wim 으로 만든 iso 도 설치 테스트를 해봤습니다

 

ESD to ISO.bat 만들어봤습니다. 생각보다는 간단한 편이네요 - install.wim 포함 iso 설치 테스트 2019-10-07_055155.jpg

 

ESD to ISO.bat 만들어봤습니다. 생각보다는 간단한 편이네요 - install.wim 포함 iso 설치 테스트 2019-10-07_055209.jpg

 

이번에는 Home을 설치해봤습니다

 

ESD to ISO.bat 만들어봤습니다. 생각보다는 간단한 편이네요 - install.wim 포함 iso 설치 테스트 2019-10-07_055316.jpg

 

ESD to ISO.bat 만들어봤습니다. 생각보다는 간단한 편이네요 - install.wim 포함 iso 설치 테스트 2019-10-07_055334.jpg

 

ESD to ISO.bat 만들어봤습니다. 생각보다는 간단한 편이네요 - install.wim 포함 iso 설치 테스트 2019-10-07_055414.jpg

 

ESD to ISO.bat 만들어봤습니다. 생각보다는 간단한 편이네요 - install.wim 포함 iso 설치 테스트 2019-10-07_055545.jpg

 

ESD to ISO.bat 만들어봤습니다. 생각보다는 간단한 편이네요 - install.wim 포함 iso 설치 테스트 - 홈 에디션은 ms 계정 아니면 설치하기 어렵네요 2019-10-07_055849.jpg

 

엥? 이제 홈은 ms 계정 아니면 윈도 설치도 못 하겠네요? 외통수 같더군요

 

ESD to ISO.bat 만들어봤습니다. 생각보다는 간단한 편이네요 - install.wim 포함 iso 설치 테스트 - 홈 에디션은 ms 계정 아니면 설치하기 어렵네요 - 인터넷 연결 끊으니까 로컬 계정 가능합니다 2019-10-07_060304.jpg

찾아도 길이 보이지 않아서 그냥 인터넷 연결을 끊고, 로컬 계정으로 설치했습니다

위에 프로는 인터넷 연결되어 있어도 선택이 가능햇습니다

 

ESD to ISO.bat 만들어봤습니다. 생각보다는 간단한 편이네요 - install.wim 포함 iso 설치 테스트 2019-10-07_060421.jpg

 

ESD to ISO.bat 만들어봤습니다. 생각보다는 간단한 편이네요 - install.wim 포함 iso 설치 테스트 2019-10-07_060438.jpg

 

홈도 버전 1909 (OS 빌드 18363.356) 입니다

 

ESD to ISO.bat 만들어봤습니다. 생각보다는 간단한 편이네요 - install.wim 포함 iso 설치 테스트 2019-10-07_060836.jpg

 

ESD to ISO.bat 만들어봤습니다. 생각보다는 간단한 편이네요 - install.wim 포함 iso 설치 테스트 2019-10-07_060904.jpg

 

여기까지만 했습니다. 실제 사용할 것이 아니라서 굳이 끝까지 윈도 업데이트는 하지 않았습니다.

 

ESD to ISO.bat 만들어봤습니다 -  파일 구성는 2개 입니다 2019-10-07_072539.jpg

 

저는 제가 직접 만드는 것에 의미를 두고 만든 것입니다만,

다른 분들 입장에서는 저도 어차피 다른 사람일 뿐이기 때문에;; 외국의 고수분들이 만드신 것이 더 나으실 듯 합니다

그냥 혼자 사용하려다가 dism.exe 명령으로 비교적 간단하게 esd를 iso로 만들 수 있다는 정보 차원에서 올립니다

 

ESD to ISO.zip

ESD 파일은 이미 최신 정보에 올라왔습니다. https://windowsforum.kr/info/12231025  댓글에 ESD > ISO 변환 툴도 있습니다

 

빌드 번호에서 아시는 분들은 다 아시겠습니다만, 버전 1909 는 18363 빌드가 맞습니다.

그런데 wim [esd] 이미지는 버전 1903 윈도와 누적 업데이트를 그대로 사용하기 때문에 18362 빌드로 나옵니다.

그래서 wim [esd] 이미지 정보에서 그대로 따온 iso 이름에서 빌드 번호가 18362 로 나오고 있습니다. 오타나 잘못은 아니라는 점을 알립니다.

18362 누적 업데이트이지만, 버전과 빌드를 변경해주는 다른 업데이트 파일 때문에 윈도를 설치하면 18363 빌드가 됩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등록일
[공지] 사용기/설치기 이용안내 gooddew - - -
6463 서버 / IT| MiniTool Partition Wizard 11.6 New released : Spanish &... [6] skylly 2445 6 12-14
6462 하드웨어| 사운드 블래스터 X3 사용후기 [8] OOBERecord 2222 0 12-13
6461 윈 도 우| D [497] 좋은이웃 2496 108 12-13
6460 하드웨어| 아주 오랫만에 구매한 삼성 NT950XBV - Linux 버전 [2] 은주얌 1641 3 11-23
6459 윈 도 우| 카x님 XPE11 사용기입니다. 19H2 476 [28] 복태취업했 2098 5 11-23
6458 윈 도 우| Win10 x64 복구 시스탬 만들기 초보편 [26] 유체 3517 14 11-22
6457 윈 도 우| [추가]Windows 10 20H1 인사이더 프리뷰 19013.1122 실컴 ... [12] suk 2371 5 11-20
6456 소프트웨어| WinNTSetup 이용한 윈도우 설치 [27] 지룡자 3305 12 11-16
6455 윈 도 우| Enterprise LTSC에서 PRO로 업그레이드 테스트 [9] suk 2715 10 11-12
6454 소프트웨어| [긴급 수정] 유튜브 다운로드 프로그램 롤백버전 [4] 굿듀님스토 2469 4 11-11
6453 소프트웨어| 유튜부 다운로드 프로그램 수정버전 사용후기및 설명서 [28] 굿듀님스토 1623 2 11-11
6452 소프트웨어| 유튜부 다운로드 프로그램 수정버전 [7] 굿듀님스토 1140 7 11-10
6451 소프트웨어| 유튜부 다운로드 프로그램 수정버전 [5] 굿듀님스토 680 7 11-10
6450 소프트웨어| 유튜브 다운로드 프로그램 - 메타정보 입력 배포 x [1] 굿듀님스토 514 3 11-10
6449 소프트웨어| 지룡자 솔루션 모음 11월10일 [60] 지룡자 2810 30 11-10
6448 소프트웨어| MKVToolNix 40.0.0 x64 portable - 만능동영상편집기 한고요 1049 4 11-09
6447 소프트웨어| 유튜브 다운로드 프로그램 수정버전 [6] 굿듀님스토 1035 6 11-09
6446 소프트웨어| 유튜브다운로드 프로그램 기능추가 [4] 굿듀님스토 667 5 11-09
6445 소프트웨어| 유튜브 다운로드 프로그램 GPU를 이용 인코딩???? 사용 후기 [4] 굿듀님스토 950 4 11-08
6444 기 타| PE에서 크로미움 엣지 사용 [25] 집앞의_큰 979 24 11-08
XE1.11.6 Layout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