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 사용기

윈 도 우 [2탄] 윈도10 버전1903 예약된 저장소 - 삭제 테스트

2019.06.04 04:25

suk 조회:2505 추천:14

이전에 사용기에 올린 테스트 입니다 https://windowsforum.kr/review/11476242

 

그 때 결론은 윈도 설치 후에는 레지스트리가 적용되지 않고, 윈도 설치 전이나 윈도 설치 과정에서 레지스트리를 적용해야 됩니다

그런데 오늘 자유게시판에 다음 글이 올라와서 추가 테스트를 해봤습니다. https://windowsforum.kr/free/11715874

 

테스트는 2가지 입니다. 1. 이전처럼 윈도 설치 후에 레지스트리 적용하기 2. 레지스트리 적용후에 윈도 업데이트하기

결론부터 쓰면 1번은 여전히 안 됩니다. 2번이 새로운 발견입니다. 윈도 설치 후에 레지스트리 적용해도 바로 반영이 안 되는데요

그 상태에서 윈도 업데이트 [누적 업데이트]가 있어서 업데이트를 하면 반영이 됩니다. 희한하게 되어 있네요.

 

제 통합본이 최신 18362.145 빌드가 아닌 18362.116 빌드라서 이것부터 설치했습니다.

또 자유게시판에서 윈도 업데이트하셨다는 글이 있어서 최신 빌드보다는 낮은 것으로 설치했습니다.

Windows 10 버전1903 부터 생긴 예약된 저장소 해제하기 테스트2 - 2019-06-04_024038.jpg

 

Windows 10 버전1903 부터 생긴 예약된 저장소 해제하기 테스트2 - 2019-06-04_024206.jpg

순정은 버전1903부터 예약된 저장소가 생깁니다

Windows 10 버전1903 부터 생긴 예약된 저장소 해제하기 테스트2 - 2019-06-04_024503.jpg

레지스트리는 이전에 사용하던 것 그대로입니다.

자유게시판의 레지스트리도 같은 내용입니다

Windows 10 버전1903 부터 생긴 예약된 저장소 해제하기 테스트2 - 2019-06-04_024612.jpg

바로 반영이 안 되어서 재부팅을 해봤습니다

Windows 10 버전1903 부터 생긴 예약된 저장소 해제하기 테스트2 - 2019-06-04_024730.jpg

18362.116 빌드에서도 여전히 레지스트리 적용해도 반영이 안 됩니다.

 

여기서 18362.145 빌드 누적 업데이트를 설치해봤습니다

Windows 10 버전1903 부터 생긴 예약된 저장소 해제하기 테스트2 - 2019-06-04_025520.jpg

저는 누적 업데이트 cab 파일이 이미 준비되어 있어서 cab 파일 설치가 더 빠릅니다

Windows 10 버전1903 부터 생긴 예약된 저장소 해제하기 테스트2 - 2019-06-04_025639.jpg

 

Windows 10 버전1903 부터 생긴 예약된 저장소 해제하기 테스트2 - 2019-06-04_025703.jpg

 

Windows 10 버전1903 부터 생긴 예약된 저장소 해제하기 테스트2 - 2019-06-04_025708.jpg

로그인 화면이 흐린 것도 버전1903부터 생긴 특징입니다

Windows 10 버전1903 부터 생긴 예약된 저장소 해제하기 테스트2 - 결과는 18362.116 빌드 설치 후에 레지스트리 적용하면 여전히 반영이 안 되고, 18362.145 빌드로 윈도 업데이트하면 반영이 됨, 12019-06-04_025824.jpg

18362.145로 윈도 업데이트하면 이전에 적용했던 레지스트리가 반영이 되네요. 뒷북 ~

 

뭔가 아쉬운 부분이 있어서 이번에는 처음부터 18362.145 빌드를 설치하여 레지스트리 적용해봤습니다

Windows 10 버전1903 부터 생긴 예약된 저장소 해제하기 테스트3 - 2019-06-04_032539.jpg

 

Windows 10 버전1903 부터 생긴 예약된 저장소 해제하기 테스트3 - 2019-06-04_032737.jpg

 

Windows 10 버전1903 부터 생긴 예약된 저장소 해제하기 테스트3 - 2019-06-04_032842.jpg

 

Windows 10 버전1903 부터 생긴 예약된 저장소 해제하기 테스트3 - 결과는 처음부터 18362.145 빌드를 설치하고 레지스트리 적용하면 여전히 반영이 안 됨,현재까지는 기능 업데이트 또는 품질 업데이트해야 반영이 됨 2019-06-04_033004.jpg

18362.145 빌드가 달라져서 그런 것이 아니라 레지스트리 적용후에 윈도 업데이트를 해서 반영이 된 것이었네요. 좀 특이합니다

 

아직은 윈도 설치 후에는 레지스트리로 바로 반영이 안 되고, 기능 업데이트 또는 품질 업데이트를 해야 반영이 됩니다.

즉, 윈도 설치 때 바로 적용하려면 여전히 oem 등으로 윈도 설치 과정에서 레지스트리를 적용해야 합니다. 방법은 이전에 올린 글에 있습니다.

여기서는 예약된 저장소 해제하기.reg 만 올립니다. 적용하시고 다음 누적 업데이트 기다시리면 될 겁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등록일
[공지] 사용기/설치기 이용안내 gooddew - - -
4372 소프트웨어| AOMEI Partition Assistant Technician Edition 6.6 Potabl... [16] 이세라 1475 14 11-24
4371 윈 도 우| (집앞의 큰나무)꼬마 HKBootSpecial x86 테스트 [45] NaDa 2236 14 12-26
4370 윈 도 우| Windows 10 Pro Rs3 16299.125 MsmgWinReducer HomeNet pAr... [24] 테미스 1409 14 01-09
4369 기 타| W&W님의 Win10PE에 Wifi 랜카드 체크 기능을 넣어 보았... [15] 왕초보 948 14 01-13
4368 기 타| 옛날에님께서 러시아 Win10PE-x64-1803_xlx PE를 소개를 하... [16] 왕초보 1268 14 05-02
4367 기 타| (추가) 중국 Win7 x64 PE를 한글화하여 보았습니다.. [31] 왕초보 2023 14 04-11
4366 윈 도 우| Windows 10 Pro Rs3 x64 Special 23 설치기 [37] 테미스 1447 14 02-09
4365 기 타| 제이유컴님 TEST-PE 에서 무선자동연결 사용기입니다.. [25] 왕초보 860 14 03-05
4364 윈 도 우| RS3_SantaLoVe1709-Special_24 초보 간략 설치기 [37] 김영자 945 14 02-16
4363 윈 도 우| 무등X산님의 _RS3_AERO_x64_16299_248_2018.2.15 - 간단설... [11] 김영자 1095 14 02-17
4362 기 타| (수정) 원키PE제작 프로그램 자체에서 ime등 파일 추가하기... [12] 왕초보 1144 14 02-23
4361 윈 도 우| 레드스톤5 [17618.1000] 빌드 설치해봤습니다 [12] suk 2208 14 03-08
4360 윈 도 우| 레드스톤5 [17618.1000]에서 Sets 발견했습니다 [9] suk 2356 14 03-11
4359 윈 도 우| 윈도7 에 usb3.0과 NVMe 드라이버 통합하기 - RSImageX 사용 [20] suk 2996 14 07-18
4358 윈 도 우| 집★의_큰나무님- HKBoot Final-3.2에 철이님꺼 합체한 BCD [34] 고감맨 1325 14 07-27
4357 윈 도 우| 제이유컴님의 Win10xpe 7.12 일자 사용기 입니다 [27] SHIELD 1059 14 07-15
4356 기 타| 태풍*녀님 작품 부팅 [27] skrua 849 14 07-22
4355 기 타| 선*님 Win10XPE x86 사용기입니다..선물 감사합니다 [18] 왕초보 782 14 08-08
4354 소프트웨어| Bob.Ombs.Win10PEx64.v3.9 boot.wim 한글화 시도 [11] suk 1740 14 08-18
4353 기 타| JJA-Win10_X64_PE-Ⅶ.wim 부팅 테스트 [8] suk 1251 14 08-18
XE1.11.6 Layout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