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 사용기

기 타 [17] Macrium Reflect 꼬마PE의 y_mount.exe 없이 Y: 사용기입니다

2019.02.18 19:26

왕초보 조회:327 추천:5

PE는 만드시는분들에 따라서...그 작품만의 향기가 있죠.....이런 향기 때문에...PE만 보아도 아! 하면서..어느분 작품인지..바로

떠오르는것 같습니다.

 

산 정상에..오르는 길이 하나뿐이지는 않듯이...PE를 활용하는 방법도..개인마다 취향에 따라서 조금씩 다를수 밖에 없습니다

 

꼬마PE 소개글에...아래와 같은 주의사항이 있습니다

 

   * 주의 사항

   * 디펜더 켜고 조립하게되면   박스에 깨구락지같이 생긴 y_mount.exe가 쩜프로 뛰쳐나갈수 있는데 

     그렇게되면 Reflect실행 오류가 생길 수있습니다.  실행 스트립트를 수정하면 되지만요...

 

y_mount.exe 파일이...바이러스 검출로 삭제 될수가 있어서 주의사항으로 알려주신 내용입니다..

y_mount.exe가 하는일은 다 아시죠...이 파일이 있는 파티션의 드라이브 문자를 첫글자로 바꾸어 줍니다.

 

저의 경우  Y:로 마운트 하는것을 꼭! y_mount.exe가 해야할 필요가 없어서..이미..pecmd.ini에 있는 LetterSwap.au3 를 활용하여 보았습니다

주의사항을 읽고 y_mount.exe에 대해서 신경을 쓰는것보다는..이것이 더 마음이 편할것 같아서 활용을하여 본것입니다

 

아래의 사용기는 y_mount.exe 대신에.. LetterSwap.au3를 활용하여 본것입니다

이미..아시는분들은..그냥 통과하여 주십시요

y_mount.exe 대신에.. LetterSwap.au3를 활용할수도 있구나 하는 정도로만 참고하여 주십시요

 

 

프로그램이 boot.wim 파일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이기 때문에...Y: 마운트는 필요가 없기도 합니다..

하지만.. Macrium Reflect 사용시..좀더 편하게 사용하기 위해서..백업파일이 저장되는 폴더를 레지에 등록을 하기 위해서.. Y: 마운트를 하게 

된것입니다

 

USB에 백업파일을 저장하지는 않죠...Y: 마운트를 하는 파티션은 하드에 있는 파티션입니다...USB보다는 복구시스템일때 유용할것 같습니다.

 

 

 

1. pecmd.ini 에서 LetterSwap.au3 가 실행되고 있습니다... 

 

   /auto 명령어로 자동으로 윈도우때 처럼 드라이브를 다시 정렬을 하여 주고 있습니다

   /IgnoreLetter XYRWUV   명령어로 X, Y, R, W ,U, V  5개 드라이브는 손대지 않게 되어 있습니다.. 

1.png

 

2. autorun.cmd에서..y_mount.exe 파일을 검색해서 실행하고 있습니다. LetterSwap.au3를 활용하면 이 명령가 필요가 없게 됩니다.

2.png

 

3. /bootdrive Y:\Backup 명령어를 추가를 하였습니다..그리고.../IgnoreLetter XRWUV 옵션에서 Y 를 삭제하였습니다..

 

  /bootdrive Y:\Backup  Backup 폴더를 검색해서..있으면 Y:로 변경하라는 명령어 입니다..Backup폴더 대신에 원하시는 폴더나 파일을 넣으시면

  되십니다

3.png

 

4.  Macrium Reflect 를 좀더 편리하게 사용하기 위해서..백업파일 저장 폴더를 레지로 등록을 하였습니다.. 이렇게 레지에 등록을 하게되면..

   Macrium Reflect 실행시..백업폴더에 있는 백업파일을 검사해서 보여줍니다..백업할때도..이 폴더가 이 경로로 지정되어 있어서..아주 편합니다

 

   단일파일에 있는 이미 수정된 start.cmd 파일에 아래처럼 추가를 한것입니다.

4.png

 

5. PE로 부팅을 하였습니다.. LetterSwap.au3에 추가한 명령이 잘 작동을 하였습니다...Y:로 변경이 되었습니다..

  이제..y_mount.exe 파일에 대해서는 신경쓰지 않아도 될것 같습니다.

5.png

 

6. y_mount.exe 파일 이름을 아래처럼 변경해 놓았었습니다.

6.png

 

7. Macrium Reflect 를 실행하였습니다...레지에서 지정한 백업파일 경로에 백업파일이 있어서...아래처럼 보여주고 있습니다..

   프로그램 실행후..백업파일을 따로 찾지 않아도 되어서...초보분들이 프로그램을 사용하시는데 편합니다.

7.png

 

8. 백업작업을 하여 보겠습니다.

8.png

 

9. 아래처럼 레지에서 등록한 경로가..대상경로에 자동으로 들어가 있습니다..폴더를 수동으로 지정할 필요가 없죠...

9.png

 

10. 단일파일 외에는 다른 파일을 없습니다..

10.png

 

11. 마무리

서두에도 말씀을 드렸지만..산 정상에 가는 길은 여러가지죠....

y_mount.exe 파일이 바이러스에 검출이 될수도 있어서...LetterSwap.au3 를 활용하여 보았습니다.

Y: 마운트를 하는경우..백업파일 경로를 레지에 지정해 놓으면.. Macrium Reflect 사용시에 편리하여서..레지도 추가하여 보았습니다

 

아시는 분들은 이미 다 아시는 내용일것입니다..초보가..이런 방법을 사용하였구나 하여 주십시요

 

새로운 한주가 시작되었습니다

좋은일만 있으시길 바랍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등록일
[공지] 사용기/설치기 이용안내 gooddew - - -
6016 윈 도 우| Clinic PE 19044.1503 테스트 버전 간단 피드백 [19] Compuser 508 10 01-30
6015 기 타| Clinic PE 탐색기 바탕화면 한글 - 저만 그런가요.. [10] 왕초보 757 10 01-30
6014 윈 도 우| ===>Ventoy 에러 부팅...etc<=== [5] 4k8k 899 10 02-07
6013 기 타| COLi**님 PE 시작메뉴,작업표시줄을 PinTool.exe로 자동등... [4] 왕초보 862 10 04-03
6012 기 타| COLi**님 PE 배경화면 변경시 아이콘까지 변경하여 보았습니다 [8] 왕초보 735 10 04-02
6011 기 타| 탐색기 제목창 색과 테두리 색을 마음대로 설정하도록 하여... [4] 왕초보 701 10 02-20
6010 기 타| 저용량 IFW Linux GUI에 Win.tag Backup 폴더 검색방식을 ... [8] 왕초보 477 10 02-11
6009 기 타| IFW Linux도 IFW 자체 정보를 추출해서 활용하여 보았습니다 [4] 왕초보 348 10 01-30
6008 기 타| 아직도 부끄러운짓을 하는 사람이 있네요.. [14] 왕초보 1935 10 01-29
6007 기 타| XorBoot 를 복구시스템에 활용하여 보았습니다. [5] 왕초보 597 10 01-26
6006 소프트웨어| TBIOnekeyBR v4 - Home★run~ [16] 21퍼 728 10 01-21
6005 기 타| (수정) 지후빠님 WimBootBR 일회성 윔부트, C드라이브 백업... [5] 왕초보 739 10 10-18
6004 윈 도 우| Rocket PE [18] 드림캐쳐 2545 10 01-05
6003 기 타| IFW 백업,복원에 디스크,파티션 번호를 활용하여 보았습니다 [9] 왕초보 590 10 12-23
6002 기 타| UltimateUser님 Win10XPE_x64_1903_Guitar_v2 [15] 몰라18 1572 10 12-22
6001 윈 도 우| ESP 파티션에 boot.sdi 복사후 BCD에 PE 자동등록을 하여 ... [9] 왕초보 923 10 12-14
6000 윈 도 우| 21H1 업그레이드 후 설치 날짜 수정하기 [5] suk 974 10 02-07
5999 기 타| 바로가기 만들기는 PECMD.exe의 ini로 하는것이 속도가 빠... [2] 왕초보 937 10 07-15
5998 윈 도 우| [추가] FixUSB 와 LetterSwap 같이 활용하기 입니다.. [11] 왕초보 2366 10 11-10
5997 보안 / 해킹| 프로그램 인터넷 차단 사용기 [6] 내꼬 1538 10 10-25
XE1.11.6 Layout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