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좌 / 팁

소프트웨어 레지스트리 하이브 파일 로드하기

2019.02.14 23:38

sunshine 조회:2923 추천:16

레지스트리 하이브 파일 로드(불러 오기) 하기가 어려운 초보자들을 위한 팁이니 고수분들은 패스해 주세요.

임의로 정리한 것이라 혹시 수정할 내용이 있으면 알려주세요. 

 

레지를 부팅시에 추가해도 적용되는 경우도 많지만, 부팅 전에 레지스트리 하이브 파일에 미리 통합되어야만 적용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러므로 초보분들은 레지스트리 하이브 파일 로드/수정/언로드 를 필수로 공부해야 합니다.

 

"초기 윈도우에서 많은 ini 파일들을 관리하기가 힘들어서 제조업체에서 마소에 개선을 요구를 해서 만들어진 것이 레지스트리 하이브 파일이다."

라고 어디서 본 듯합니다. 즉 여러 ini 파일을 한 곳으로 모아서 효율적으로 관리하도록 만든 것이 레지스트리 하이브 파일이라는 거죠.

 

"레지스트리 파일의 내부 구조가 마치 벌통처럼 생겼다" 라고 여겨서 하이브(hive) 라는 용어를 쓴다고 합니다. 

네이버 사전에서 "hive" 의 뜻: 1. 벌집 2. (한 벌집에 사는) 벌떼 3. (사람들이 바삐 돌아가며) 북새통을 이루는 곳

 

1. 레지스트리 하이브 파일 위치

Windows\System32\config\BBI              -> 사용 빈도 낮음, 확장자가 없음

Windows\System32\config\BCD-Template -> 사용 빈도 낮음, 확장자가 없음

Windows\System32\config\COMPONENTS -> 사용 빈도 낮음, 확장자가 없음 //winpe 부팅시 필수

Windows\System32\config\DEFAULT       -> 사용 빈도 높음, 확장자가 없음 //winpe 부팅시 필수

Windows\System32\config\DRIVERS        -> 사용 빈도 낮음, 확장자가 없음 //winpe 부팅시 필수

Windows\System32\config\ELAM            -> 사용 빈도 낮음, 확장자가 없음

Windows\System32\config\SAM             -> 사용 빈도 낮음, 확장자가 없음 //winpe 부팅시 필수

Windows\System32\config\SECURITY       -> 사용 빈도 낮음, 확장자가 없음 //winpe 부팅시 필수

Windows\System32\config\SOFTWARE     -> 사용 빈도 높음, 확장자가 없음 //winpe 부팅시 필수

Windows\System32\config\SYSTEM         -> 사용 빈도 중간, 확장자가 없음 //winpe 부팅시 필수

Users\Default\NTUSER.DAT                   -> 사용 빈도 중간, 확장자가 DAT //winpe 부팅시 필수 여부는 winpe 마다 다름

여기서 주로 수정에 사용되는 것은 DEFAULT, SOFTWARE, SYSTEM, NTUSER.DAT 4 개이고 나머지는 거의 사용하지 않습니다.

 

2. 주로 사용하는 레지스트리 하이브 파일 로드 준비

사용하는 도구는 Regedit(윈도우 내장 도구인 "레지스트리 편집기") 및 RegWorkshop(대단히 편리함) 를 주로 사용합니다.

레지스트리 관련 다른 도구를 사용해도 됩니다.

 

윈도우/winpe 레지 시스템에 하이브 파일을 로드하려면 "루트 키" 및 하이브 파일용 "서브 키"가 필요합니다.

- 루트 키: 사용할 수있는 것은 HKEY_LOCAL_MACHINE 과 HKEY_USERS 2개 뿐입니다. 주로 HKEY_LOCAL_MACHINE 를 사용합니다.

 

- 서브 키: 루트 키 밑의 하이브 파일용 서브 키는 "임의" 로 정할 수가 있지만 "숫자"로 하면 대단히 편리합니다.

DEFAULT     서브 키 예) HKEY_LOCAL_MACHINE\DEF,  HKEY_LOCAL_MACHINE\Tmp_def,  HKEY_LOCAL_MACHINE\1 등등

SOFTWARE   서브 키 예) HKEY_LOCAL_MACHINE\SOFT, HKEY_LOCAL_MACHINE\Tmp_soft, HKEY_LOCAL_MACHINE\2 등등

SYSTEM       서브 키 예) HKEY_LOCAL_MACHINE\SYS,  HKEY_LOCAL_MACHINE\Tmp_sys,  HKEY_LOCAL_MACHINE\3 등등

NTUSER.DAT  서브 키 예) HKEY_LOCAL_MACHINE\NTU, HKEY_LOCAL_MACHINE\Tmp_ntu,   HKEY_LOCAL_MACHINE\4 등등

 

사용하면 안되는 서브 키: 여기서 winpe 는 리부팅 하면 원상 되지만 윈도우에서 하면 윈도우 레지 시스템에 통합되니 특히 주의해야 합니다.

SOFTWARE 서브 키 예) HKEY_LOCAL_MACHINE\SOFTWARE  -> 윈도우/winpe 레지 시스템에 통합되어 구분 불가

SYSTEM    서브 키 예) HKEY_LOCAL_MACHINE\SYSTEM     -> 윈도우/winpe 레지 시스템에 통합되어 구분 불가

 

3. Regedit 로 하이브 파일 로드하기: 필요한 파일만 해야 되지만 여기서는 4개를 로드하겠습니다.

WIM 파일에서 7집으로 꺼낸 DEFAULT, SOFTWARE, SYSTEM, NTUSER.DAT 를 임의의 폴더로 모은다.

 

Regedit 를 실행한다. 가끔 하이브로드가 활성이 안되면 다른 키를 선택 후 다시 HKEY_LOCAL_MACHINE 를 선택하면 잘 됩니다.

HKEY_LOCAL_MACHINE 선택>메뉴의 파일>하이브로드>임의의 폴더에서 DEFAULT       선택>하이브 로드 창>1 을 입력하고 확인.

HKEY_LOCAL_MACHINE 선택>메뉴의 파일>하이브로드>임의의 폴더에서 SOFTWARE    선택>하이브 로드 창>2 를 입력하고 확인.

HKEY_LOCAL_MACHINE 선택>메뉴의 파일>하이브로드>임의의 폴더에서 SYSTEM        선택>하이브 로드 창>3 을 입력하고 확인.

HKEY_LOCAL_MACHINE 선택>메뉴의 파일>하이브로드>임의의 폴더에서 NTUSER.DAT  선택>하이브 로드 창>4 를 입력하고 확인.

HKEY_LOCAL_MACHINE 를 더블 클릭하면 밑에 1, 2, 3, 4 서브 키가 나타납니다.

1.png

 

2.png

 

아래에서 DEFAULT -> 1,  SOFTWARE -> 2, SYSTEM -> 3, NTUSER.DAT -> 4 로 입력합니다.

여기서 서브 키로 숫자를 사용하는 장점이 잘 나타납니다.

예를 들어 DEFAULT 파일 하이브 로드시 def, tmp_def, tmp_default 등등 대신 숫자 1 을 사용하면 훨씬 편리할 것입니다.

3.png

 

아래 그림의 1, 2, 3, 4 를 더블 클릭해서 해당 레지스트리를 수정한다.

여기서도 서브 키로 숫자를 사용하는 장점이 잘 나타납니다.

HKEY_LOCAL_MACHINE 서브 키 중에서도 숫자가 가장 먼저 나타납니다. 찾기가 편하겠지요.

4.png

 

레지스트리 수정이 끝나면

아래 그림의 1 선택>메뉴의 파일>하이브 언로드 하면 됩니다. // 서브 키 1 선택은 필수입니다.

아래 그림의 2 선택>메뉴의 파일>하이브 언로드 하면 됩니다. // 서브 키 2 선택은 필수입니다.

아래 그림의 3 선택>메뉴의 파일>하이브 언로드 하면 됩니다. // 서브 키 3 선택은 필수입니다.

아래 그림의 4 선택>메뉴의 파일>하이브 언로드 하면 됩니다. // 서브 키 4 선택은 필수입니다.

5.png

 

6.png

 

4. RegWorkshop 로 하이브 파일 로드하기: 필요한 파일만 해야 되지만 여기서는 4개를 로드하겠습니다.

WIM 파일에서 7집으로 꺼낸 DEFAULT, SOFTWARE, SYSTEM, NTUSER.DAT 를 임의의 폴더로 모은다.

 

RegWorkshop 를 실행한다. RegWorkshop 은 "HKEY_LOCAL_MACHINE 선택" 과정을 생략해도 잘 됩니다.

HKEY_LOCAL_MACHINE 선택>메뉴의 파일>HIVE 불러오기>임의의 폴더에서 DEFAULT      선택>HIVE 불러오기 창>1 을 입력하고 확인.

HKEY_LOCAL_MACHINE 선택>메뉴의 파일>HIVE 불러오기>임의의 폴더에서 SOFTWARE    선택>HIVE 불러오기 창>2 를 입력하고 확인.

HKEY_LOCAL_MACHINE 선택>메뉴의 파일>HIVE 불러오기>임의의 폴더에서 SYSTEM        선택>HIVE 불러오기 창>3 을 입력하고 확인.

HKEY_LOCAL_MACHINE 선택>메뉴의 파일>HIVE 불러오기>임의의 폴더에서 NTUSER.DAT  선택>HIVE 불러오기 창>4 를 입력하고 확인.

HKEY_LOCAL_MACHINE 를 더블 클릭하면 밑에 1, 2, 3, 4 서브 키가 나타납니다.

a.png

 

b.png

 

아래에서 DEFAULT -> 1,  SOFTWARE -> 2, SYSTEM -> 3, NTUSER.DAT -> 4 로 입력합니다.

c.png

 

아래 그림의 1, 2, 3, 4 를 더블 클릭해서 해당 레지스트리를 수정한다.

d.png

 

레지스트리 수정이 끝나면

아래 그림의 1 선택>메뉴의 파일>HIVE 불러오기 취소 하면 됩니다.  // 서브 키 1 선택은 필수입니다.

아래 그림의 2 선택>메뉴의 파일>HIVE 불러오기 취소 하면 됩니다.  // 서브 키 2 선택은 필수입니다.

아래 그림의 3 선택>메뉴의 파일>HIVE 불러오기 취소 하면 됩니다.  // 서브 키 3 선택은 필수입니다.

아래 그림의 4 선택>메뉴의 파일>HIVE 불러오기 취소 하면 됩니다.  // 서브 키 4 선택은 필수입니다.

RegWorkshop 에서 "HIVE 불러오기 취소" 시 에러가 나면 RegWorkshop 을 종료 후 위의 과정을 다시 하면 잘 됩니다.

e.png

 

f.png

 

=============== 추가 팁 =======================================

1. 같은 종류의 레지스트리 하이브 파일을 3개를 로드하는 경우는 드물지만 레지스트리 비교를 위해서는 필요한 경우도 있습니다.

이렇게 로드하면 같은 종류끼리 한 군데로 모여서 관리가 편합니다.

 

- DEFAULT 파일 3개를 하이브 로드시(서브 키는 숫자 사용)

첫 번째 DEFAULT 파일은 -> 1 , 두 번째 DEFAULT 파일은 -> 11, 세 번째 DEFAULT 파일은 -> 111 로 하이브 로드한다.

 

- SOFTWARE 파일 3개를 하이브 로드시(서브 키는 숫자 사용)

첫 번째 SOFTWARE 파일은 -> 2 , 두 번째 SOFTWARE 파일은 -> 22, 세 번째 SOFTWARE 파일은 -> 222 로 하이브 로드한다.

 

- SYSTEM 파일 3개를 하이브 로드시(서브 키는 숫자 사용)

첫 번째 SYSTEM 파일은 -> 3 , 두 번째 SYSTEM 파일은 -> 33, 세 번째 SYSTEM 파일은 -> 333 로 하이브 로드한다.

 

- NTUSER.DAT 파일 3개를 하이브 로드시(서브 키는 숫자 사용)

첫 번째 NTUSER.DAT 파일은 -> 4 , 두 번째 NTUSER.DAT 파일은 -> 44, 세 번째 NTUSER.DAT 파일은 -> 444 로 하이브 로드한다.

 

2. Regedit 하이브 로드 과정 스샷

HLOAD.png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등록일
[공지] 강좌 작성간 참고해주세요 gooddew - - -
4144 소프트웨어| YUMI – Multiboot USB Creator (멀티 부트 USB 제작기) [6] VenusGirl 4017 16 06-10
4143 윈 도 우| 확장자,숨김(OnOff - NoFile 레지) // 바탕아이콘 정렬문제... [6] 레마클로 1822 16 04-12
4142 윈 도 우| 윈도우10 작업표시줄 시계 초 단위 표시하는 방법 [12] gooddew 3248 16 03-23
4141 윈 도 우| Win10XPE 시스템 속성 컴퓨터 이름 [12] %카리스마 2480 16 03-08
4140 윈 도 우| MBR2GPT 사용법 [13] gooddew 5033 16 11-18
» 소프트웨어| 레지스트리 하이브 파일 로드하기 [9] sunshine 2923 16 02-14
4138 하드웨어| [하드] 최신 리얼텍 오디오 드라이버 받는 방법(201901) [10] 깨블리 5713 16 01-12
4137 소프트웨어| Total Commander 9.21 32비트 및 64비트용 확장 한국어 메... [11] VenusGirl 2346 16 08-17
4136 소프트웨어| Total Commander 9.20 32 비트 및 64 비트용 확장 한국어 메뉴 [8] VenusGirl 2295 16 07-11
4135 소프트웨어| PE에서 작업표시줄과 시작메뉴에 아이콘 고정에 대해서. [15] 대추사랑 2417 16 02-13
4134 소프트웨어| TC 9.12 32 비트 및 64 비트용 확장 한국어 메뉴-Windows 1... [13] VenusGirl 2555 16 02-28
4133 소프트웨어| Acrobat Pro DC ... [14] 디폴트 17267 16 09-30
4132 윈 도 우| USB에 iso 파일 설치하기 간단설명 [37] 선우 5338 16 04-21
4131 소프트웨어| 비전문가용 Windows 설치 및 구성 준비 프로그램 [18] CraXicS 9852 16 08-07
4130 윈 도 우| USB로 XP 설치하기(AHCI 지원, USB CD 영역 불필요) [35] 해밀 44478 16 05-05
4129 소프트웨어| Bcd 항목 1회성 부팅하기-VHDmanLite [7] 카멜 779 15 03-04
4128 윈 도 우| Windows11 트레이 아이콘 내맘대로... [9] 메인보드 3905 15 01-08
4127 기 타| 짜증나는 유튭 광고 개인설정과 구글설정 [10] 트레져sn 4093 15 11-27
4126 소프트웨어| winpe 시스템 계정에서 Edge 상위버전 적용 [8] sunshine 574 15 07-24
4125 윈 도 우| Chromium 기반 브라우저 OS 지원 종료 예정 알림 제거 자동... [8] 녹색조각 1647 15 12-29
XE1.11.6 Layout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