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 사용기

기 타 [2] Macrium Reflect Y: 를 고정으로 사용을 하여 보았습니다..

2019.01.31 14:07

왕초보 조회:406 추천:9

어제 Macrium Reflect 에서 Y: 가 변하지 않게 사용하는 것에 대한 사용기를 썼었습니다..

이 방법의 경우 PE에 단계에서 조치가 되어서 Macrium Reflect를 수동으로 실행을 하여도 Y:가 변동이 되지 않습니다..

제일 어려울줄 알았던것이 간단하게 해결이 되었었습니다

 

오늘 저금 다른 방식으로 Macrium Reflect 에서 Y:가 변동되지 않게 하여 보았습니다

PE에 조치하는것보다는 쉬운것인데...노안이 문제일때가 있죠...소스의 엉뚱한 곳에..이한것이 있는줄도 모르고...이상하다

왜 안되지하고 고민만 했습니다..

 

세상일이 어려운일이 생각지도 않게 쉽게 풀릴수도 있고..쉬운것인데도...이상하게 꼬이면..죽어라고 안되는 경우도 있네요.

 

 

아래의 사용기는 PE에서 조치를 하는것이 아니라...Macrium Reflect가 실행되지 저에 조치를 하는 방법으로 Y:가 변동지지 않도록

하여 본것입니다. 이런 경우도 있을수 있구나 하여 주십시요

 

1. PE에 아무런 조치가 되어 있지 않아서 수동으로 실행을 하면..Y:가 변동이 됩니다...키보드 선택창이 나왔습니다.

1.png

 

2. Y: 드라이브가 윈도우 일때의 F: 로 되돌아 갔습니다. 아무런 조치가 되어 있지 않아서 당연한 결과입니다..

2.png

 

3. 프로그램이 버전업이 되었습니다...1.0 버전의 경우 config 폴더 이름을 변경하는 방식이었습니다..2.0 버전은 전혀 다른 방식으로 진행을 하여서 폴더 변경등은 없습니다

3.png

 

4. Reflect_Start_v2.0_x64.exe 실행 결과입니다..Y: 드라이브가 변동이 없습니다...

4.png

 

5. 마무리

Macrium Reflect 에서 Y: 가 변동되지 않은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을수 있을것입니다..

초보인 저의 경우..PE에 초치하는 방법과 Macrium Reflect 실행전에 조치하는 방법으로 구분을 하여서 테스트를 하여 보았습니다

아마..고수님들께도...나름대로의 비법을 활용하여서 Y: 변동되지 않게 하고 활용을 하실것으로 생각이 듭니다

 

위의 방법과 비슷하지만..좀 초보식으로 유치한 방법도 있기합니다 .이제까지 방법이 깔금하기는 합니다..

유치하지만 생각해본 방법이어서 궁금해서라도 진행을 해보야 할것 같습니다

초보가 이상한것들을 하고 있네 하여 주십시요

 

2019년 1월 31일 이네요...  1월이 눈깜박 사이에 간것 같습니다..

마무리 잘되시길 바랍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등록일
[공지] 사용기/설치기 이용안내 gooddew - - -
5972 기 타| 윈키PE에서 한글 해상도 프로그램으로 변경하기 입니다.. [5] 왕초보 682 8 02-27
5971 기 타| (업데이트해주셨습니다) 원키PE에서 글꼴크기 변경 원인입니다 [11] 왕초보 535 9 02-27
5970 윈 도 우| usb연결시 드라이버 제거후 새로고침해야 연결되는 문제!(... [11] 갑파니 622 13 02-27
5969 기 타| 한글 원키 PE 제작 최신업데이트 버전 사용기입니다.. [9] 왕초보 809 11 02-27
5968 윈 도 우| 산Ta사랑님 Windows 10 Pro Rs3 x64 Special 26 최종RePack2 [129] 테미스 1476 38 02-27
5967 윈 도 우| WinpeCreate_17.12.10.2117_ko 잘 되네요 [13] 그루터기 1260 16 02-27
5966 기 타| (위 사용기 참조) 윈키PE 제작에서 win10 RS3 x86은 이상하... [11] 왕초보 667 6 02-27
5965 윈 도 우| 한글 원키제작툴로 win10_rs3_x86 빌드시 부팅 문제 [17] sunshine 950 10 02-28
5964 윈 도 우| 10년넘은 노트북 윈10 홈 설치기 [10] DeathWing 1748 3 02-28
5963 기 타| (추가) 원키 PE에서 USB에..PETools.wim이 마운트 되는 현... [12] 왕초보 1075 8 02-28
5962 윈 도 우| Windows 10 Pro for WKS(RS4/1803) 트윅 테스트 [40] DeathWing 1884 31 02-28
5961 기 타| 이제서야 진정한 원키로 PE를 만들게 된것 같습니다 [73] 왕초보 2322 41 03-01
5960 기 타| 크롬 포터블 폰트문제를 짝퉁! 굴림으로 해결을 하여 보았... [16] 왕초보 1022 11 03-01
5959 윈 도 우| [내용추가] 인텔 스펙터 버그도 MS 패치가 나왔네요 [10] suk 1338 10 03-02
5958 소프트웨어| BinToStr V0.5 PE 소스 BinaryTOstring 코드 변환 [24] 입니다 686 15 03-02
5957 기 타| [수정] (초보용) 윈키PE에서 AOMEI Partition Assistant을 ... [15] 왕초보 1215 6 03-02
5956 윈 도 우| 산Ta사랑님 Windows 10 Pro Rs3 x64 Special 27설치기 [89] 테미스 1555 32 03-02
5955 기 타| 윈키PE에서 IE 시작페이지 관련입니다..고수님들께서 도와... [28] 왕초보 1419 9 03-02
5954 윈 도 우| 레드스톤4 [17112.1] 설치 테스트해봤습니다 [14] suk 1482 17 03-03
5953 윈 도 우| 레드스톤4 [17112.1] WKS 설치 테스트 for 튜닝 [24] DeathWing 1708 19 03-03
XE1.11.6 Layout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