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 사용기

윈 도 우 *삿갓님 wimboot + vhd로 된 파일 부팅해봤습니다

2018.11.09 22:11

suk 조회:1440 추천:6

실컴에서 부팅하면 간단할 듯 하여, 일부러 좀 어렵게 가상 머신으로 부팅 테스트를 해봤습니다

그런데 결국 실컴으로도 부팅해봐야겠습니다. [본문 후반에 실컴으로 하는 방법도 올렸습니다. 가상보다는 훨씬 간단합니다]

wimboot로연결된vhd가같이배포된경우-버추얼박스에vhd이용하여부팅하기-가상머신에서PE부팅하여부팅관련작업을해야함 2018-11-09 (1).jpg

특이하게 wim과 vhd가 같이 있었습니다. 처음 보는 방식입니다

일단 zip 압축해제했습니다

 

wimboot로연결된vhd가같이배포된경우-버추얼박스에vhd이용하여부팅하기-가상머신에서PE부팅하여부팅관련작업을해야함 2018-11-09 (2).jpg

 

가상머신에 연결할 VHD 부터 만듭니다

 

wimboot로연결된vhd가같이배포된경우-버추얼박스에vhd이용하여부팅하기-가상머신에서PE부팅하여부팅관련작업을해야함 2018-11-09 (3).jpg

 

확인해보니까 배포된 vhd는 25GB 동적 확장 이었습니다.

그래서 35GB 동적 확장으로 vhd를 만들었습니다

 

wimboot로연결된vhd가같이배포된경우-버추얼박스에vhd이용하여부팅하기-가상머신에서PE부팅하여부팅관련작업을해야함 2018-11-09 (4).jpg

 

wimboot로연결된vhd가같이배포된경우-버추얼박스에vhd이용하여부팅하기-가상머신에서PE부팅하여부팅관련작업을해야함 2018-11-09 (5).jpg

 

 

 

wimboot로연결된vhd가같이배포된경우-버추얼박스에vhd이용하여부팅하기-가상머신에서PE부팅하여부팅관련작업을해야함 2018-11-09 (6).jpg

탑재된 VHD 내부로 2개의 파일을 복사했습니다

 

wimboot로연결된vhd가같이배포된경우-버추얼박스에vhd이용하여부팅하기-가상머신에서PE부팅하여부팅관련작업을해야함 2018-11-09 (7).jpg

 

실컴에서는 여기까지만 하고 VHD를 분리했습니다

나머지 필요한 작업은 가상 머신으로 PE 부팅하여 작업하려고 합니다.

 

디스크 정보등이 가상머신에서는 실컴과 관계가 없기 때문입니다

 

wimboot로연결된vhd가같이배포된경우-버추얼박스에vhd이용하여부팅하기-가상머신에서PE부팅하여부팅관련작업을해야함 2018-11-09 (8).jpg

 

wimboot로연결된vhd가같이배포된경우-버추얼박스에vhd이용하여부팅하기-가상머신에서PE부팅하여부팅관련작업을해야함 2018-11-09 (9).jpg

 

wimboot로연결된vhd가같이배포된경우-버추얼박스에vhd이용하여부팅하기-가상머신에서PE부팅하여부팅관련작업을해야함 2018-11-09 (10).jpg

 

가벼운 PE로 부팅했습니다

바탕화면은 실컴 윈도와는 관계가 없습니다.

 

wimboot로연결된vhd가같이배포된경우-버추얼박스에vhd이용하여부팅하기-가상머신에서PE부팅하여부팅관련작업을해야함 2018-11-09 (11).jpg

 

디스크 관리를 실행하여 배포된 vhd를 연결합니다

 

wimboot로연결된vhd가같이배포된경우-버추얼박스에vhd이용하여부팅하기-가상머신에서PE부팅하여부팅관련작업을해야함 2018-11-09 (12).jpg

 

wimboot로연결된vhd가같이배포된경우-버추얼박스에vhd이용하여부팅하기-가상머신에서PE부팅하여부팅관련작업을해야함 2018-11-09 (13).jpg

 

vhd가 E: 으로 연결이 되었습니다

 

wimboot로연결된vhd가같이배포된경우-버추얼박스에vhd이용하여부팅하기-가상머신에서PE부팅하여부팅관련작업을해야함 2018-11-09 (14).jpg

 

아쉽게도 이 가벼운 PE에 든 RSImageX는 wimboot 관련 명령이 먹히지 않네요. 

 

<추가: 2018.11.10 토요일 오후 12:20

1년 이상 최신 버전의 RSImageX 만 사용해서 예전의 RSImageX 사용법을 잊어버려서 아래와 같이 dism 명령어로 했습니다

예전의 RSImageX 도 오른쪽 위에 dism.exe 체크하면 잘 작동했습니다. 최신 버전의 RSImageX은 dism.exe 체크하지 않아도 됩니다

wimboot로연결된vhd가같이배포된경우-버추얼박스에vhd이용하여부팅하기-가상머신에서PE부팅하여부팅관련작업을해야함 - 최신 RSImageX만 사용하다가 예전 RSImageX 사용법을 잊어버렸었네요. dism 체크하면 잘 됩니다 2018-11-10_120728.jpg

그러면 가상머신의 PE에서 작업도 저 ~ 아래에 실컴에서 작업처럼 RSImageX로만 해도 되겠습니다

괜히 dism 명령어로 좀 힘들게 했네요. 그래도 참고로 dism 명령어도 남겨둡니다

추가 끝>

 

wimboot로연결된vhd가같이배포된경우-버추얼박스에vhd이용하여부팅하기-가상머신에서PE부팅하여부팅관련작업을해야함 2018-11-09 (15).jpg

 

그래서 dism.exe 명령어로 했습니다.

Dism /Get-WIMBootEntry /Path:드라이브

wim 경로가 맞지 않습니다. 배포하신 분과 다른 컴퓨터라서 디스크/파티션 정보가 달라서 당연한 현상입니다

 

wimboot로연결된vhd가같이배포된경우-버추얼박스에vhd이용하여부팅하기-가상머신에서PE부팅하여부팅관련작업을해야함 2018-11-09 (16).jpg

 

dism /update-wimbootentry /path:드라이브 /imagefile="wim경로" /datasourceID:0

이렇게 입력하려고 했는데 조금 성급하게 엔터를 쳤네요. 그래도 오류 메시지에서 친절하게 잘못된 점을 알려줍니다 ^^

 

wimboot로연결된vhd가같이배포된경우-버추얼박스에vhd이용하여부팅하기-가상머신에서PE부팅하여부팅관련작업을해야함 2018-11-09 (17).jpg

 

이제 wim 파일과 vhd 가 wimboot로 연결이 되었습니다.

 

wimboot로연결된vhd가같이배포된경우-버추얼박스에vhd이용하여부팅하기-가상머신에서PE부팅하여부팅관련작업을해야함 2018-11-09 (18).jpg

 

bcdboot 명령으로 부팅 파일도 만들었습니다. 

 

wimboot로연결된vhd가같이배포된경우-버추얼박스에vhd이용하여부팅하기-가상머신에서PE부팅하여부팅관련작업을해야함 2018-11-09 (19).jpg

 

위에 PE는 5초 정도 여유를 주지 않고 바로 부팅하기 때문에, PE를 제거해야, 지금까지 작업한 35GB vhd로 부팅합니다.

 

wimboot로연결된vhd가같이배포된경우-버추얼박스에vhd이용하여부팅하기-가상머신에서PE부팅하여부팅관련작업을해야함 2018-11-09 (20).jpg

 

역시 배포하신 분과는 다른 컴퓨터이기 때문에 첫 부팅 때는 장치를 설치하게 됩니다. 이 점만 다릅니다

 

wimboot로연결된vhd가같이배포된경우-버추얼박스에vhd이용하여부팅하기-가상머신에서PE부팅하여부팅관련작업을해야함 2018-11-09 (21).jpg

 

설치 과정은 없고, 바로 부팅합니다

윈도10의 좋은 점인데요. 윈도8부터 그랬습니다만 윈도8은 인기가 없어서 별로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wimboot로연결된vhd가같이배포된경우-버추얼박스에vhd이용하여부팅하기-가상머신에서PE부팅하여부팅관련작업을해야함 2018-11-09 (22).jpg

 

wimboot로연결된vhd가같이배포된경우-버추얼박스에vhd이용하여부팅하기-가상머신에서PE부팅하여부팅관련작업을해야함 2018-11-09 (23).jpg

 

wimboot로연결된vhd가같이배포된경우-버추얼박스에vhd이용하여부팅하기-가상머신에서PE부팅하여부팅관련작업을해야함 2018-11-09 (24).jpg

 

wimboot로연결된vhd가같이배포된경우-버추얼박스에vhd이용하여부팅하기-가상머신에서PE부팅하여부팅관련작업을해야함 2018-11-09 (25).jpg

 

에즈윈에 근무하시는 것 같네요? ^^

 

wimboot로연결된vhd가같이배포된경우-버추얼박스에vhd이용하여부팅하기-가상머신에서PE부팅하여부팅관련작업을해야함 2018-11-09 (26).jpg

 

부팅이 되는지가 궁금했기 때문에 인터넷만 실행하고 마쳤습니다.

 

이제는 실컴으로 해야 할 차례이군요. 실컴은 쉬울 겁니다. 여기까지 쓰고 글을 올립니다.

-------------------------

2018.11.09 금요일 오후 10:45

실컴으로 부팅하는 것을 요약하면 위에 가상머신에서 한 작업 2가지만 실컴에서 하면 됩니다.

실컴에서는 RSImageX 잘 작동하기 때문에 더 쉬울 겁니다

wimboot로연결된vhd가같이배포된경우-실컴에서부팅하기 - 가상머신에서 한 2가지 작업만 하면 됨 2018-11-09_222812.jpg

 

실컴에서는 별도로 vhd를 추가로 만들 필요는 없고

배포된 vhd를 연결하는 부분부터 시작하면 됩니다

 

실컴이든 가상이든지, 배포하신 분과는 다른 컴퓨터라서 wimboot 정보를 수정해야 합니다

wimboot로연결된vhd가같이배포된경우-실컴에서부팅하기 - 가상머신에서 한 2가지 작업만 하면 됨 2018-11-09_223107.jpg

 

dism 명령어로 하지 않고, RSImageX로 클릭만 하면 되니까 편합니다 ^^

 

wimboot로연결된vhd가같이배포된경우-실컴에서부팅하기 - 가상머신에서 한 2가지 작업만 하면 됨 2018-11-09_223220.jpg

실컴 역시 bcdboot 으로 부팅 파일을 만들었습니다

실컴은 UEFI 사용중이라서 UEFI 체크했습니다.

 

참고로 배포된 vhd가 gpt 형식이었습니다만, UEFI와 Bios 부팅 둘다 됩니다. 

위에 가상머신에서는 bios 방식으로 부팅했습니다

wimboot로연결된vhd가같이배포된경우-실컴에서부팅하기 - 가상머신에서 한 2가지 작업만 하면 됨 2018-11-09_223453.jpg

bootice.exe 으로는 좀 더 부팅 메뉴를 알아보기 쉽게 수정만 했습니다. 

 

wimboot로연결된vhd가같이배포된경우-실컴에서부팅하기 - 가상머신에서 한 2가지 작업만 하면 됨 2018-11-09_231327.jpg

 

실컴에 사진 찍을 일이 있을 때 아쉬워서 저렴한 카메라를 구했습니다 ㅎㅎ

 

wimboot로연결된vhd가같이배포된경우-실컴에서부팅하기 - 가상머신에서 한 2가지 작업만 하면 됨 2018-11-09_231405.jpg

 

wimboot로연결된vhd가같이배포된경우-실컴에서부팅하기 - 가상머신에서 한 2가지 작업만 하면 됨 2018-11-09_225139.png

 

wimboot로연결된vhd가같이배포된경우-실컴에서부팅하기 - 가상머신에서 한 2가지 작업만 하면 됨 2018-11-09_225944.png

 

드라이버가 자동으로 설치 될 때까지 기다린 다음에 스샷을 해서 조금 늦었습니다

설치 날짜는 제가 설치한 날짜가 아니라 배포하신 분이 윈도를 설치하신 날짜로 나오네요

 

wimboot로연결된vhd가같이배포된경우-실컴에서부팅하기 - 가상머신에서 한 2가지 작업만 하면 됨 2018-11-09_230138.png

 

wimboot로연결된vhd가같이배포된경우-실컴에서부팅하기 - 가상머신에서 한 2가지 작업만 하면 됨 2018-11-09_230325.png

 

부팅 테스트이기 때문에 역시 잠시 구경만 하고 하산했습니다.

-----------------------

2018.11.10 토요일 오후 12:22

중간에 가상머신 부분에 추가했습니다만, 가상 머신의 저용량 PE에서도 dism.exe 만 체크하면 RSImageX도 작동합니다.

RSImageX 버전 차이였습니다.

 

가상머신의 VHD 역할과 부팅 순서에 대해서는 댓글에 먼저 썼습니다. https://windowsforum.kr/10825455#comment_10826527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등록일
[공지] 사용기/설치기 이용안내 gooddew - - -
4771 윈 도 우| [실험] OS 업데이트하면 살이 쪄요 [6] 내꼬 1036 6 05-23
4770 소프트웨어| 짱꼴라 버전 PE 생성기 돌려봤습니다 [4] 오스 992 6 06-29
4769 기 타| SystemPE 실컴으로.. [6] 멋진거지 668 6 05-17
4768 기 타| Appetizer 테두리선은 투명하게 안되네요!!! [3] 왕초보 761 6 04-05
4767 기 타| 인터x되는 PE 실컴에서 부팅시 VGA 드라이버 자동 설치 [5] 멋진거지 663 6 04-26
4766 기 타| COLi**님 PE에서 모든 바로가기 파일을 저장하는 방식을 하... [1] 왕초보 365 6 03-10
4765 기 타| COLi**님 PE의 시작메뉴 Programs 폴더이름을 변경하여 보... [2] 왕초보 497 6 03-04
4764 윈 도 우| knm님의 22489.1000 PE 기본 부팅기 [10] parannara 767 6 10-31
4763 소프트웨어| TBIOnekeyBR네번째 사용기 2번째 [6] Kuhn 313 6 01-22
4762 소프트웨어| TBIOnekeyBR v3 - Very Good [13] 21퍼 711 6 01-20
4761 윈 도 우| -TBIOnekeyBR두번째 사용기 [7] 마또로 393 6 01-18
4760 소프트웨어| [해결 됨]SN-14 사용기 2 [14] 오스 887 6 01-10
4759 기 타| Knm님의 SnapshotOnekeyBR_Rev.14 실컴에서 완벽한 백업,복... [7] 안정 625 6 01-10
4758 기 타| 마운트된 ESP 파티션 접근 방법들입니다.. [5] 왕초보 548 6 01-06
4757 소프트웨어| knm님 sbr 14번째 & tbwinpe 함께 테스트기 [11] 오스 471 6 01-09
4756 기 타| 윈도우 파티션 검색에 볼륨명을 활용하여 보았습니다 [3] 왕초보 465 6 12-21
4755 기 타| COLi**님 PE에서 여러개 이미지 렌덤 적용을 pecmd 로 하여... [6] 왕초보 781 6 02-24
4754 윈 도 우| 꼬저님 윈도우를 설치를 하여보았습니다..너무 감사합니다 [1] 왕초보 997 6 12-12
4753 윈 도 우| 수정[통나무 아재 onekeyBR 열번째 사용기] [9] 간장종지646 895 6 12-05
4752 윈 도 우| 마이크로소프트 store 삭제시 재설치 코드 [2] 후크맨 1243 6 11-18
XE1.11.6 Layout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