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 사용기

기 타 러시아 RS4 x86 CMDPE를 한글화 하여 보았습니다.

2018.05.02 12:34

왕초보 조회:1438 추천:15

저의 경우 지인분들이 연세가 있으시고 초보분이십니다..처음 pe를 소개를 해드렸을때..당연히 너무나 신기해하셔서..

저도 그랬기 때문에 마음알죠...이것저것 클릭을 해보시게 됩니다..그러다보면 실수로 사고가 생길때가 있습니다

이런 사정으로..한때..flower3님께서 만들어 주신 cmdpe로..열심히 백업,복구시스템을 만들어 드린적이 있습니다

사무실의 경우..딱! 백업 복구프로그램과 chkdisk 프로그램만 넣은 cmdpe를 사용해도 되어서..한참..열심히 했었습니다

많이 베풀어 주셨던 flower3님께 감사드립니다..

 

 

러시아 pe지만 cmdpe를 만나게 되니까..그냥 부팅만 해보고 끌낼수가 없어서..엉성하지만 한글화를 하여 보았습니다

사무실용으로 파티션세이빙만 넣을경우..사용해도 될것 같습니다..32bit인것이 많이 아쉽기는 합니다

 

 

원본에서도 그런것인지..제가 한글화를 해서 그런것인지..cmd를 실행하면..메모리가 부족하다고 나옵니다

pe에 fbwf.cfg 파일도 없고..X: 드라이브 용량이 512MB여서..2GB용 fbwf.cfg를 추가하였지만..X: 드라이브가 1GB까지만 되네요

레지에서 어떤 부분을 추가로 수정을 해주여야 하는것 같습니다만...이부분은..처음이어서..자료가 찾기가 쉽지 않습니다

혹시..X; 드라이브를 2GB로 늘리면..cmd 실행시 램부족이라고 나오지 않을까요..

도움을 부탁드립니다

 

 

아래 사용기는..초보가..어설프게 러시아 cmdpe를 한글화를 하여본것입니다..캡처프로그램 관련한 문제점도 있습니다.

캡처를 몇번하고 나면....런처가 멈춰버립니다..켭쳐 프로그램을 중지하면 다시 작동을 하고요..메모리가 부족해서인지..

캡쳐 프로그램하고 뭔가 충돌이 있나 봅니다..그림판이 안되어서..사용한것인데..그림판관련 dll을 추가하는것이 안전할것 같기도 합니다

 

 

아쉽게..항상 애용하던 레인미터도 작동을 하지 않습니다..있다가 없으니까 허전하던데요

초보가..cmdpe가 있어서..이렇게 사용하려고 하나 보다 하여 주십시요

 

 

1. boot.wim 용량입니다..포함된 프로그램이 몇개 없습니다..

1.png

 

2. 포함된 프로그램들입니다..토털커맨더나 캡쳐프로그램은..사무실등에 사용하면 저작권 문제가 있어서 실제 사용시에는 빼야죠..

  이렇게 boot.wim안에 기본으로 파티션세이빙이 들어가 있습니다..다른 백업 프로그램 사용시에는..파티션세이빙 폴더등을 삭제하고 CMDPEx86.wim를 마운트 해서 적용하는 방식을 사용하였습니다..boot.wim을 수정하지 않고 프로그램을 바꾸는 방식을 사용하였습니다.

2.png

 

3. 러시아 TC는..자료실에서..좋은신 분이 올려주신 한글 TC에서..한글파일을 가져왔습니다..TC 홈페이지에는 한글 파일은 이름은 있지만 다운링크는 없던데요..한글파일 감사합니다.

3.png

 

4. CMDPEx86.wim 파일을 X: 드라이브에 압축해제 할때 사용하려고 7z을 넣었습니다..

4.png

 

5. pecmd.exe를 사용하기 위해서 원래 없던것을 추가를 하였습니다..

   레지파일 등록은..flower3님 작품에 있는것을..복사해 왔습니다..덕분에 편합니다..flower3님 감사합니다..

5.png

 

6. 한글화 관련해서.굴림폰트를 짝퉁 맑은 고딕으로 했더니 "\" 이 표시만 엄청 크게 표시가 되어서..하이이잌님께서 자료실에 소개를 하여주신 짝퉁 굴림 폰트를 사용하였습니다....덕분에.."\"가 잘 표시가 되고 있습니다.. 하이이잌님 감사합니다..

6.png

 

7. 내장된 파티션세이빙이 아니 다른 백업프로그램을 사용하고 싶은 경우 CMDPEx86.wim에 추가를 해서 Backup폴더에 넣으면 됩니다

  이번에는 ini파일을 로드하는 방식이 아닌..pecmd.ini에서 각 드라이브에서 CMDPEx86.wim 파일을 검색하는 방식을 사용해서..CMDPEx86.wim 옆에 ini 파일이 없이 wim파일만 있습니다..

7.png

 

8. CMDPEx86.wim 에서 추가한 백업 파일을 사용하기 위해서..pecmd.ini에서는 AutoStart폴더의 AuotStart.exe를 실행하게 되어 있습니다..

8.png

 

9. pe로 부팅을 하였습니다.. cmdpe여서..백업 프로그램이 자동으로 실행하게 하였습니다..

9.png

 

10. 러시아 언어파일인 ini를..구글에서 번역해서 한것입니다..좀..엉성합니다.

10.png

 

11. 속성에서..등록된것들을 수정할수 있습니다.삭제등이 안되어서..xml을 수동을 수정하기도 하였습니다..한글로 보인다는것에 만족을 하고 있습니다 좋은 런처들이 많죠..저야..검정색 배경과 어울리고...개인적으로도 마음에 들어서..활용을 하여 보았습니다..

11.png

 

12. 기존에 있는 메뉴를 이런식으로 수정을 해가면서 등록을 한것입니다. 아이콘도 따로 지정할수 있습니다..

12.png

 

13. TC가 8.52버전이네요..저야 사용하지 않은것입니다..사용기용으로 넣어 놓았습니다..

13.png

 

14. 여기에 있는 러시아 ini를 보고 구글에서 번역하여서 수정을 하였습니다..

14.png

 

15. 처음..한글화한것이 보여서..이것을 추가를 하여 보았습니다..

15.png

 

16. 체크디스크에서 cmd를 실행하면..메모리 부족이라는 글이 보이지 않습니다.

16.png

 

17. 캡쳐 사진이 다르죠...WinSnap 캡쳐를 몇번하면..멈춤 현상이 있어서 WinSnap를 종료후 다시 실행하고 하면서 캡쳐를 한것입니다..

   WinSnap하고 뭔가 충돌이 있는것 같죠..

17.png

18.  x86이어서..램 사용률은 적게 나옵니다..

18.png

 

19. 런처에서 cmd를 실행한 모습입니다.. 메모리 리소스가 부족하다고 나옵니다.. 아니..켑프프로그램에서 저것은 처음보네요..갑자기 나타났습니다.

19.png

 

20. 원래 fbwf.cfg 파일이 없고 X: 드라이브 용량이 512MB였습니다.. 제가 2GB용을 추가를 한것입니다..

20.png

 

21. 2GB용을 추가를 하였는데..X: 드라이브 용량이 1GB입니다..레지등에서도 수정해야 할 부분이 있는것 같습니다.. 혹시 이와 관련된 내용을 자세히 알고 계신 고수님이 계시면 도움을 부탁드립니다..

21.png

22. 백업을 진행하여 보았습니다..하필이면 용량이 큰 win7이네요..

22.png

23. 다른 백업 프로그램을 사용하고 싶으면..Backup폴더에 CMDPEx86.wim 파일을 추가하면 됩니다..여기에 수정된 런처도 포함이 되어 있습니다

23.png

 

24. 위에서 추가를 하고 재부팅을 하였습니다...백업 프로그램이 IFW로 바뀌어 자동 실행이 되었습니다. boot.wim을 수정하는것이 귀찮아서..이런 방식을 활용하여 보았습니다..

24.png

 

25. 백업 안내 메세지입니다..

25.png

 

26. 일단은 백업은 잘 진행이 되었습니다..

26.png

 

27. 다행히 복원도 잘 진행이 되었습니다...

27.png

 

28. PE 버전입니다..

28.png

 

29. 마무리

옛날에님께서..win10 RS4 cmdpe를 소개하여 주신 덕분에 오랜만에..cmdpe로 백업복구 시스템을 구축해볼수 있게 되었습니다

RS4 신상이죠..좋은 것을 소개를 하여주신 옛날에님께 감사드립니다

 

사용기를 보시면..많은 고수님들께서 가르쳐 주시더니..자료실등에..소개를 하여 주신것들이 활용이 되었습니다..

윈포에서..이렇게 좋은것을 아낌없이 베풀어 주시는분들이 많으시죠..이 자리를 빌어 감사인사 올립니다.

항상 좋은일만 있으세요

 

초보가 좋은것이 있어서 어설프게 한글화를 하여본 사용기였습니다

 

즐거운 점심시간 되시길 바랍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등록일
[공지] 사용기/설치기 이용안내 gooddew - - -
4179 윈 도 우| 요즘 윈10 Pro LTSB가 유행인가요? [23] suk 7319 15 08-09
4178 윈 도 우| Windows 10 Pro K LTSB의 방향 [29] 서비스 6643 15 08-13
4177 윈 도 우| 윈도우 통합 작업 테스트 [29] 굿듀님스토 2378 15 06-07
4176 윈 도 우| (파일수정)큰나무님의 돌아온 김상사 Multiboot 쉽게하기... [34] NaDa 2522 15 01-12
4175 기 타| <종료>win10x64 깡통 pe [40] 연두소리 3687 15 11-21
4174 윈 도 우| ♠ Win10_X64_PE_COLite_V5 사용기 강력 추천 입니다 [45] 심씨 3897 15 04-21
4173 소프트웨어| 78RePack 신버전 [21] 집앞의_큰 1959 15 02-17
4172 윈 도 우| 에어로 Windows 10 Ent K TH2 x64 10586.164 설치 체험기 [70] 선우 1890 15 03-15
4171 기 타| 8pe x86 으로 인터넷 잡기 테스트 [16] suk 1281 15 05-30
4170 기 타| "철이"_Win10PE_RS2_x86x64_뼈대 [31] 옛날에 2443 15 06-10
4169 기 타| [추가] Win10XPE5.0.1 + Perfect WinNTSetup v394 + More [35] 파인힐 1851 15 04-23
4168 윈 도 우| RS4 네트워크 공유... [27] 디폴트 4047 15 06-15
4167 기 타| 윈클론(원클릭) + Grub 복구시스템 사용기입니다.. [15] 왕초보 2273 15 06-27
4166 기 타| 디폴*님 윈클론 6.3.0.2 (x86) 사용기입니다.. 감사합니다.. [12] 왕초보 1751 15 06-26
4165 윈 도 우| 닷넷3.5 설치하기 - 윈도ISO 탑재 필요.bat 테스트 [22] suk 2595 15 08-27
4164 기 타| RescueZilla-2.3.1-64bit [14] 첨임다 1076 15 01-03
4163 기 타| [종료] (추가완료) ImageX 백업,복구 GUI ver6.1 입니다..... [51] 왕초보 1950 15 09-29
4162 소프트웨어| NTBoot + Grub4dos 복구 테스트 [12] suk 1488 15 07-01
4161 기 타| install.esd 파일 install.wim 파일 변환 [19] adda 2467 15 10-25
4160 하드웨어| 바이오스 OEM LOGO 변경하기 ( MSI ) [15] gooddew 3305 15 04-19
XE1.11.6 Layout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