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 사용기

기 타 (또 추가) 선*님 작품을 초보식으로 Admin 부팅을 하여 보았습니다

2018.04.28 00:13

왕초보 조회:676 추천:11

선*님께서..바쁘신 와중에서...RS4로 작업하신 멋진 작품을 선물로 주셨습니다...

멋진 작품을 선물로 주신..선*님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좋은일만 있으시길 바랍니다.

 

저야 단순히 백업,복구에 주목적이어서 다양한 기능을 갖춘 PE에 관심을 가지지 못하고 있었습니다..

이 작품이 탄생하기까지 많은 고수님들이 잠못이루시는 밤을 보내신것을 보았었습니다...윈포의 모든 지식이 담긴 작품이어서..

더 소중하게 늦겨집니다

 

선*님께서 소개를 하여 주실때 admin으로 바로 부팅하는것에 대하여 말씀을 하셔서 초보식으로 한번 하여보았습니다

RS3 admin pe일때에 선택할수 있는 cmd창이 있었죠..이때하고는 레지가 반대로 되어 있네요...

 

이번에는 system으로 부팅후 admin으로 변경을 하게 되어 있어서...처음 시작하는 ini가 pecmd.ini입니다..

RS3일때는..이 pecmd.ini가 존재했지만..바로 admin으로 부팅을 하면서..필요가 없는 ini였습니다.

 

선*님 작품에서 system.ini로 부팅을 하면서..여기에서 바로가기등이 설정이 되고 있습니다..이런 설정을 다 무시하고...admin으로만

부팅되는것만 확인을 하였습니다..

pecmd.ini 설정은 복사해서..추가하면 바로가기등을 잘 될거 같습니다..

 

admin으로 바로 부팅하는것은 간단합니다... SwitchToAdmin.ini 을 pecmd.ini로 이름을 바꾸시고 부팅을 하시면..바로 admin으로 부팅이

됩니다..

 

관련 사용기는..RS3일때 많이 쓴것으로 알고 있습니다..단지 그때와 다른것은..RS3에서는 레지가.. SwitchToAdmin.ini관련 으로 되어 있고

지금은..레지가 pecmd.ini로 되어 있는 차이뿐입니다..그래서 그냥  SwitchToAdmin.ini를 pecmd.ini로 바뀌면...맨 처음 로드 되는것이 

pecmd.ini 로 이름을 바뀐 SwitchToAdmin.ini 가 됩니다..

 

원래 있던...,pecmd.ini에서 자동실행 프로그램이나 바로가기등은 SwitchToAdminLogon.ini 으로 옮기면..바로가기등이 정상적으로 될것 같습니다

 

초보식으로 이렇게 해도 admin으로 부팅이 되는구나 하는 정도로만 참고하여 주십시요

기능적인 부분들은..확인해 보지는 않았습니다

 

아래는 SwitchToAdmin.ini 에 있는 내용입니다

REGI HKLM\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RunOnce\Init=PECMD.EXE Main %SystemRoot%\System32\SwitchToAdminLogon.ini

 

레지에 등록되는것에...SwitchToAdminLogon.ini가 Main으로 되어 있습니다. 

 

설정을 수정하기 불편하시다면 테스트 삼아서...SwitchToAdminLogon.ini에서 원본 pecmd.ini를 로드해보시면..바로가기등은 적용이 될거 같기도 합니다.. 저도 사용기를 쓰고 한번 해봐야겠습니다..

바로가기등 설정등 변경해할 작업들이 괘 있을것 같습니다..

 

 

1. pe로 부팅한 모습입니다...배경화면이 다르네요..admin입니다...바로가기가 제대로 연결이 되지 않은것이 있습니다.. admin관련 ini에 시작관련 레지 실행 부분이 없나 봅니다 

1.png

 

2. 기본 프로그램들이 보입니다..원본 pecmd.ini에서 이부분을 정리하는 내용이 있을것 같습니다.

2.png

 

3. pecmd.ini가 이름을 바뀐것입니다...

3.png

 

4. 원본에 있는 내용들을..SwitchToAdminLogon.ini로 잘 옮겨야  할것 같습니다

4.png

 

5. IE도 실행을 하여 보았습니다..

5.png

 

6. 마무리

초보식으로 admin으로 부팅이 되는지 확인만 하여 본것입니다..나머지 설정등은..조정을 해야할것 같습니다..

이렇게 해도 admin으로 부팅은 되는구나 하는 정도로 참고만 하여 주십시요

 

좋은 꿈 꾸세요..

 

---------------------------------------------------------------------------------------------------

 

저도 궁금해서...원본 pecmd.ini를 pecmdOld.ini로 해서 로드를 시켜 보았습니다

 

1. admin 글자가 가렸습니다...pecmd.ini원본의 것이 적용되 되었나봅니다  . 저 시작메뉴 레지는 2개가 있어서..확인을 해봐야 할것 같습니다

 system으로 부팅을 해보지를 않고 바로 admin으로만 부팅을 해보아서..확인을 해보야할것 같습니다.

7.png

 

2. 영어 폴더중에..모든 프로그램이 들어가 있네요...

8.png

 

3. 테스트로 SwitchToAdminLogon.ini에서..pecmdOld.ini를 시작시에 로드하게 하였습니다.

9.png

 

4. SwitchToAdminLogon.ini 에서 pecmd.exe Main을 SwitchToAdminLogon.ini 로 바꿀필요없이..부팅시에 pecmd.ini가 Main으로 있는것을 그대로 두고 pecmd.ini SwitchToAdmin.ini, SwitchToAdminLogon.ini, 3개 파일을 pecmd.ini로 정리를 하는것이 더 좋은것 같은 생각입니다

테스트용으로 이렇게 하여 보았습니다.

 

pecmd.exe로 모았더니..좀 이상하게 되네요..SwitchToAdmin.ini를 pecmd.ini로 수정하고..원본 pecmd.ini내용은..SwitchToAdminLogon.ini 쪽으로 옮기는 방법으로 해야할것 같습니다..

10.png

 

5. 이제서야 원본으로 부팅을 해보게 되었습니다..죄송합니다. 시작메뉴에 2개가 등록이 되어 있네요.

a1.png

 

6. 모든 프로그램에도 가지런히 정리가 되어 있습니다...pecmdOld.ini로 수정해서 로드했을때하고 다른 모습입니다..

a2.png

 

7. admin으로 전환을 하여 보았습니다. Volume2가 2번 실행된 모습입니다...ini에서 한번더 실행을 시켜서 모습이 보이는것인가 봅니다

a3.png

 

8. 모든 프로그램에도 잘 정리가 되어 있네요...

a4.png

 

---------------------------------------------------------------------------------------------------------

 

원래의 pecmd.ini는 삭제를 하고 SwitchToAdmin.ini 를 pecmd.ini로 변경을 하였습니다

삭제한 pecmd.ini내용은...SwitchToAdminLogon.ini에 추가를 하였습니다

 

1. 시작메뉴에 아이콘이 안보였던것을..레지는 등록이 되었지만..아이콘이 admin계정에 없어서 였습니다..그래서 SwitchToAdminLogon.ini에서..바록기 2개를 만들도록 하였습니다.

StartIsBack는..탐색기를 재시작 하니까 실행된 reg가 적용이 되던데요..

b1.png

 

2. 여기는..따로 정리를 해야할것 같습니다.

b2.png

 

3. SwitchToAdminLogon.ini에 추가한 내용입니다..

b3.png

 

4. 탐색기를 재시작하면서 레지가 적용된것이 작동을 하는지..아래와 같은..영어가 보입니다..pe는 너무 어렵죠...

b4.png

 

----------------------------------------------------------------------------------------------------------

 

StartIsBack.reg를 pe부팅시에 실행하는것이 문제가 되는것 같아서..아애..DEFAULT에 하이브로 등록을 하여 보았습니다..잘 적용이 되네요

탐색기 재시작을 할 필요가 없어서.. 위의 사진에서처럼 영어가 나오지 않습니다...StartIsBack.reg로 만들어서 등록하는것이 문제였나 봅니다

 

1. StartIsBack.reg를 하이브로 등록을 해서..탐색기 재실행을 하지 않아도 StartIsBack가 잘 적용이 되었습니다.그리고...시작메뉴도..탐색기 재시작 하지 않았는데도..잘 보여서 탐색기를 재시작할 필요가 없게 되었습니다.

c1.png

 

2. 이 폴더에 StartIsBack 관련 파일 2개를 삭제를 하였습니다..

c2.png

 

3. ini에서도 탐색기 재시작이 없습니다...모든 프로그램의 바로가기를 정리를 하기는 하여야 깔끔해질것 같습니다.

c3.png

 

 

//////////////////////////////////////////////////////////////////////////////////////////////////////////////////////////////////////////////////////

또 추가한 부분입니다

 

부팅이 admin을 바뀌면서..일부 설정도 바뀌어야 하는데. 간단하지만....졸러서..넘어갔던 부분입니다..

모든 프로그램에서..systemd에서는 안보이던 영어폴더가 생긴것 관련입니다

 

 

1. 모든 프로그램에서..system에서는 안보이던 폴더들이 생겼였습니다..위의 사진등에 보시면..있습니다..이제는 이것이 안보입니다..

d1.png

 

2. 빨간네모에서..admin용으로 수정을 하여 주시면 되십니다.system용일때것이어서..경로가 조금 다릅니다.

d2.png

 

3. SwitchToAdminLogon.ini 를 pecmd.ini로 바꾸었기 때문에 log파일이름도 변경을 하였습니다..SwitchToAdminLogon.ini에서..원본 pecmd.ini 내용을 추가하였기 때문에 확인을 위해서..SwitchToAdminLogon.log 파일을 만들도록 추가를 하였습니다

d3.png

 

4. SwitchToAdminLogon.log 파일에 보면..Pint.ini가 없다고 나옵니다..저도..pecmd.ini에 명령이 있는데..이 파일이 없어서..이상하다 했습니다

 필요없는 ini를 로드하고 있습니다..

 

 ini 삭제하는것도...앞에서 이미 삭제를 해버려서..3,4번째는 파일이 없다고 나옴니다..필요없은 명령인것 같습니다

 중국어 설명도 있네요

d4.png

 

5. VGA 관련해서 설치를 하려고 하지만..파일들이 없나 봅니다..필요없는 명령인것 같습니다.

d5.png

 

6. 맨 아래에...실행되지 않은 명령들이 있습니다..

d6.png

 

7. 이미 삭제가 된 파일을 삭제하는 명령들을 취소를  하였습니다.

d7.png

 

8. 맨 아래에 [PETOOLS] 라는 처음보는것이 있습니다..pecmd.ini에서는 사용하지 않은것 같습니다

  그리고 시작메뉴에 아이콘을 여기에서 만듭니다...작동을 하지 않은것이어서..새로 이 아이콘 만드는것을 추가를 했기 때문에 필요가 없는것입니다

 크롬관련도 있습니다.. [PETOOLS]아래에 있는것은 작동하지 않은것이어서...모두 취소를 하였습니다

 필요한 아이콘들은 새로 추가를 하여야 할것 같습니다..

d8.png

 

9. 서비스 관련은..저도 처음보는것이어서...읽지전용이라는 말의 뜻을 잘 모르겠습니다..저도 궁금합니다..

   pecmd.ini에서 이미 실행된 서비스들이 있습니다..이것을 중복 되어서..새로 시작할 필요가 없을것 같습니다..부팅속도에 영향이 있나요..

d9.png

 

10. 이것은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입니다..pe를 만들고 셋팅하다는 자체가 엄청난 작업일것입니다..그래서 이렇게 작은 부분은 놓칠수도 있습니다..

  pe부팅때 나오는 메세지입니다..한글 pe인데..이왕이면...한글로 보이는것이 좋을것 같기도 합니다..작은 부분이지만..원래 작은 부분이 더 신경이 쓰이는 것이죠..

 

 pecmd.ini에도 영어 메세지가 있기는 합니다.

 pecmd.ini나..SwitchToAdminLogon.ini 에서 실제 실행된 않는것들을 찾아서 // 로 주석처러하는것보다는...과감히 삭제를 해서...

 pecmd.ini나....SwitchToAdminLogon.ini가 잘 정리가 된다면...이 ini를 보고 따라하시면서 배우시는 초보분들께는..큰 도움이 될것 같습니다

 pe 전체에 비해서.작은 부분입니다만...고수님들의 작품을 보면..ini부분이 잘 정리가 되어 있어서..공부하는데..도움이 됩니다..

 

 좋은 작품을 만들어 주신다고 고생을 하셨는데...너무 작은 부분까지 무리하게 욕심을 내어서 죄송합니다...

d10.png

 

////////////////////////////////////////////////////////////////////////////////////////////////////////////////////////////////////////////////////////

 

스크린샷의 OldMaC님 글에..flower3님께서 올려주신 파일이 있습니다.. 

이 안에는 pecmd.ini가 있습니다... 공부하시는 분들께는 참고가 되실것 같아서..일부 내용을 복사해 왔습니다..

 

https://windowsforum.kr/gallery/10056041

 

 

Main %WinDir%\System32\Pecmd.ini 이 보입니다..pecmd.ini로 레지 자체를 설정을 하셨습니다. 

SwitchToAdminLogon.ini 파일이 필요없이..pecmd.ini에 모두 정리를 하신것 같습니다..

 

``````````````````````````````````````````````````````````````AdminSwitch````````````````````````````````````````````````````````````
EXEC !=Startnet.exe -wg WORKGROUP
``EXEC !=Secedit.exe /Configure /db %WinDir%\Security\Database\Unattend.sdb /cfg %WinDir%\Security\Templates\Unattend.inf /log %WinDir%\Security\Logs\Unattend.log
REGI HKLM\SOFTWARE\Microsoft\Windows NT\CurrentVersion\Winlogon\AutoAdminLogon=#1
REGI HKLM\SOFTWARE\Microsoft\Windows NT\CurrentVersion\Winlogon\DefaultPassword=""
REGI HKLM\SOFTWARE\Microsoft\Windows NT\CurrentVersion\Winlogon\DefaultUserName=Administrator
REGI HKLM\SOFTWARE\Microsoft\Windows NT\CurrentVersion\Winlogon\EnableFirstLogonAnimation=#0
REGI HKLM\SOFTWARE\Microsoft\Windows NT\CurrentVersion\Winlogon\SpecialAccounts\UserList\Guest=#0
REGI HKLM\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RunOnce\AdminLogon=Pecmd.exe Main %WinDir%\System32\Pecmd.ini AdminLogon
EXEC !=SC START Gpsvc
EXEC !=SC START ProfSvc
EXEC !=SC START Seclogon
``EXEC !=SC START ShellHWDetection
EXEC !Tsdiscon.exe
`````````````````````````````````````````````````````````````````````````````````````````````````````````````````````````````````````
_END
/////////////////////////////////////////////////////////////////////////////////////////////////////////////////////////////////////
_SUB AdminLogon

PCIP ,,,,0,0
`````````````````````````````````````````````````````````AdminLogon```````````````````````````````````````````````````````````````````
REGI HKCU\AppEvents\Schemes\Apps\.Default\WindowsLogon\.Current\=
REGI HKLM\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Policies\System\EnableLUA=#1
REGI HKLM\SOFTWARE\Microsoft\Windows NT\CurrentVersion\ProfileList\S-1-5-18\ProfileImagePath=X:\Users\Administrator
REGI HKLM\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RunOnce\AdminLogon=Pecmd.exe Main %WinDir%\System32\Pecmd.ini AdminLogin
`````````````````````````````````````````````````````````````````````````````````````````````````````````````````````````````````````
 

 

win10pe.cfg 대신에..이제는..ini에...핀툴관련 내용을 넣은것이...새로운 시도인가 봅니다....아래와 같은 내용이 있습니다

 

_SUB PinTool

[Association]
cfg,%WinDir%\System32\Notepad.exe
rtf,%SystemDrive%Program Files\Windows NT\Accessories\Wordpad.exe
chm,%WinDir%\hh.exe

[PINTOOL]
StartMenu0=%Programs%\Windows 탐색기.lnk||||||||
StartMenu1=%WinDir%\Explorer.exe||||||||
StartMenu2=%WinDir%\System32\Cmd.exe||||||||
StartMenu3=%WinDir%\Regedit.exe||||||||
StartMenu4=%WinDir%\System32\Notepad.exe||||||||
StartMenu5=%WinDir%\System32\Mspaint.exe||||||||
StartMenu6=%Programs%\Administrative Tools\디스크 관리.lnk||||||||
TaskBar0=%Programs%\Windows 탐색기.lnk||||||||
TaskBar1=%ProgramFiles%\Internet Explorer\iexplore.exe||||||||
TaskBar2=%ProgramFiles%\PENetwork\PENetwork.exe||||||||
TaskBar3=%WinDir%\System32\SnippingTool.exe||||||||
TaskBar4=%WinDir%\System32\Osk.exe||||||||

_END
/////////////////////////////////////////////////////////////////////////////////////////////////////////////////////////////////////
 

위의 내용을 실행하기 위해서..아래와 같은 명령어가 있네요..

 

IFEX %WinDir%\System32\PinTool.exe,EXEC =%WinDir%\System32\PinTool.exe -Debug %WinDir%\System32\Pecmd.ini

 

 

win10pe.cfg 파일을 줄이고 관리를 한곳에서 하기 위해서 이렇게 모은것 같습니다..좋은 아이디어 같습니다.

좀더 자세한 내용은..스크린샷의 OldMaC님 댓글에서 파일을 다운 받으셔서 살펴보시면 될것 같습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등록일
[공지] 사용기/설치기 이용안내 gooddew - - -
10186 기 타| 하이이잌님이 소개 -cmd 글씨 칼라 지정 프로그램 활용기입... [10] 왕초보 670 9 04-25
10185 소프트웨어| 포터블 런처 간단히 만들어 보기 [6] 내꼬 670 15 02-27
10184 소프트웨어| 유튜브 멀티 프로그램 자막 제작소 기능추가 배포 X [7] 굿듀님스토 670 8 06-30
10183 기 타| IFW BR Single v4.0 - PE 1회 부팅 기능을 추가하였습니다. [9] 왕초보 670 35 05-20
10182 소프트웨어| BinToStr V0.5 PE 소스 BinaryTOstring 코드 변환 [24] 입니다 671 15 03-02
10181 기 타| [큰*무님] 늘려주신 살림살이 중 -실컴용 IP 입력툴- 실행기 [9] Compuser 671 8 09-13
10180 기 타| TBwinpe 때문에 기존 복구시스템 설정을 새로하여 보았습니다 [13] 왕초보 671 11 01-11
10179 기 타| 지후빠님 wimlib-imagex B&R ahk 전체/차등백업 간단한... [8] 왕초보 671 9 11-16
10178 기 타| 21-OKRboot PE 체험 부팅 감사 스샷 입니다. [42] SHIELD 671 50 10-18
10177 기 타| System PE에서 자격증명을 GUI로 하여 보았습니다 [15] 왕초보 671 22 10-03
10176 소프트웨어| WIM 정보 v0920 - Delete 기능 추가. 코드 정리. 오류 확인... [13] 입니다 671 40 03-12
10175 윈 도 우| 도광양회님_Win 7 Pro_USB 지원 그림표 [8] 첨임다 672 2 09-27
10174 소프트웨어| rsimagex 로 파티션작업과 윈도우설치-동영상 [8] 카멜 672 12 09-05
10173 윈 도 우| Windows 11 (22622.440) 2022.07.29 베타 채널 [11] suk 672 14 07-29
10172 기 타| 저도 PE에서 PE 1회 부팅을 하여 보았습니다.. [10] 왕초보 672 21 07-18
10171 윈 도 우| Windows 11, 23H2 베타 프리뷰 빌드 22631.2048 업데이트 설치 [4] 슘당이 672 8 07-16
10170 윈 도 우| 사용기 - [sergei Admin PE] 러최신 버전 TEST 최종 [15] 상발이 672 16 10-04
10169 소프트웨어| KNM님 OKRPE_LINK 늦은 사용기, 3가지 용량비교 [7] 지후빠 673 10 10-09
10168 기 타| 한글 Sergei Admin PE - 부팅 과정을 개선(?)하여 보았습니다 [8] 왕초보 673 17 09-07
10167 윈 도 우| 윈도10 레드스톤5 인사이더 프리뷰 17686 빌드 나왔네요 [9] suk 674 12 06-07
XE1.11.6 Layout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