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좌 / 팁

윈 도 우 왕초보를 위한 자동 복구 고스트 PE - USB [1부]

2016.02.13 19:08

gooddew 조회:10852 추천:14

이번 강좌에서는 USB 메모리를 이용한 시스템 자동 복구 하는 방법을 배워 보겠습니다.


40.jpg


사용된 원본 윈도우 8.1 설치 boot.wim 이미지 입니다.


요즘은 usb 3.x 시대 라서 WIN PE 는 윈도우 7 보다는 윈도우 8 이상으로 제작하는것을 권장 드립니다.




위 그림이 완성된 USB 부팅 복구 화면입니다.


초보분들은 위 메뉴에서 1번 메뉴를 이용해서 시스템 복구를 쉽게 할수 있으며


시스템의 고스트 이미지를 제작을 위해서 2번 고스트 수동 메뉴도 넣었습니다.



개인적인 입장에서는 복원 이미지 경우 시간이 지나면 업데이트 양과 시간이 오래 걸려서 추천하지 않는데


초보분들은 시스템에 문제가 생길경우에 스스로 처리를 못하기 때문에 쉽게 복구할수 위와 같은 방법 선호 하십니다.


그런 분들울 위해서 만들었습니다.




* 준비물


① 고스트 이미지 : 사용자 시스템에 맞게 제작된 고스트 이미지 


② 수정된 Boot.wim : https://www.datafilehost.com/d/896cc1c2


③ Gimagex.exe : 하단 첨부파일에서 다운


④ USB 메모리 : 메모리 용량 = [ 백업된 고스트 이미지 ] + 1.5Gb 


                       만약 백업된 고스트 이미지 하드에 저장을 원한다면 USB 메모리 용랑은 1.5Gb 기가 이상이면 됩니다. )



 

이제 USB 용 고스트 PE 를 제작하는것은 알아 보겠습니다.


USB는 NTFS 로 포맷을 해주세요. 요즘은 업데이트 통합만 해도 4기가 이상 되기 때문에 NTFS 형식은 거의 필수입니다.


위에서 준비한 ① ~ ③ 파일을 USB에 복사해 넣으세요.



41.jpg


위 그림은 USB 메모리에 복사해 놓은 상태입니다. 여기 강좌에서는 USB 메모리 드라이브가 E: 드라이브 되어 있네요.


고스트 백업 이미지는 USB 드라이브의 루트(여기서는 E:\) 경로에 있어야 되고, 파일명은 반듯이 backup.gho 로 해주셔야 합니다.



Gimagex.exe 를 실행하세요


42.jpg


이미지 적용 탭 메뉴를 선택해서


이미지는 USB에 BOOT.WIM 파일을 선택하주시고 적용할 위치는 USB 드라이브 선택해주세요. 여기서는 E 드라이브 입니다.


이미지 풀기 버튼을 누릅니다.




43.jpg


이미지가 풀립니다.


58.jpg


이미지가 다 풀인후 USB 보면 파일 및 폴더가 추가 되었습니다.



BOOTICE.EXE 를 실행합니다.


45.jpg



디스크 탭 메뉴안에 대상 드라이브(여기서는 E:)는 USB 드라이브를 선택하고 MBR 작업 버튼을 클릭 합니다.



46.jpg


윈도우 NT5.X/6.X 의 MBR 을 선택하고 설치/구성을 진행하세요




47.jpg


WINDOWS NT 6.X MBR 을 선택합니다.



57.jpg


PBE 작업을 선택합니다.




48.jpg


대상 파티션을 USB 드라이브를 선택하고 BOOTMBR 부티 레코드를 선택합니다.


설치/구성을 선택합니다.


49.jpg


확인




50.jpg


파티션 관리를 선택합니다.



51.jpg


활성이 안되있으면 활성을 해줍니다. 활성이 되면 상단에 A 가 표시가 됩니다.



메인 화면에서 BCD 탭메뉴로 들어갑니다.


52.jpg


다른 BCD 파일 항목을 선택하세요



53.jpg


USB 드라이브의 /BOOT/BCD 파일을 선택하고 쉬운 모드로 들어 갑니다



54.jpg



유형 : 파티션


디스크 : USB 드라이브 선택


파티션 : USB 파티션 선택


부팅 파일 \WINDOWS\SYSTEM32\BOOT\ 이고 (기본값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확인만 하면 됨)

 

또는 그 항목에 생략을 원하다면  \WINDOWS\SYSTEM32\BOOT\WINLOAD.EXE 파일을 \WINDOWS 폴더 안에 넣습니다.


설정이 완료 됬으면 현재 시스템을 저장 버튼을 눌러서 저장합니다.



이렇게 해서 고스트 PE는 제작이 완료 되었습니다.



이 고스트 PE를 자동이기 때문에 시스템에 맞는 설정 파일 수정 작업을 해야 됩니다.


PE 구성 요소가 USB 에 모두 풀어져 있기 때문에 초보 분들도 쉽게 수정 할수 있습니다.


탐색기는 열어서 USB 드라이브 안에 E:\Windows\System32 폴더로 이동합니다.


GHOST.CMD 라는 파일을 메모장으로 열으세요


59.jpg



우리가 주목 할부분은 빨간색 부분입니다.


첫번째 수정할 부분입니다.


파티션 분활 상황에 따라서 diskpart.txt 내용을 수정 하세요. 


① 윈도우가 설치될 하드 디스크안에 하나의 파티션으로 사용할경우


select disk 0
clean
create partition primary
format fs=ntfs quick
active
assign letter=c

exit



② 윈도우가 설치될 하드 디스크안에 두개 이상 파티션으로 사용할경우

(↓현재 winpe 이미지 설정 기본값)


select disk 0
select part 1
format fs=ntfs quick
active
assign letter=c

exit



두번째 수정할 부분입니다.


SRC 과 SDT 의 뒤 부분을 수정하면 됩니다.


SRC= 와 DST=  이 두부분의 숫자를 시스템에 맞게 수정을 해야 됩니다.


SRC는 고스트 이미지가 있는 폴더 경로를 말합니다.  


DST는 고스트 이미지가 풀어지는 경로를 말합니다.


숫자1:숫자2 은 숫자1은 물리적인 하드 디스크의 순서이고 숫자2는 그 하드 디스크 안에 파티션의 순서입니다.


그림으로 설명 드리겠습니다.


55.jpg


그러면 여기서 자신의 하드 번호가 어떤것이 1번인지 2번인지 확인해 보겠습니다.


WINPE 로 부팅해도 되고 기존 윈도우F에서도 확인 하실수 있습니다.


시작 - 실행창 - cmd


56.jpg  


C:\> DISKPART [엔터] 


DISKAPRT> LIS DIS [엔터] 


디스크 리스트가 나오는데 위에 부터 순서대로 하드1, 하드2, 하드3 이렇게 됩니다.


각 시스템에 맞게 \WINDOWS\SYSTEM32\GHOST.CMD 파일을 수정해서 사용 하시면 됩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등록일
[공지] 강좌 작성간 참고해주세요 gooddew - - -
84 기 타| GRUB 부팅 USB 만들기(2부) 쉽게 써보려고 노력...; [15] 서기다 4209 9 03-09
83 기 타| GRUB 부팅 USB 만들기. 쉽게 써보려고 노력...; [35] 서기다 8379 18 03-08
» 윈 도 우| 왕초보를 위한 자동 복구 고스트 PE - USB [1부] [15] gooddew 10852 14 02-13
81 하드웨어| 단일 USB 장치가 부팅 메뉴에서 중복되는 현상 해결하기 [8] ee_do 4048 4 01-16
80 모 바 일| 당신의 USB를 안드로이드 스틱PC로 뚝딱 만들어드립니다. ★ [17] Star★Bros 11332 5 01-13
79 윈 도 우| 64비트 PE용 wim 파일을 usb에 굽기 [10] 스마트(SMART 7898 4 01-12
78 하드웨어| [팁] USB 3.0과 2.4 GHz 무선 제품사이의 전자파 간섭 문제... [3] asklee 7138 4 12-18
77 윈 도 우| 입니다님 PE를 rufus 이용하여 굽기 / rufus로 usb에 윈도 ... [5] 스마트(SMART 6485 15 12-13
76 소프트웨어| PE의 USB를 Y드라이브와 OS드라이브 고정 [2] 그루터기 7093 4 06-02
75 모 바 일| USB 충전 케이블 개조 [8] DOS 8785 4 02-20
74 기 타| 한방에 USB로 PE 설치하기 5 [11] 카멜 11890 8 12-15
73 하드웨어| usb 3.0 허브에 대해서 팁이라면 팁을 드립니다. [11] 필립 7321 1 07-16
72 소프트웨어| MobaLiveCD QEMU USB 부팅하기... [9] 아이언 4434 6 05-29
71 소프트웨어| VMware USB 부팅 하기... 두번째 방법... [9] 아이언 5181 8 05-29
70 소프트웨어| VMware USB 부팅 하기... 첫번째 방법... [7] 아이언 6180 8 05-29
69 윈 도 우| boot_usb.exe로 부팅가능 USB 만들기(윈도우또는 PE를 USB... [18] skyboarder 12075 6 05-21
68 윈 도 우| 만능 복구 USB 제작(1편) [33] ITforce 18481 11 05-03
67 소프트웨어| Bootice.exe로 USB 부팅하기 [22] suk 12272 7 04-27
66 윈 도 우| USB 부팅 스샷 Win8MpeL20130519 [1] DaBin 8748 1 01-24
65 하드웨어| USB 메모리를 하드디스크처럼 인식하도록 만들기 [5] DOS 15248 2 12-28
XE1.11.6 Layout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