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좌 / 팁

서버 / IT 무선랜 관련 팁들

2013.06.21 22:27

마니아 조회:4907 추천:1

1. 무선 공유기는 집 거실에 놔두세요. 집 가운데 이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그곳이 가장 벽을 적게 통과하기 때문입니다.

 

2. 무선 공유기 주변에 2.4 기가 헤르쯔 전화기나 전자렌지, 베이비 모니터 등을 놓지 마세요. 모두 2.4GHz 를 사용하기 때문에 채널 간섭이 있게 됩니다. 특히 전자렌지와 베이비 모니터는 굉장히 강한 녀석입니다.

2-1. 무선 공유기 주변에 블루투스 장치를 놔두지 마세요. 역시 같은 이유 입니다. (보통 블루투스가 더 약하지만요)

 

3. 무선 공유기를 상자에 넣어두지 마세요. 특히 금속 상자는 최악입니다.

 

4. 무선 공유기의 "채널 자동 선택" 기능을 적극 이용하세요. 집 주변에서 가장 간섭이 적은 채널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4-1. 만약 그것이 여의치 않을 경우 "도스창" 에서 "netsh wlan show mode=bssid" 를 쳐보시면 무선랜이 주변 무선 신호를 표시해줍니다. 그 중에서 가장 적게 사용되는 채널 + 가장 신호가 약한 채널을 이용하시면 됩니다.

 

5. 5GHz 를 최대한 이용하세요. 아직 많은 가정에서 2.4GHz 만을 이용합니다. 또한 채널이 많아서 채널 간섭이 최소화 될 수 있기 때문이지요

5-1. 하지만 5GHz 는 거리가 좀 짧아요. 그리고 손전화기 등에서는 아직 2.4GHz 만을 지원하기도 합니다 (802.11bgn 이라고 된 녀석이 그런 녀석들이지요)

 

6. 5GHz 의 채널본딩 (두개의 연결된 채널을 이용해 더 많은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 을 이용할 경우, 거리는 좀 더 짧아집니다. 더 정확히는 패킷이 잘못될 가능성이 높아요. 근거리에서 사용하는데는 전혀 문제가 없지만, 한국식의 콘크리트벽이라면 그냥 채널 하나만 사용해도 좋습니다.

6-1. 집이 나무재질일 경우라면 채널본딩도 좋아요

 

7. 무선 공유기가 잘 안되면 안테나를 바꿔보세요. 출력이 더 강한 녀석일수록 멀리 송신이 됩니다. (쉽게 말하자면 힘 쌘 투수가 공을 더 멀리 보낼 수 있는 것과 비슷하지요)

 

8. 컴퓨터에서 자꾸 11g 성능밖에 나지 않는다면, 무선랜 설정에서 "11n 만 사용하기" 를 선택해 주세요. 

 

9. 무선랜 드라이버는 최신 제품을 써주세요. 기존 버그를 고친 드라이버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10. 보안은 필수입니다. WEP 이나 TKIP 방식의 암호라면 WPA2 방식으로 올려주세요. 참고로 WEP 나 TKIP 의 경우 11n 이라고 해도 11g 속도밖에 나오지 않습니다.

10-1. 암호는 기본 암호 대신 자신만의 암호를 사용하세요.

 

11. 최근 5~10년 이내의 신축 아파트/오피스텔 등은 대개 CAT5, CAT5E 등으로 옥내 배선이 각 방으로 되어 있으니, 유선랜을 적극 활용하는게 더 좋습니다.
이걸 확인하는 기준은.. 대개 각 세대별 통신 단자함이 따로 집안에 있는지를 보시면 됩니다.
단, 간혹 케이블은 cat5 지만 4가닥씩만 쓴 경우가 있긴 합니다..

12. 저가형 공유기에 안테나만 바꿔 단다고 거리가 무조건 늘어나지는 않습니다. 차라리 range extender 류나, 추가 무선공유기를 ap모드 등으로 설정하여 범위를 늘려 주는게 더 효율은 좋습니다. (집이 아주 크거나 2층인데 신호가 약한 경우...)

13. 2층 이상의 단독주택의 경우 12번과 같이 설정하시되.. 무선공유기끼리는 옥외로 유선으로 배선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14. 일반적으로 시중에 돌아다니는 저가형 유무선공유기는 어디까지나 가정용입니다. 동시접속하는 기기의 수가 10대 이하인 경우에는 정상 성능을 내지만, 20대, 30대로 늘어나게 되면 버티질 못합니다.

15. 2층 이상이거나, 구조가 복잡하여 추가 무선공유기를 설치하기 애매한 경우, 전력선 인터넷을 쓰는 방법도 있습니다만.. 국내에는 보편적이지 않아서 하드웨어 구입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16. 외장안테나라고 해서 내장 안테나보다 항상 성능이 떨어지지는 않습니다.
(예를 들어 내장 안테나인 Linksys E3200이 실제로는 외장 안테나인 IPTIME N604M 보다 도달거리가 더 넓습니다. 물론 급이 좀 다른 제품이긴 합니다만;;)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등록일
[공지] 강좌 작성간 참고해주세요 gooddew - - -
73 소프트웨어| 4. 데스크탑에 연결된 유선 인터넷을 무선 와이파이 네트워... [5] 고양이2 12317 1 07-07
72 소프트웨어| 무선 네트워크 관리 [5] 고양이2 5351 0 07-06
71 서버 / IT| 보안 무선랜 속도 제대로 활용하자 [1] 마니아 5588 1 07-03
70 소프트웨어| 8. TeamViewer(팀뷰어) - 원격 비밀번호 고정시키기 고양이2 12410 0 07-03
» 서버 / IT| 무선랜 관련 팁들 [2] 마니아 4907 1 06-21
68 윈 도 우| 윈도우8 자동로그인하는 방법 [1] 마니아 5885 0 06-21
67 서버 / IT| wifi의 보안을 강화시켜보자. AES 설정하기.. [12] Lr라 13699 3 05-04
66 윈 도 우| 컴퓨터 오류 목록.. [11] 하얀나비 20126 0 02-25
65 윈 도 우| 계정 자동 로그인하기... [4] ICS 13218 2 11-25
64 윈 도 우| administrator 계정 로그인하기 ICS 13041 0 11-25
63 윈 도 우| [내용추가] G메일 이용하여 윈도우8 미디어센터 키 한번에 ... [21] Previrtu 11940 3 11-04
62 윈 도 우| 빈암호가 낫다는 MS의 말씀입니다(출처 표기,원격 빈암호) [15] suk 11551 2 10-21
61 윈 도 우| USB에 ISO째 넣어 순정XP/7설치하기(grub4dos활용) [1] YhK군 22965 1 09-25
60 윈 도 우| 잠금화면 (Lock screen) 뜨지 않게 하기 [11] ddpapa 13732 4 08-30
59 윈 도 우| 서버 2012를 윈도우8처럼 최적화 02 [21] 우금티 13872 5 08-25
58 윈 도 우| 서버 2012를 윈도우8처럼 최적화 01 [4] 우금티 17889 7 08-25
57 윈 도 우| [펌] 윈도우 8 초기화 기능에 대한 [5] 윈도우찬양 12166 1 08-20
56 윈 도 우| 윈도우8 자동로그인 방법 [6] 아수스 14810 6 08-19
55 윈 도 우| PE에서 만든 파티션에 XP 설치가 안되는 이유 [29] 조아세 12963 3 07-29
54 윈 도 우| Windows의 역사 [14] 윈도우찬양 7933 2 06-15
XE1.11.6 Layout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