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 사용기

기 타 다른 컴에서 Y: 레지값으로 VHD가 Y:로 연결이 잘 되네요..

2017.09.03 15:49

왕초보 조회:652 추천:5

제가 VHD에 대한 지식이 거의 없다보니...이렇게 실제 확인을 할수 밖에 없는것 같습니다

지난 사용기에서 PETools.VHD가 연결후 Y: 드라이브로 변경 되었을때 레지에서 Y: 드라이브 장치에 대한 레지값을 추출한후

PETools.VHD가 연결될때 바로 Y: 로 연결되도록 하여 보았었습니다

 

이때 PETools.VHD 레지값이..넷북에서의 경우 추출한 값이어서 다른 컴퓨터에서는 어떻게 될지 잘 몰랐었습니다

다른 컴퓨터에서 같은 PETools.VHD 로..Y:로 연결을 해보았더니..레지값이 같네요

 

 

VHD가 윈도우에 연결되면 한개의 디스크로 인식이 됩니다 이렇게 디스크로 인식이 되면서 VHD 값이 고유한 값으로 정해져 있나

봅니다...

하드디스크의 시리얼이나 랜카드의 맥어드레스 처럼 고정된 유일한 값이라면...아무 컴퓨터에서 PETools.VHD를 연결후..이 장치 레지값만

추출하면..다른 컴퓨터에서도...항상 원하는 드라이브로 연결이 가능한것 같습니다

 

이 모든것은..제가 두대의 컴퓨터에서 테스트한것일 뿐입니다..다른 켬퓨터에세는 다른 결과가 나올수도 있습니다

VHD에 대해서 잘 아시는 분이시라면...이러한 현상에 대해서 설명을 해주실수 있을것 같습니다만..저야...초보이다보니..그냥..짐작만 할뿐입니다

 

일단은..PETools.VHD 연결후 추출한 장치 레지값이...다른 컴퓨터에서도 잘 적용이 되네요

이와 관련한 사용기를 쓴 사람이라서..다른 컴퓨터에서도 같은 현상인지 확인까지 하여 보았습니다..

이런일도 있구나 하여 주십시요...

 

 

1. 지난 사용기에 있는 사진을 가져온것입니다... 넷북에서 PETools.VHD가 연결되었을때의 장치 레지값입니다

   데이트 값이 e7,bd,40,91,00,00,01,00,00,00,00,00  입니다

1.PNG

 

2. 아래는 다른 컴퓨터의 윈도우 7에서 같은 PETools.VHD를 Y: 로 연결한 것입니다..

2.png

 

3. 레지값이 넷북에서의 레지값과 같은 값입니다.

   PETools.VHD가 만들어 질때 고유한 특정한 값이..주어졌나 봅니다..넷북에서 pe가 win8 32bit였습니다.. 아래는 다른컴 win7 x64입니다

   레지값은 둘다 같습니다..

3.png

 

4. 추출한 레지값을 정리한것입니다.. 1번 사진에 있는 데이트 값 e7,bd,40,91,00,00,01,00,00,00,00,00  와 같은 값입니다 

   드라이브 문자는 원하는것으로 편하게 변경하면 될것 같죠...

4.png

 

5. pe에서 확인하기 위해서...아래처럼 셋팅을 하였습니다

5.png

 

6. 이번에는 레지값을..VHD_Mount.cmd에서 등록을 하였습니다..여기서 해야...Y: 드라이브를 다른 드라이브로 바꾸고 싶을때 편하게 하실수 있죠

   diskpart에서는 PETools.VHD 연결만 하게 하였습니다..

 

   실제 사용시에는..이렇게 레지값으로 복잡하게 하실필요가 없으시죠....이렇게 해도 되는구나 하는 정도로만 보아 주십시요

6.png

 

7. ini를 로드하도록 수정하였습니다

7.png

 

8. PE로 부팅한 상태입니다..Y:로 잘 연결이 되었습니다....B: 드라이브가 보이시죠...이 컴퓨터는 운좋게 윈본 8pe 32bit가 잘 부팅이 되네요.

   구닥다리 넷북이 요상하기는 한가 봅니다..

8.PNG

 

9. 마무리

PETools.VHD 를 Y:로 연결한후 장치 레지값으로 Y:로 연결할수 있다는 사용기를 제가 쓰게 되다보니..이렇게 다른 컴퓨터에서는 어떤지..

확인 사용기까지 쓰게 되었습니다

 

VHD가 만들어 질때 특정한 값을 부여받고..이 같은..다른 컴퓨터에서도 똑 같이..인식이 되는 값인가 봅니다..다른 컴퓨터에서도 레지값이

변동이 없네요...

제가 가지고 있는 2대의 컴퓨터에서만 확인된 것입니다...이런일도 있나 보다 하여 주십시요

 

편안하신 일요일이 되시길 바랍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등록일
[공지] 사용기/설치기 이용안내 gooddew - - -
850 윈 도 우| 와*님 자료 설치시 압축률이 차이가 많이 납니다. [13] 입문자 653 7 04-29
849 기 타| 빈**님과 입**님, 와*님께 감사인사드립니다. [15] 더불어~~~ 609 15 04-29
848 기 타| WinXPE x64 + LaunchBar [82] do98 2733 80 04-27
847 기 타| QuantumPE AdminF_PE_wimboot 무등* [USB 부팅] [19] suk 2554 27 04-24
846 기 타| QuantumPE AdminF_PE_wimboot 무등* (2022.4.22일).wim 부... [28] suk 2733 40 04-23
845 기 타| QuantumPE AdminF.wim 2.16GB [68] V무등산V 2715 76 04-21
844 기 타| PE 용양커서 vhd 새로설치 테스트중 [49] V무등산V 651 35 04-15
843 기 타| QuantumPE AdminF 카님3월 31자 VHD에새로설치 테스트중 [77] V무등산V 1295 56 04-08
842 기 타| USB_VHD_PE_설치 테스트 [45] V무등산V 1273 41 04-06
841 기 타| QuantumPE AdminF_무등x 편집 [실컴에 VHD 부팅 성공] [26] suk 2165 33 04-05
840 기 타| PE VHD 설치작업중 듀얼 모니터용 [49] V무등산V 700 39 03-31
839 기 타| PE가 설치된 VHD 부팅 등록 bat 파일 - 실컴 테스트 [13] suk 1211 22 03-28
838 기 타| [bat추가] PE를 VHD로 부팅하기 - QuantumPE SystemF [27] suk 1907 49 03-27
837 기 타| PE.QuantumPE AdminFS_VHD_테스트 [36] V무등산V 1255 44 03-24
836 기 타| do98-님 작품 부팅기... [16] 첨임다 1008 24 03-15
835 소프트웨어| knm님 실컴 wim백업 도구-간단한 후기 [3] UU自適 545 7 03-15
834 윈 도 우| 실험: PE의 외부 프로그램들을 wim으로 사용 [23] suk 1028 26 03-04
833 윈 도 우| 눈 깜짝 윈도우와 VHD,VMWARE 좌충우돌 사용기 입니다 [11] 이어도 967 6 03-01
832 윈 도 우| 큰*무님 포켓 VHD 만들기 + 자식 만들기 입니다 [38] SHIELD 1256 39 02-26
831 윈 도 우| 제1편 : 바뀐 내용 없는, 버젼 상승 사기친 PE - Sadmin PE [30] safercom 1404 22 02-17
XE1.11.6 Layout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