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 사용기

소프트웨어 VHDman.exe 으로 UEFI 윈도 설치하기

2018.12.17 18:37

suk 조회:2133 추천:18

오늘 질문에 올라왔는데요. 길어질 듯 하여 사용기에 올립니다. 

VHDman.exe 으로 GPT 디스크에 UEFI로 VHD에 윈도 설치하기 2018-12-17_171415.png

 

어떤 분이신지 대나무 PE라고 하시는 Win10PEL 입니다.

32비트 PE입니다만, 일반적으로 UEFI 64비트 윈도 설치에 문제가 없습니다. 여기서 PE는 중요하지 않습니다.

 

VHDman.exe 으로 GPT 디스크에 UEFI로 VHD에 윈도 설치하기 2018-12-17_171548.png

 

기존에는 MBR 디스크 형식으로 윈도가 설치된 상태입니다. [활성만 봐도 알 수 있습니다. GPT 디스크에는 활성이 없습니다]

새 컴퓨터의 새 디스크도 GPT 디스크로 재파티션을 해야 됩니다.

 

VHDman.exe 으로 GPT 디스크에 UEFI로 VHD에 윈도 설치하기 2018-12-17_171717.png

 

참고로, Win10PEL 에는 VHDman.exe는 없었습니다

그래서 VHDman1.86.exe 와 관련된 DISM 폴더를 복사하여 VHDman1.86.exe를 실행했습니다

 

GPT 디스크로 재파티션 하기 위하여 bootice.exe 실행했습니다.

바로 오른쪽에 Partition 실행하면 파티션 툴이 나오는데요. 오늘은 bootice.exe 으로 재파티션을 해봤습니다.

VHDman.exe 으로 GPT 디스크에 UEFI로 VHD에 윈도 설치하기 2018-12-17_171816.png

 

대상 디스크를 선택하고, 파티션 관리를 클릭합니다

 

VHDman.exe 으로 GPT 디스크에 UEFI로 VHD에 윈도 설치하기 2018-12-17_171900.png

 

파티션 관리에서 재파티션을 클릭합니다

 

VHDman.exe 으로 GPT 디스크에 UEFI로 VHD에 윈도 설치하기 2018-12-17_171941.png

 

크기를 빈칸으로 하면 마지막 파티션 크기는 자동으로 잡힙니다.

크기가 없다는 것은 파티션이 없다는 의미입니다. 그래서 마지막이 4번째가 아니라 1번째 파티션이 됩니다

 

그리고 GPT 디스크, ESP 파티션을 선택합니다. [GPT 디스크에 UEFI 부팅하는데 최소한의 필수 조건입니다]

ESP 파티션이 1번째가 되기 때문에, 자동으로 위에 마지막 파티션은 2번째 파티션이 됩니다. 

VHDman.exe 으로 GPT 디스크에 UEFI로 VHD에 윈도 설치하기 2018-12-17_172121.png

 

재파티션이 되었습니다. ESP은 시스템 파티션이라서 여기에 부팅 파일을 만들어야 하기 때문에 드라이브 문자를 할당합니다

기본적으로 시스템 파티션은 드라이브 문자가 없습니다. [MBR 디스크에도 시스템 예약 파티션은 드라이브 문자가 없습니다]

 

VHDman.exe 으로 GPT 디스크에 UEFI로 VHD에 윈도 설치하기 2018-12-17_172218.png

 

E:으로 할당했습니다. 이건 어떤 드라이브 문자라도 관계없습니다.

 

VHDman.exe 으로 GPT 디스크에 UEFI로 VHD에 윈도 설치하기 2018-12-17_172423.png

 

설치할 윈도 iso 파일을 탑재합니다.

 

VHDman.exe 으로 GPT 디스크에 UEFI로 VHD에 윈도 설치하기 2018-12-17_172512.png

 

그러면 자동으로 드라이브 문자가 할당되면서 탑재됩니다. G: 으로 탑재 되었네요

 

VHDman.exe 으로 GPT 디스크에 UEFI로 VHD에 윈도 설치하기 2018-12-17_172725.png

 

이제 GPT 디스크에서 2번째 파티션 [여기서는 C:]에 VHD를 만들고 윈도를 설치합니다

 

<<2018.12.17 월요일 오후 08:04 가상 디스크라서 사용상 지장은 없습니다만, 이왕이면 VHD의 디스크 형식도 GPT로 하는 것이 맞을 듯 합니다

'VHD 생성' 아래에 GPT 방식에 체크 후에 VHD 생성하면 됩니다>>

 

VHDman.exe 으로 GPT 디스크에 UEFI로 VHD에 윈도 설치하기 2018-12-17_173120.png

 

부팅 파일은 기존의 부팅 파일이 없기 bcd를 편집하는 방식은 안 되고, bcdboot 명령으로 새로 만들어야 합니다

명령 프롬프트에서 입력해도 됩니다만, 위에 클릭 3번 정도 하는 것이 더 편합니다. 이것으로 다 됐습니다

 

bcdboot z:\windows /s e: /f uefi /l ko-kr

명령 프롬프트에서 입력하면 위와 같습니다.

 

이제 위에서 만든 GPT 디스크로 부팅하면 본격적으로 윈도 설치 작업이 진행됩니다

실컴에서 바이오스 부팅 순서는 바꾸지 않아도, 저절로 bcdboot로 부팅 파일 만들 때 1순위로 됩니다. 재부팅만 하면 됩니다.

 

VHDman.exe 으로 GPT 디스크에 UEFI로 VHD에 윈도 설치하기 2018-12-17_173640.png

 

VHDman.exe 으로 GPT 디스크에 UEFI로 VHD에 윈도 설치하기 2018-12-17_173700.png

 

VHDman.exe 으로 GPT 디스크에 UEFI로 VHD에 윈도 설치하기 2018-12-17_173839.png

 

VHDman.exe 으로 GPT 디스크에 UEFI로 VHD에 윈도 설치하기 2018-12-17_173942.png

 

VHDman.exe 으로 GPT 디스크에 UEFI로 VHD에 윈도 설치하기 2018-12-17_174018.png

 

이건 윈도 설치 마지막에 기다리기 지루해서 옛날 윈도8 때부터 ctrl + alt + del 키 눌러서 로그아웃한 것입니다

윈도 설치 과정의 마지막은 앱 설치인데, 윈도 부팅 후에도 시간이 지나면 알아서 설치됩니다.

 

VHDman.exe 으로 GPT 디스크에 UEFI로 VHD에 윈도 설치하기 2018-12-17_174036.png

 

그리고 재부팅을 해줍니다. 물론 ctrl + alt + del 누른 후에 바로 재부팅해도 됩니다

 

VHDman.exe 으로 GPT 디스크에 UEFI로 VHD에 윈도 설치하기 2018-12-17_174050.png

 

VHDman.exe 으로 GPT 디스크에 UEFI로 VHD에 윈도 설치하기 2018-12-17_174104.png

 

그러면 자동으로 설치 완료를 기다리는 것보다는 빠르게 윈도에 첫 부팅을 하게 됩니다.

 

VHDman.exe 으로 GPT 디스크에 UEFI로 VHD에 윈도 설치하기 2018-12-17_174311.png

 

이렇게 UEFI로 VHD 부팅을 했습니다. 디스크 관리에서 녹색은 VHD, VHDX 같은 가상 디스크를 의미합니다.

 

VHDman.exe 으로 GPT 디스크에 UEFI로 VHD에 윈도 설치하기 2018-12-17_174601.png

 

D: [PE에서는 C:]에 VHD로 부팅했습니다. 동적 확장이라서 부팅하면 최대 크기로 늘어납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등록일
[공지] 사용기/설치기 이용안내 gooddew - - -
549 윈 도 우| 박삿*님이 만든 RS5 Ent LTSC 2019 (DN170.6440)설치해 보... [19] 좋은데이 3883 6 12-31
» 소프트웨어| VHDman.exe 으로 UEFI 윈도 설치하기 [22] suk 2133 18 12-17
547 윈 도 우| 콜*오님 W8.1_x64_VHD PE 설치 및 체험 [31] 선우 834 9 12-05
546 윈 도 우| 콜*오님 VHD_PE 설치기 [14] 베카 1019 4 12-04
545 윈 도 우| PE 한글화 연습해봤습니다 [30] suk 2328 25 12-03
544 윈 도 우| [sun7님 VHD_PE] 사용기 보단 방황기? [12] 간장종지646 545 6 12-02
543 윈 도 우| [집앞의 큰나무님] PE 부팅 테스트기 [36] 간장종지646 1873 16 11-12
542 윈 도 우| *삿갓님 wimboot + vhd로 된 파일 부팅해봤습니다 [20] suk 1440 6 11-09
541 기 타| 어쩌다 노가다로 GRUB2 부트로더를 구성해 해봤습니다. [25] 냄현하사랑 2459 23 11-03
540 기 타| SHIELD AUTO USB 2제작/BRPE1.7사용기 [179] SHIELD 3230 64 10-30
539 윈 도 우| [218장] XP와 PE 멀티 부팅하기 [테스트] [34] suk 2089 25 10-28
538 기 타| 사평님 작품을 SD님 자동USB넣어 사용하기(추가) [13] skrua 1837 11 10-27
537 윈 도 우| 다른 컴퓨터에서 사용하던 윈도10 복구하기 [테스트] [8] suk 2305 9 10-27
536 기 타| LINK PE를 UEFI 모드로 부팅하기 [21] suk 2079 19 10-23
535 기 타| SHI*LD 작품에 WIM및 ISO PE 설치기 [26] skrua 1317 6 10-22
534 윈 도 우| [사용기:수정테스트]SH님 Win10PESE_x64 입니다 [62] SHIELD 2002 22 10-21
533 윈 도 우| 윈도10 레드스톤5 DISM과 ImageX 입니다 [23] suk 2577 21 10-19
532 소프트웨어| SHIELD Grub4Ddos Auto List Wim/ISO 부팅 USB [336] SHIELD 5336 70 10-19
531 윈 도 우| 박삿갓_님 LTSC 2019 [34] 첨임다 2581 16 10-17
530 윈 도 우| 창문 10개 깍는 중~~~ 5부 기본설치 + 업뎃 LTSC 2019 [45] 박삿갓 3308 34 10-16
XE1.11.6 Layout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