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 사용기

윈 도 우 WORLD`S BEST PE - FINAL END3

2014.07.15 16:02

사랑과평화 조회:13698 추천:76

WORLD`S BEST PE - FINAL END3

Boot-wim 기존 폴더 삭제 후 폴더교체
PESYSTEM 기존 폴더 삭제 후 폴더교체
PETOOLS - 유틸 28. 드라이버 관련 유틸리티 - DriverEasy교체 (최신버전 4.7.3.6546 ) 기존 폴더 삭제 후 폴더교체

 

 

프린터 기능이 추가된 WIM 용량은 아래와 같습니다.

 

[드라이버 통합작업용(DISM)] : 순수 WIM (로엔님: 424M  카조님: 344M (최신 428M)  사평: 238M)


1. World`s Best Windows 8.1 PE Final End STD (I)  :  238M
 -> PAE패치 안함, 인텔 내장그래픽 사용자 각종 드라이버 통합작업용

 

2. World`s Best Windows 8.1 PE Final End PAE (I)  :  241M
 -> PAE패치, AMD, NVIDIA 그래픽 사용자 각종 드라이버 통합작업용,

     인텔 내장그래픽 사용자용(그래픽드라이버 통합불가 - PAE패치와 충돌있음)

 

현재로서는 인텔내장 그래픽드라이버 설치시 PAE패치(램4기가 제한해제)와 충돌이 있는 것으로 확인 되었습니다. 

아쉽지만 인텔 내장그래픽 사용자 분들은 둘 중의 하나를 선택하셔야 합니다.

램을 4기가 이상 제한 없이 사용할 것인가, 아니면 그래픽 드라이버를 설치하고 램 4기가제한을 수용할 것인가.. 

저의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램이 4기가 이상 장착된 시스템에서는 PAE패치가 적용된 WIM을 사용하시는 것이 좋다고

판단 되어집니다. 이 경우 그래픽 드라이버를 특별히 깔지 않아도 자체적으로 최적해상도로 부팅되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참고하십시요..

 

[참고] PAE 패치(램 4기가 제한 해제)에 대하여

   1. 카리스마조님은 라이선스(license) 패치입니다. (레지스트리 수정) -

      확인결과 카조님의 최신버전은 PAE패치가 되어 있지 않습니다.

       [HKEY_LOCAL_MACHINE\System\ControlSet001\Control\ProductOptions] <-- 이 부분을 수정

   2. 사랑과 평화의 방법은 커널 패치입니다. 다음 3가지를 패치한 겁니다.

    (1) winload.exe ---> winloadp.exe

    (2) ntoskrnl.exe ---> ntoskrnlx.exe

    (3) bcd 패치 (아래 부팅메뉴 1,2,3번이 패치되어 있습니다. PAE )

  

[부팅메뉴]
1. World`s Best Windows 8.1 PE Final End PAE (A) : AMD 그래픽 사용자용        -> 283M
2. World`s Best Windows 8.1 PE Final End PAE (N) : NVIDIA 그래픽 사용자용     -> 268M
3. World`s Best Windows 8.1 PE Final End PAE (I) : INTEL 내장그래픽 사용자용  -> 241M
4. World`s Best Windows 8.1 PE Final End HD1 (I) : INTEL 내장그래픽 사용자용  -> 269M
5. World`s Best Windows 8.1 PE Final End HD2 (I) : INTEL 내장그래픽 사용자용  -> 278M
6. World`s Best Windows 8.1 PE Final End HD3 (I) : INTEL 내장그래픽 사용자용  -> 308M
7. 32bit Windows System Recovery Option    ->  350M
8. 64bit Windows System Recovery Option    ->  395M
9. Windows Installation From Sources 


 

 

2014-07-15_160406.jpg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등록일
[공지] 사용기/설치기 이용안내 gooddew - - -
4352 윈 도 우| Windows 10 버전1803, 8월 업데이트 MSDN 이미지 정보 [9] suk 2388 14 08-26
4351 소프트웨어| AMPE 32 비트용 사용해 보기 [22] sunshine 1104 14 08-27
4350 기 타| HiveLoad/HiveUnload(파일수정) [16] 집앞의_큰 870 14 08-29
4349 기 타| BRPE 최종본 보완 버전 간단 사용기입니다.. [19] 왕초보 1563 14 09-03
4348 윈 도 우| 윈도10 19H1 인사이더 프리뷰 18234 빌드 나왔네요 [16] suk 1361 14 09-07
4347 윈 도 우| BRPE에 VBS 추가하기를 최종 정리하였습니다. [20] 왕초보 1215 14 09-07
4346 윈 도 우| [98장] PE와 XP 멀티 부팅하기 [실컴 테스트] [16] suk 1833 14 10-30
4345 기 타| BigTree님 OKR PE 사용기 + M우클릭 드라이버 설치 기능 [22] SHIELD 1129 14 11-02
4344 윈 도 우| Windows 10 RS5(ltsc 급) by 아는형 [39] 졸린사자 2805 14 09-26
4343 윈 도 우| Windows 10 범용 설치본 만들때... [12] 디폴트 1837 14 10-13
4342 윈 도 우| 콜*오님 Win8 x64 SuPer Lite PE 설치 및 체험기 [41] 선우 1056 14 12-06
4341 기 타| sun****님의 WINPE 10 한글화 PE 간단 사용기입니다.. [17] 왕초보 1539 14 12-27
4340 기 타| Dream PE 2019 - 가상머신과 실컴에서 같이 사용하기 [12] suk 2124 14 02-01
4339 소프트웨어| pe-에 따라 다른 Macrium Reflect [9] 첨임다 813 14 02-01
4338 기 타| [25] Macrium Reflect 단일파일 만들기 입니다. [15] 왕초보 1246 14 02-23
4337 소프트웨어| 노턴 고스트 이미지 백업시 분할 되는 문제 해결방법 [15] 사랑맨 1244 14 03-04
4336 윈 도 우| 바로가기 만들기 파일 [27] 집앞의_큰 1351 14 04-13
4335 윈 도 우| Win10XPE 04-18 테스트 빌드 [10] 솔향 979 14 04-19
4334 윈 도 우| 업데이트 통합본으로 PE 만들 때 문제 [12] suk 1206 14 04-22
4333 기 타| [추가2] 업데이트와 드라이버 확인하기3.bat 테스트 [15] suk 1791 14 06-07
XE1.11.6 Layout1.4.8